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 블록체인 공부 자료 : Blockchain at Berkeley

엔프티(ENFTY)
5 min readJul 28, 2018

올해 초부터 블록체인을 공부 시작했습니다. 눈 떠 있는 거의 모든 시간 동안 블록체인만 봤다고 생각해도 될 정도로 깊게 빠져들었습니다.

지금은 기본적인 개념 정도는 탑재했다고 생각하고, 친구들이 종종 블록체인에 대해 물어올 때면 설명해줄 수 있는 수준은 됩니다.

여기까지 오면서 저를 가장 힘들게 했던 것은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자료’ 였습니다. 아직 블록체인 관련 전공도 없으며, 제대로된 커리큘럼도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공신력 있는 매체가 있는 것도 아니구요.

여러 사람들이 쏟아내는 블로그 자료와 유투브를 전전긍긍하며 공부를 이어왔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에 올라오는 글들은 죄다 수준이 제각각이며, 짜임새가 없어서 연속성이 부족했습니다. 반면 출판된 책들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을 따라오고 있질 못하고 있구요.

BLOKCHAIN AT BERKELY

https://blockchain.berkeley.edu/

최근에 여기저기 구글링하다가 좋은 자료를 발견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 바로 BLOCKCHAIN AT BERKELEY라고 버클리 대학교 학생들이 만든 커리큘럼이 있습니다. 거의 총정리라 봐도 무방할 정도로 잘 정리해두었고 깊이도 있습니다. 버클리 대학교 재학생들이 주도하여 동문들, 블록체인 필드의 관계자들이 협업해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주차별로 동영상 강의와 ppt 자료가 잘 정리되어 있고, 참조할 수 있는 자료도 많습니다. → https://blockchain.berkeley.edu/decal/sp18/fund/ 링크 통해서 볼 수 있습니다.

똑같은 자료이긴 한데, 한화 드림플러스 홈페이지에서도 관련된 커리큘럼을 제공합니다. 아래 링크 따라 들어간 후 간단한 소셜 로그인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https://dreamplus.io/blockchain_academy1

간단히 훑어 봤는데 꽤나 디테일한 내용들까지 섭렵하고 있습니다. 저도 개념만 이해하고 넘어갔던 것이 여기에서는 코드와 함께 원리까지 설명하고 있었습니다. 공부가 더 필요하다 느꼈고 차근차근히 살펴볼 예정입니다.

‘블록체인 앳 버클리’는 입문자가 보기에는 수준이 높은 것 같습니다. 평소에 제가 참고하며 공부하던 블로그 링크와 서적들을 남겨 놓겠습니다.

1. 스팀잇 어미새님

링크 → 비트코인 관련 포스팅 마무리
링크 → 이더리움 백서(Final)

현업에서 개발을 하시는 분같은데, 굉장히 깔끔한 디자인과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세세하게 설명해주십니다. 초창기에 공부할 때 많이 의존했던 자료들이고 도움도 되었습니다.

2. 케블리

링크 → 케블리

블록체인과 관련된 전반적인 이슈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생각보다 블록체인에는 엄청나게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요, 개념적으로 빠르게 이해하고 넘어가기에 좋습니다.

3. Decipher

링크 → 디사이퍼

디사이퍼는 서울대 학생들이 모여 블록체인을 공부하는 그룹입니다. 처음에는 그렇게 출발했지만, 이제는 일반인들에게도 오픈되어 블록체인 계의 전문가 집단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기술적으로 세부적인 내용을 알고 싶을 때 참고하면 좋습니다.

4. DevTooth Lab

링크 → DevTooth Lab

DCUGL이라는 블록체인 개발자 크루를 이끌고 있는 설민님의 블로그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더리움 Solidity 공부를 할 때 많이 참고했습니다. 이 외에도 암호화폐 관련 투자, 밋업, 블록체인 트렌드 등 다양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는 블로그입니다.

오프라인 스터디도 있습니다. 저도 꾸준하게 참석하고 있구요. 수준도 높고 배울점도 많습니다. 현재 2기 모집하고 있으니 관심 있는 분은 블로그 방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5. 책 :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 탐욕이 삼켜버린 기술> — 이병욱 저

단언컨대 블록체인 관련 최고의 책이 아닐까 싶습니다. 원리들 하나하나 자세하게 설명해놓았고, 시사하는 점도 정확하게 짚어줍니다. 이해하면서 읽으려면 좀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만큼 깔끔한 그림들과 명쾌한 해설이 있는 책은 거의 못 본듯 합니다. 약간 전공서적이라 생각하고 읽으면 좋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