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 Draper가 말하는 정부와 ICO를 통한 사회적 변혁

Sungpil Nam
Airbloc Protocol
Published in
10 min readApr 16, 2018

--

This article is provided in Korean ONLY and will be translated to English within next week. English Airblocers please hold!

본 내용은 에어블록의 대표인 필자가 2018년 싱가폴에서 개최된 De/Centralize에 참석하여서, Tim Draper의 Speech를 제 3자의 시각에서 재해석해서 옮겨놓은 것입니다. 따라서 이 내용은 Tim Draper 본인과는 아무 상관없는 청취자의 단독 해석임을 밝힙니다.

Tim Draper와 한국인 창업자 친구

리니지의 집행검 (출처 : 동아일보)

Tim Draper가 처음에 가상화폐의 세계로 들어오게 된 계기에 대한 얘기는 한 명의 한국인으로서 매우 흥미롭습니다. 2004년 Tim Draper에게 한 한국인 친구가 자신의 게임이 한국에서 전체 인구의 40%의 사람들이 플레이하고 있다고 자랑했다고 합니다. (Tim Draper는 그 게임의 이름을 “Legend”로 기억했는데, 그런 게임이 없기 때문에 정확히 어떤 게임인지는 알 수가 없으며, 개인적으로는 L자 발음이 겹친다는 점에서 리니지가 생각이 났습니다.)

그리고 그 한국인 창업자 친구가 자신의 아들이 생일 선물로 ‘검’을 달라고 했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처음에 Tim Draper는 그 친구 아들이 진짜 검을 달라는 줄 알았는데, 그 검은 알고보니 게임상 아이템이었고, 상당히 비싼 게임 아이템이었다고 합니다. 그 때 Tim Draper는 현실의 꽤 큰 액수의 돈이 디지털 세상의 물건으로 교환될 수 있다는 것에 매우 충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 때 Tim Draper은 결국에는 화폐 자체도 그렇게 가상화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후 비트코인을 알게되고 250K USD를 비트코인 1개가 4 USD일 때 전부 투자하게 되면서, Tim Draper는 결과적으로 가상화폐의 대부가 되게 됩니다.

가상화폐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정부간의 전쟁!

Tim Draper는 재미있는 주제에 집중했는데, 그는 현재 블록체인 기술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정부라고 하였습니다. (이 부분에서 많은 청취자들이 웃었습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그는 정부들도 더 이상 이전의 실재하는 육지(terrestrial) 의 영역에서만 싸우는 것이 아니라, 가상의 세계에서 서로와 경쟁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예를 들어서 중국에서 ICO를 금지하자, 많은 중국 투자자들이 ICO를 환영하는 일본으로 옮겨가고 있고, 에스토니아는 발 빠르게 움직여서 많은 투자자들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작은 정부들은 보다 적극적이고, 큰 정부들은 자신의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서 적극적이지만, 결국에 큰 정부들도 이 흐름에 동참할 수밖에 없을것이라고 봤습니다. 즉, 정부들도 가상화폐와 블록체인의 시장에서 하나의 플레이어에 속하는 것입니다.

그는 전세계의 시장의 1/2은 정부를 포함한 공공부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이 정부의 서비스들을 정말 완벽한 “관료”로 만들어줄 수 있는 것이 스마트 계약이라고 봤습니다. (만약 스마트 계약이 정부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이는 정말 “기계적으로" 공평하게 일을 처리하는 관료가 될 수 있겠습니다.)

정부가 어떻게 변할 것인가? Tim Draper는 앞으로 정부들이 작은 서비스들을 블록체인 위에서 제공하게 될 것이고, 한 명의 개인으로서 의료 서비스는 예컨대 쿠바의 의료 서비스로 받고, 종교의 자유는 미국에서 보장받으며, 교육 서비스는 싱가포르에서 받는 식의 부분적인 시민으로서의 권리 향유가 가능할 것으로 봤습니다.

(필자로서 개인적인 생각은 이렇게 되면 공공부문의 보다 투명한 부분 사유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가 많은 경우 봤듯이 정부 관료들과의 개인적인 혹은 사업상의 끈을 사용해서 정부의 대규모 사업들을 조정하는 일부 큰 기업들이 있는데, 이론상으로 이들이 사라질 수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내 고장과 서울을 연결하는 고속도로를 짓게 되면, 내 고장 사람들이 이 공공부문 사람에 대한 토큰을 사게 되고, 일정 금액의 토큰을 산 사람들에게는 고속도로 사용료가 할인될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처럼 특정 기업이 모든 이권에 대해서 독점을 하고, 종국적으로 시민들의 세금까지 잘못된 scheme으로 가져가는 일이 없어질 수 있습니다.)

ICO란 사회적 변혁을 위한 방아쇠와 같은 존재

ICO는 사회적 변혁을 위한 시동을 거는 자들(a kick-starter for societal transformation)

마지막으로 Tim Draper가 자신의 흥미로운 견해를 밝힌 것은 ICO에 대해서입니다. 그는 ICO가 완전히 비영리(non-profit)도 아니고, 반면 완전히 영리(for-profit)도 아니라고 하였습니다. 오히려 ICO가 “사회적 변혁을 위한 시동을 거는 자들(kick-starter for societal transformation)”이라고 말했습니다.

즉, 그는 ICO 투자자들이 물론 영리적 수익을 위해서 프로젝트들에 투자하지만, 이보다도 “나는 이 ICO를 지지함으로써 세상이 이렇게 바꾸게 되는 그 변혁(transformation)의 명분과 그것이 가져다줄 실리를 후원”한다고 하는 것에 조금 더 가깝다고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오히려 ICO가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를 많이 일으켜서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변화의 흐름에 동참하게 만드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고 봤습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모든 ICO들은 사회적인 이슈에 대한 정확한 명분이 있어야 합니다.)

한 명의 청취자로서 느낀 점은 Tim Draper의 관심은 이제 가상화폐의 영역에 머물러있지 않고 어떻게 블록체인이 ‘사회'를 이루는 수 많은 합의 알고리즘 자체를 변혁시킬 것인지로 옮겨간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그의 관점은 정부의 사업을 어떻게 탈 중앙화할 것인지, 그리고 ICO가 결국은 사회적 변화를 일으키는 방아쇠가 될 것이라고 보는 것에서 드러납니다.

에어블록의 사회적 당위성

저는 지난 3년간 디지털 광고 시장에 있으면서, 한 명의 사업자로서 데이터가 효율적인 마케팅을 위해서 줄 수 있는 효과와 이 효과가 가져올 시장의 크기와 기회를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개인들의 데이터가 상상도 할 수 없는 수준으로 수집되고, 이 데이터가 한 번 수집되면 개인들의 손아귀를 벗어나서 얼마든지 중앙화된 기업들의 이익을 위하여 유용될 수 있다는 현실도 겪었습니다

높은 가치를 가진 개인 데이터를 탈중앙화하여 데이터의 주체인 개인들에게 권리를 돌려주는 것은 아래의 3가지 이유로 사회적으로도 당위성이 있는 일입니다. (1) 개인들이 직접 민감한 개인정보의 유출을 막고, 통제할 수 있습니다. (2) 중앙화된 시스템 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데이터의 유출을 막을 수 있습니다. (3) 추적의 범위를 넓혀서 몇몇 악성 사용자(Bad Actors)들의 일탈을 막을 수 있습니다.

지난 몇 년 간 데이터 브로커들은 개인의 아주 민감하고, 때로는 개인에게 상처가 되는 종류의 데이터까지 거래를 해왔습니다. 만약 개인들에게 자신의 이러한 데이터들이 거래되는 것을 추적하고 통제할 권한이 있었더라면 일어나지 않았을 일입니다. 개인에게 민감한 데이터가 수집되고 거래된 실제 사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알콜 중독자, 성폭행 피해자, 발기 부전 사실 등 극도로 민감한 개인의 의료 데이터 (Lists Of Rape Victims, Alcoholics, and ‘Erectile Dysfunction Sufferers’) (링크)
  2. 성적 취향, HIV 감염 여부 등 극도로 민감한 개인의 데이터 (Sexual Preferences, HIV status) (링크)

또한 중앙화된 시스템 상에서는 철저한 보안을 통해서도 데이터를 완벽히 지켜내기가 어렵습니다. 반면에 블록체인 상에 저장된 데이터는 더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데이터 브로커들에 대한 많은 해킹 시도가 있어왔습니다.

  1. 2003년 Acxiom은 해킹 공격으로 인하여 약 16억 건의 사용자 데이터를 해킹당했습니다. (링크)
  2. 2011년 Epsilon은 해킹 공격으로 인하여 다수의 이메일을 해킹을 당했으며, 이는 해커에 의하여 10억 개의 이메일 주소로 200만 건의 스팸메일이 발송되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링크)
  3. 2015년 Experian은 해킹 공격으로 인하여 약 1,500만 명의 사용자 데이터를 해킹당했습니다. 사용자 데이터에는 이름, 주소, 여권 번호 등의 다수 민감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링크)
  4. 2017년 Equifax는 1억 4,300만 명 사용자들의 사회보장번호와 운전면허증 번호를 해킹당했습니다. (링크)
  5. 2017년 Alteryx는 Experian에서 구매해온 데이터 중에서 약 1억 2,000만 가구(household)의 데이터를 해킹당했습니다. 가구별 데이터에는 주소, 민족, 관심사, 취미, 수입 등 민감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링크)

또한 마지막으로 추적의 범위를 넓혀서 중앙화된 시스템 상에서 악성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함부로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에어블록은 블록체인 상에서 이 데이터가 누구에게로 넘어갔는지의 일체의 기록을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만들어놓습니다. 따라서 설령 블록체인 밖으로 데이터가 나가서 제 3자의 손에 맡겨지더라도, 결과적으로 그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가져간 사실은 남게 되므로 이는 악성 사용자들에게 자신의 행위에 대한 후속 책임을 지우는 것에 사용될 수 있고, 악성 사용자들의 잘못된 행동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습니다.

  1. 셰릴 샌드버그는 페이스북의 Cambridge Analytica 사태에 대해서 “언제나 악성 사용자들은 있다(There will always be bad actors)”라고 평가했습니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악성 사용자들의 행동에 대해서 더욱 큰 책임을 지우고, 예방효과를 더욱 강하게 줘야 할 필요성이 제기됩니다. (링크)

이외에도 최근 유럽에서 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이 발의되는 등 전세계적으로 개인의 정보와 데이터를 보호하려는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류 또한 본 프로젝트의 사회적 당위성을 견고하게 만들어줍니다.

이와 같이 에어블록은 본 프로젝트가 일으킬 사회적 변혁의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서 믿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회적 당위성에 대한 근거를 지속적으로 다듬고 발전시켜나갈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백서에 포함된 “에어블록 권리장전”을 참조해주세요.

에어블록에 대해서는 아래의 웹사이트와 커뮤니티를 통해서 더욱 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