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 BLE 통신 예제(1)

김땡땡
7 min readJul 8, 2018

https://developer.android.com

위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BluetoothLEGatt라는 BLE 튜토리얼 예제 소스를 분석하려고 한다.

실행 순서를 기준으로 차례로 따라가면서 하려고 한다.

파일 구조

예제 앱의 파일 구조는 위와 같다.

먼저 manifest를 봐보자.

Manifest 일부

activity가 2개 등록되어있고, service가 하나 등록되어있다.

LAUNCHER가 DeviceScanActivity에 있으니 처음 앱을 시작하면 DeviceScanActivity가 가장 먼저 뜨게 된다.

그럼 DeviceScanActivity로 가보면,

DeviceScanActivity 1

DeviceScanActivity의 윗부분인데, 저렇게 주석대로의 이유로 전역 객체들을 만들어 놓았다.

처음 DeviceScanActivity가 실행되면 LifeCycle에 의해 onCreate()가 호출될 것이다.

DeviceScanActivity 2

onCreate에서는 실제 스캔을 진행하지 않고, BLE를 지원하는지, Bluetooth를 지원하는지를 검사하고 Bluetooth Adapter를 생성하고 초기화만 하였다.

실질적인 스캔은 onResume에 했는데, 앱을 나갔다 들어와도 다시 스캔을 하도록 하려고 그렇게 한 것 같다.

DeviceScanActivity 3

이제 onResume을 보면,

Adapter가, 즉 기기가 블루투스가 켜져 있는지 확인한 다음, 꺼져있다면 블루투스를 활성화하도록 해주는 안드로이드 기본 다이얼로그 창에 접근 요청을 한다.

그 창에서 예를 누르게 되면 그 기기의 블루투스를 키고 창을 종료한다.

DeviceScanActivity에서도 그 창에서 사용자가 무엇을 눌렀는지 알 필요가 있다.

아니요를 눌렀을 때는 블루투스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앱을 꺼줘야 할테고, 예를 눌렀을 때는 계속 진행해 스캔을 시작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

startActivityForResult(enableBtIntent, REQUEST_ENABLE_BT);

를 사용해 액티비티를 시작할 뿐 아니라, 결과값까지 받아 온다.

첫 번째 인자는 실행할 데이터가 담긴 인텐트 객체고, 두 번째 인자는 어떤 요청인지 구별하기 위한 상수이다.

그 결과 값은 창이 종료될 때 onActivityResult가 호출되면서 그 안에 담겨진다.

잠시 onActivityResult 함수를 보자.

DeviceScanActivity 4

requestCode, resultCode, data가 넘어오게 되는데 각각 이런 정보를 담고 있다.

requestCode: startActivityForResult(enableBtIntent, REQUEST_ENABLE_BT)를 호출할 때 넘겨준 요청 상수가 담긴다. 이 값을 통해서 어떤 액티비티에서 온 값인지 판별한다.

resultCode: 창에서 어떤 버튼을 눌렀는지에 대한 결과값이 담긴다.

data: 새로운 창에서 인텐트를 보냈다면 그 인텐트가 이곳이 담긴다.

위에 소스에서는 requestCode로 블루투스 다이얼로그 창으로부터 호출된건지 확인후, 그 창에서 아니오를 눌렀을 때만 앱을 종료하는 것으로 처리해줬다.

예를 눌렀을 경우 계속 OnResume을 진행할 것이다.

다시 OnResume으로 돌아가보면

DeviceScanActivity 3–2

이제 블루투스 활성화가 잘 끝났다면

listview adapter를 생성해 셋팅하는데

일반적으로 많이 하듯 LeDeviceListAdapter라는 BaseAdapter를 상속받아 정의한 클래스를 이용해 어댑터를 만들고 그걸 셋팅해줬다. DeviceScanActivity가 ListActivity를 상속받았기 때문에 이 클래스 자체가 ListView로 쓸 수 있다.

그리고 따로 만들어 놓은 scanLeDevice 함수를 통해 스캔을 시작한다.

먼저 LeDeviceListAdapter 클래스를 보자.

DeviceScanActivity 5–1
DeviceScanActivity 5–2

이렇게 블루투스 장치들을 추가하고 getView에 뿌리는 등등을 작성했는데

진짜 일반적으로 어댑터를 만들었기 때문에 생략…

addDevice가 ArrayList에 장치를 추가하는 메소드다…

다시 돌아가서 DeviceScanActivity 3–2를 보면 그렇게 ListView를 만들고 이제 scanLeDevice를 실행한다.

DeviceScanActivity 6

스캔을 얼마 동안, 즉 스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핸들러를 이용해 SCAN_PERIOD 시간 후에

mBluetoothAdapter.stopLeScan(mLeScanCallback) 메소드로 스캔을 멈추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스캔을 시작한다.

mBluetoothAdapter.startLeScan(mLeScanCallback);

이 메소드로 BLE 장치를 스캔해 그 결과를 mLeScanCallback 콜백 함수에 넘겨주며 호출한다.

DeviceScanActivity 7

다음은 콜백 함수인 mLeScanCallback인데,

이 함수는 새로운 장치가 발견될때마다 onLeScan을 호출하는 듯 하다.

인자 중에 final BluetoothDevice device에 검색된 장치의 정보가 들어오게 된다.

그래서 리스트에 addDevice해주고 notifyDataSetChaged로 ListView의 getView를 호출해 리스트를 갱신한다.

여기까지 BLE 장치들을 검색하고 리스트에 뿌려주는 일을 하는 소스이다.

이제 리스트에 나열된 BLE 장치들을 클릭하면 그 장치와 연결되면서 새로운 액티비티(DeviceControlActivity.class)가 뜨도록 해야한다.

리스트에서 각 아이템을 클릭했을 때는

ListActivity를 상속한 DeviceScanActivity에서 오버라이딩 메소드인 onListItemClick가 호출되게 된다.

DeviceScanActivity 8

(ListView l, View v, int position, long id)가 인자로 넘어오는데

l은 listview 객체이고, v는 부모 객체, position은 클릭된 아이템의 위치, id는 그 아이템의 고유 번호가 들어있다.

그래서 DeviceControlActivity로 인텐트를 만들고 추가로 클릭된 디바이스의 정보를 담은 후

스캔을 중지하고

새로운 액티비티를 띄운다.

이제 DeviceControlActivity에서 그 장치와의 연결, GATT 서비스들을 화면에 뿌려주고, BLE장치에서 온 데이터를 읽는 것까지 하게 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