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어떻게 사물을 인지하는가
여러분은 여러분이 보는 정보 중 얼마나 인식하고 있나요?
왜곡된 그래프 읽기
사람들은 일정하게 제시되는 값보다 과대평가 (overestimate) 또는 과소평가(underestimate)하는 경향이 있고 이는 우리의 지각(perception)이 왜곡되는
시각적 착각(optical illusion)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그래프를 통해서 정보를 얻을 때 빈번하게 왜곡된 정보를 얻게 된다.
물론 그래프의 유형에 따라 가독성이 달라질 수 있다. 그래프 바와 원형 그래프, 선형 그래프는 같은 정보를 담고 있다고 하더라도 인식의 차이를 불러온다.
하지만 여전히 그래프는 데이터를 단순하고, 알아보기 쉽게 표현하는 최고의 도구다. 그 이유는 시각적 인식이 활용되기 때문이다. 적절한 그래프 사용은 정보를 전달하기에 좋은 시각적 도구로 작용한다.
시각-공간 인식능력
테이블을 설명할 때도, 물체 중심으로 생각할 때와 단어 중심으로 생각할 때 떠올리게 되는 속도의 차이가 있다. ‘Table’을 읽는 것과 테이블 그림을 보는 것을 생각해보자. 이는 object 중심적 시각화라면, 공간을 시각화하는 방식도 있다. 우리는 모두 시각적으로 공간을 인식하는 능력이 있다. 주사위나 여러개 쌓인 블럭의 갯수를 맞춰보는 등 공간 지각능력을 시험할 수 있는 여러 예제들이 있다.
인식의 불확실성
하지만 지각능력에서도 차이가 있듯이, 인간의 인식 능력에는 오류가 발생한다.
— — — —
> — — — — <
작은 차가 앞에 있을 경우 자기 차와의 거리가 큰 차가 앞에 있을 때보다 더 멀다고 인식한다. 이것은 모든 차의 크기를 평균 크기로 가정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다. 실제로 작은 차의 후면을 추돌할 가능성이 더 높다.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정보를 활용해서 현재의 상황을 가정하고, 그 안에서 의미있는 패턴을 찾는다.
인식의 모호함
크기, 거리, 깊이에 대한 인식의 모호함은 3차원 공간을 2차원에 표현할 때 발생하는 한편 패턴 인식의 모호함은 불규칙한 선들이 많이 사용될 때 더 심해질 수 있다.
특히 3D 공간을 인식할 때 정보를 불러오는 데에 많은 에너지를 쏟게 되고, 정보 과부하가 일어나기도 한다.
<다음에서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