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이해하기1: 클라우드 서비스모델과 배치

이찬호
9 min readApr 29, 2020

회사에서 클라우드 도입을 고려 중이거나 클라우드 서버를 구축하고 있는 담당자가 아니라도 ‘클라우드’라는 단어는 더 이상 낯선 개념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Gmail, Icloud, naver drive 등 우리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편리함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 : 차이점?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는 무엇일까요?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됩니다. 사용자는 쉽고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제공된 UI를 통해 서비스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까지 다양한 기술적 배경의 지원이 있습니다.

클라우스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은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에 기반이 되는 기술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컴퓨터의 연산처리에 필요한 자원들을 필요에 따라 제공해 줍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도입으로 거대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는 기업에게 관리를 맡기고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통하여 이러한 컴퓨팅 자원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말은 지난 몇 년간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클라우드라는 말을 들었을 때 명확한 이미지를 그리기 어렵습니다.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어떤 구조를 가지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배치하였는지 알고있는 것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배치 모델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목적과 이용대상에 따라 분류합니다.

  • 프라이빗 클라우드 (Private cloud):

이용대상을 제한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컴퓨팅 자원들이 전적으로 하나의 조직이나 기업에서 사용됩니다.

  • 퍼블릭 클라우드 (Public cloud):

이용대상을 제한하지 않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CSP는 모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을 소유하고 관리합니다. 그리고 이용자들은 이러한 장비들을 다른 조직이나 기업과 공유합니다.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를 동시에 사용합니다. 중요도가 낮고 고용량의 데이터는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하고, 민감하고 중요도가 높은 데이터는 프라이빗을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어떤것을 사용해야 할까?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높은 수준의 보안 수준을 제공합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에서 사용되는 IT 인프라는 거의 하나의 조직 또는 비즈니스에서만 사용됩니다. 만약 이미 당신의 회사에 데이터 센터가 있다면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좋은 선택지일지도 모릅니다. 또한 특정 비즈니스 (은행, 정부, 병원)의 경우 개인 정보를 퍼블릭 클라우드에 저장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사용이 필수일 수도 있습니다. 이와 달리, 퍼블릭 클라우드에서는 하나의 물리 자원을 다수의 사용자가 나누어 사용합니다. 사용자는 주로 구독의 방식으로 필요한 만큼과 사용한 만큼의 돈을 지불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데이터 센터를 만들 필요를 아직은 못 느끼고 있거나 빠른 확장성과 유연함을 추구하는 조직이라면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CSP가 무엇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관리 범위에 따라 4가지 모델로 나누어질 수 있습니다.

*On-premise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기까지 기업은 무엇을 해야 했을까?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배포하기까지, 서버를 만들고 운영체제와 미들웨어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모든 작업을 기업에서 해야 했습니다. 심지어 프로젝트가 끝날 때마다 이 모든 과정 반복해야했습니다. 하지만 클라우드 서비스의 도입으로 기업은 이 모든 것을 스스로 다 해야 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1. Iaas (Infrastrure as a service):

네트워크, 스토리지, 서버를 가상화하여 이용자들이 필요한 만큼 사용 가능하게 만든 서비스입니다. 또한 사용자가 데이터 센터에 필요한 물리적 인프라를 구입하고 관리해야 하는 복잡함과 비용을 감소시켜줍니다.
사용자는 웹 포탈 이용하여 수요에 따른 규모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장점:

1) 필요에 따라 빠르게 확장가능하다.

2) 다양한 사용자가 하나의 물리서버를 이용하기 때문에, 물리서버의 유지보수 비용을 덜 수 있다.

3) 서버가 다운되었을 때, 다른 서버로 즉시 이전되어 다운타임이 없거나 줄 일 수 있다.

단점:

1)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 사이의 역할이 나눠져있다. 그렇기에 운영체제, 미들웨어 단계에서의 보안, 유지 등은 소비자의 몫이다.

2) 퍼블릭 Iaas의 경우, 계약돼있는 벤더가 정전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면 사용자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가 없다. -> 의존성이 높아질 수 있다.

3) 프라이빗 Iaas를 사용하고 있는 비즈니스는, 전체 Iaas의 인프라와 유지 보수를 하기 위한 팀을 운영하거나 훈련을 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 AWS의 EC2
EC2 (Elastic Compute cloud)는 웹 호스팅과 컴퓨팅 자원을 서비스합니다.

EC2의 메인 Dashboard 화면이다. 사용자는 ‘launch instance’를 눌러 가상머신을 만들 수 있다. https://www.slideshare.net/knight1128/aws-8593161

2. Paas (Platform as a service)

개발자가 개발에 필요한 개발 요소들을 제공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모델입니다.
Paas는 개발 프로세스에 필요한 미들웨어나 OS를 환경에 맞게 개발자들이 원하는 환경에 맞게 패치해 주기 때문에, 개발자들은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해줍니다.

* 미들웨어란?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종의 하드웨어나 프로토콜, 통신환경 등을 연결하여, 응용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환경 간에 원만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네이버 백과사전)

장점:

1) 개발자들이 백그라운드 IT 인프라에 신경을 덜 쓰고, 프런트엔드 개발에 신경 쓸 수 있게 도와줍니다. -> 빠르게 새로운 시스템을 시도해보고 시장에 내놓을 수 있다.

2) 원격 팀의 경우, 거리가 떨어져 있더라도 팀원들과 협업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3)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미들웨어와 하드웨어가 벤더에 의해 설치되고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서버를 관리하고 업데이트를 해줄 인력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단점:

1) Paas 서비스 벤더의 기능과 성능, 스피드에 의존성을 가질 수 있다.

2) 비즈니스의 필요에 따라 서비스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때 Iaas보다 유연하지 못하다.

예: Openshift, Google App Engine ->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3. Saas (Software as a service)

Saas는 클라우드에 기반한 앱 또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CSP가 중앙에서 시스템 전반의 유지, 보수, 보안 업데이트 등의 관리를 도맡아 관리합니다. 이용자들은 서비스 이용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장점:

1) 별도의 설치나 다운로드 없이 인터넷만 있다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2)중앙에서 업그레이드와 유지, 보수를 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비용 부담을 덜 수 있다.

단점:

1) 인터넷이 없다면 이용 불가능하다.

2) 특정 벤더의 의존성이 높아질 수 있다.

예: Google mail, Google cloud, Naver cloud

마무리

클라우드 서비스의 도입은 조직에게 유연성과 함께 시장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해주어, 조직에게 다양한 기회들을 제공합니다. 한 예로, 최근 모바일 게임의 서비스 라이프 사이클은 2개월에서 6개월 사이라고 합니다. 온 프레미스 방식에서 개발자들은 새로운 게임을 서비스할 때마다 시스템을 폐기하고 다시 구축해야 했습니다. 또한 최근 코로나19로 인하여 마스크 주문 폭등으로 온라인 쇼핑몰들의 서버가 다운된 적이 있었습니다. 만약 이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한다면, 처음부터 다시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들은 갑자기 폭등하는 트래픽에 유연한 대처가 가능했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얼마 전 중국의 E-commerce 업체 알리바바는 중국의 광군제 (11월 11, 중국의 블랙프라이데이) 때,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평소보다 100배나 증가한 트래픽을 문제없이 소화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예들은, 수많은 사례들 중 극히 일부일 뿐이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반이 되는 IT 인프라와 가상화 기술을 소개하겠습니다.*

참고자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