Web3 프로젝트 구조 이해하기 — Web3.0 Basics #2

강보현, Bohyun Kang
9 min readJun 30, 2023

--

들어가며: 그냥 하는 정신

지난주에 1주차 스터디 회고글 <Web3란 무엇인가?>를 올리면서 함께 올렸던 트윗. 요즘 들어 “그냥 하는 정신”과 “중요한 건 꺾였는데도 그냥 하는 마음”으로 살려고 노력하는데, 많은 분들이 응원해 주시고 읽어주셔서 앞으로도 열심히 작성하려고 한다!🙌

이번 주에는 Web3 생태계에서 어떻게 프로젝트가 굴러가고, 비즈니스는 어떻게 이뤄지는지, 그리고 우리가 프로젝트를 살펴볼 때는 어떤 걸 중점적으로 살펴봐야 하는지에 대해서 공부하였다.

1) Web3 프로젝트란?

Web3에서의 프로젝트는 어떤 걸 의미할까? 애초에 왜 프로젝트라는 단어를 사용하는지부터 알아야 한다.

Web3에서는 ‘프로토콜이 완성될 때까지만 사람이 일한다’하여 해당 단위의 프로젝트가 완성될 때까지만 운영이 된다. 때문에 ‘프로젝트’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2) Web3 프로젝트의 가치 부양 방식

Web2와 비교했을 때 역할 구성과 가치 부양 방식이 어떻게 차이 나는지 알아보자.

Web2와 3의 역할 구성 차이

Web2와 Web3의 역할 구성 차이
  • Web2에서는 생산자가 소비자에게 상품(또는 서비스)을 판매하고, 소비자는 재화를 통해 해당 상품을 구매함. 판매량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구조로, 일방적인 서비스 제공-소비로 운영됨.
  • Web3에서는 반면에 서비스 제공-소비에서 끝나는 구조가 아닌 생산자가 서비스를 판매하면 커뮤니티가 생성되고, 그 커뮤니티가 활동을 통해 순환하는 구조. 그렇기 때문에 거래량이 중요하게 판단되며, 커뮤니티 주도의 경제체계라고 할 수 있음.

Web3 프로젝트의 역할 구성

Web3 프로젝트의 역할은 1) 컨트리뷰터, 2) 프로바이더, 3) 코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사람이 3가지 역할을 모두 할 수도 있다는 특징이 있다.

1) 컨트리뷰터(Contributer)

  • 컨트리뷰터는 말 그대로 ‘기여자’로서 Web3 생태계의 발전과 개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개인 또는 단체를 의미함.
  • 컨트리뷰터는 Web3 기술 스택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신의 기술, 지식 및 리소스를 기여하는 개발자, 디자이너, 연구원 또는 개인이 될 수 있음.
  • 코드 작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문서 작성, 버그 식별 및 수정, 새로운 기능 제안 또는 기존 구성 요소에 대한 피드백 제공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 기여할 수 있으며, 컨트리뷰터는 Web3 프로젝트의 방향과 진화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 때문에 컨트리뷰터의 활동이 활발하면 활발할수록 해당 프로젝트의 가치 가 점점 더 높아짐.

2) 프로바이더(Provider)

  • 프로바이더는 말 그대로 ‘공급자’로서 일반적으로 Web3 생태계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인프라 또는 리소스를 제공하는 엔티티를 의미함.
  • 프로바이더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분산형 스토리지 네트워크 또는 기타 분산형 프로토콜과 같은 분산형 인프라를 공급할 수있고, 개발자가 Web3 응용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도구, 플랫폼 또는 API(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공급할 수도 있음.
  • 즉, 프로바이더는 프로젝트의 안정성과 성능을 보장하고, 필요한 인프라를 유지 보수 및 개선하는 역할을 함.

3) 코어(Core)

  • 코어는 영어 단어 뜻 그대로 ‘핵심’을 의미하며, 프로젝트의 핵심 구성원 및 리더를 포함한 운영 팀을 의미함.
  • 이들은 프로젝트의 주요 결정을 내리고 전반적인 아키텍처와 기술적 방향성을 결정하며, 프로젝트의 로드맵을 계획하고 비전을 설정하고, 컨트리뷰터 및 프로바이더와 협력하여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게 관리하는 역할을 함.

이렇게 각각의 역할은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서로 복합적으로 협력하며, Web3 프로젝트의 성장과 발전을 추구한다.

Web2와 3의 가치 생성 방식의 차이

Web2에서는 상품이 판매되면 거래가 끝인 반면에 Web3는 그때부터 시작이라고 한다. 왜 그때부터 시작인건지 기존 모델과 Web3의 가치 생성 방식에 대해 비교를 통해 알아보자.

Web3의 가치 생성 방식
Web3의 가치 생성 방식

Web3는 기존 모델의 상품 판매, 가치 부양, 수수료를 가치로 갖고 거기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결합한 모델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1) 상품 판매

Web2와 Web3의 상품 판매
  • Web2에서의 상품 판매는 말 그대로 상품을 판매하는 것으로, 판매하고 나면 더 이상의 활동은 없음.
  • Web3에서의 상품 판매는 토큰이 순환하면서 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에 판매에서 그치지 않고, 계속 순환하는 구조임.

2) 가치 부양

Web2와 Web3의 가치 부양
  • Web2에서의 가치 부양은 주식을 발행하고, 기업의 볼륨을 키우면서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것을 의미함. (사실 가치를 ‘부양’한다기보단 가치를 ‘책정’한다고 생각해야 함.)
  • Web3에서의 가치 부양은 굉장히 여러가지 방법이 존재함. 프로젝트의 차별성과 유용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함.
  • 예를 들어 트레저리(=공동 금고) 재활용할 수 있게 하여 커뮤니티에 참여를 유도한다든가, IP 재활용을 통한 비지니스가 가능한 경우 해당 IP를 사용하기 위해 참여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참여를 유도하고, 또는 거버넌스에 참여하기 위해 투표권 확보를 하게끔 만들어 구매를 유도할 수 있음.
  • 그밖에도 혁신적인 기술 및 개발자 도구를 지원한다든지 유명 기업과의 콜라보를 통해 가치를 부양할 수 있음.
  • 궁극적으로 가치를 부양하기 위해서 매력적인 기술 혁신 제공, 커뮤니티 빌딩, Web3 생태계에서 사용자와 개발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것에 달려 있음.

3) 수수료

Web2와 Web3의 수수료
  • Web2에서의 수수료는 말 그대로 상품을 사고 팔때, 카드사를 통해 발생하는 수수료 등이 있음.
  • Web3에서의 수수료는 프로토콜에 심어져 있고,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거래의 일정 금액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함.

3) 프로젝트를 바라보는 7가지 관점

Web3에는 무수히 많은 프로젝트들이 존재하는데, 이 프로젝트가 충분히 괜찮게 돌아가는 프로젝트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기준이 필요하다. 루디움에서는 총 7가지로 프로젝트를 바라보는 관점을 제시하는데, Nouns DAO라는 유명 프로젝트를 예시로 같이 알아보자.

💡 Nouns DAO: NFT 프로젝트로, 매일 새롭게 생성되는 디지털 아트워크 Nouns라는 NFT를 경매를 통해 판매하는 프로젝트.

상징성

Nouns DAO
Nouns DAO 프로젝트
  • 프로젝트가 ‘시장에서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의미하며, 유의미할수록 보다 더 나은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음.
  • Nouns DAO는 경매를 통해 얻어진 수익의 일부를 Nouns DAO 커뮤니티에 투자하여 여러 가지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지원 여부에 대한 의사 결정권은 입찰에 성공해야 얻을 수 있음.
  • 이렇게 Nouns DAO는 디지털 아트 지향 커뮤니티와 탈중앙화된 경제 구조를 결합하여 참여자들이 디지털 아트워크와 함께 중앙화되지 않은 의사결정 권한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

Nouns DAO의 Founder
Nouns DAO의 Founder
  • 프로젝트의 Founder들을 의미하며, 믿을만한 사람인지에 대한 평가를 의미함.
  • 만약 대중에게 더 많이 알려져있고, 이룬 결과물이 많은 사람들이 Founder로 참여한다고 하면, 그 프로젝트는 보다 더 매력적일 수 있음.

기술력

Nouns DAO의 기술력
Nouns DAO의 기술력
  • 참신한 기술인지, 신뢰할만한 정도의 기술인지, 안전하게 잘 구축이 되었는지를 의미함.

유틸리티

Nouns DAO의 혜택
Nouns DAO의 혜택
  • 프로젝트에 참여했을 때 내게 주어지는 혜택을 의미함.
  • 앞서 언급했듯이, Nouns DAO의 경우 NFT 입찰에 성공해야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는 투표권이 생김. 이 투표권을 통해 Nouns DAO 커뮤니티에 저장된 트레저리 투자 아젠다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됨.

주요 멤버와 활동

Nouns DAO w. Bud Light
Nouns DAO w. Bud Light
  • Discord에서의 화력, 즉 프로젝트 커뮤니티가 얼마나 활성화되어있는지도 판단해야 함.
  • Nouns DAO의 경우, 버드와이저가 2022년 1월 맥주 Nouns를 받아 DAO 멤버가 되었고, 2월 미국 최대 행사인 슈퍼볼에 Nouns 파츠 중 가장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Nouns 글라스(안경)을 광고에 노출시키기도 했는데, 슈퍼볼 광고는 광고 시장에서 미국을 넘어 전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광고인만큼 NOUNS가 전세계에 관심을 받을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음.
  • 이처럼 프로젝트가 어떤 활동을 진행하는지에 대해서도 판단의 여부가 됨.

히스토리

  • 말 그대로 프로젝트가 언제 출범했고, 어떤 전개 과정을 거쳤는지에 대해서 평가해야 함.
  • 만약 히스토리에 ‘횡령’이 있다 하면, 이 프로젝트는 위험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는 것임.

자산성

  • 화폐로 환산하였을 때, 어느 정도의 자산으로 판단이 되는지에 대해서도 평가해야 함.

마치며

스터디가 진행된 살롱에드할의 모습
스터디 멤버들과 살롱에드할에서!

지난 주보다는 시간이 적게 들었던 이번 주 포스팅! 이번 주는 Web3 프로젝트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고, Nouns DAO라는 NFT 프로젝트를 예시로 같이 살펴보며 Web3 프로젝트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ShyGhostSquad라는 NFT를 유일하게 가지고 있는데, 구매하던 당시 NFT 프로젝트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하고 구매했었다. 때문에 제대로 활용하지도 못하고, 지금은 처음 구매했을 당시보다 커뮤니티의 화력이 많이 죽어서 아쉬운 마음뿐이었다. 그래서인지 이번 주 수업이 굉장히 나에게 필요했던 수업이었고, 앞으로는 이 기준들을 토대로 NFT 프로젝트를 평가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 tmi) 지난 주는 선릉에서 진행했었는데, 이번 주는 처음으로 살롱에드할이라는 루디움의 공간에 다녀왔는데, 굉장히 루디움스러웠음!

--

--

강보현, Bohyun Kang

Web FE Engineer & Evangelist at Women Who Code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