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료 토큰 시대의 종말 (I)

탈 중앙 데이터 고버넌스 프로토콜을 지향하는 밴드 프로토콜.

글을 시작하며

우리가 소위 말하는 불장은 2017년 말부터 2018초까지 한국을 중심으로 형성된 암호화폐 초 호황장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러한 불장의 중심에는 이더리움이 있었음을 부정하는 사람들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이더리움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한 토큰 발행을 시작으로, ERC20라는 토큰의 표준까지 만들어 내면서 정말로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세상에 나왔다.

이더리움 트랜잭션과 2017–2018 불장의 상관관계(?)

이더리움 자체는 어땠나. 이더리움은 말 그대로 유틸리티 토큰으로써 이더리움 플렛폼 자체적으로 어떠한 트랜잭션이 발생하면 이에 대한 수수료로 지불하는 용도로 사용됐다. 트랜잭션이 많아지니 이더리움에 대한 수요도 올라갔을 것이고, 국내에는 ICO 열풍이 불면서 이더리움에 대한 수요가 굉장히 높았다. 그래서 그 이후로는 제 2의 이더리움을 꿈꾸며 너도나도 스마트 컨트랙트 플렛폼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수수료가 유일한 사용처인 토큰들이 너무나도 많아졌고,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모델은 그렇게 오래가지 못했다. 수수료로 사용하는 토큰이 성공하려면 해당 플렛폼이 성공해야 한다는 대전제가 필요한데다, 성공 한다고 해도 라이트닝 네트워크와 같은 별도 채널을 만드는 행위들은 계속 될 것인데 과연 롱런 할 수 있을까?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수수료 토큰의 문제점을 지적한 후, 대안을 제시하고, 이 대안의 예시로 밴드 프로토콜을 들어보고자 한다.

이자(Interest Rate)가 주는 환상

우선 수수료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전에,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이 하고있는 거짓말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한다. 현재 업계에서 POS 로의 전환은 마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준 것처럼 보인다. 이더리움을 비롯해서 EOS, COSMOS 등은 결국 전부 POS 라는 큰 틀에서 각자 자기들만의 취향대로 합의 메커니즘을 고친 것에 불과한데. 자신들의 플렛폼을 광고할 때 항상 강조하는 것이 바로 이자(Interest)다.

그런데 과연 그게 이자(interest)인가? 그게 이자(interest)라면 이자는 무엇인가? 이자의 개념은 19세기 오스트리아의 경제학자인 오이겐 폰 뵘바베르크(Eugen von Bohm-Bawerk, 오이겐 폰 뵘바베르크는 오늘날 저명한 경제학자로 꼽히는 조세프 슘페터(Joseph A. Schumpeter)의 스승이자, 근대 오스트리아 학파의 아버지인 루트비히 폰 미제스(Ludwig Von Mises)의 스승이기도 하다.)가 정의한 바 있다.

뵘바베르크에 의하면, 이자는 시간선호(Time Preference)에 의한 결과이다.

시간선호(Time Preference)는 현재의 재화를 미래의 재화보다 더 소중하다고 여기는 것을 이야기 한다. 다가오는 크리스마스에 A라는 상품을 갖고 싶다면 그것을 내일보단 오늘, 오늘보단 어제 받기를 원하는 우리의 선호현상을 의미한다. 우리는 기본적으로 현재 재화를 미래 재화보다 소중하게 여기고, 미래를 위해 현재를 포기하려면, 미래엔 일종에 프리미엄이 붙어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이것을 이자(interest)라고 이야기 하는 것이다.

즉, 이자라는 것은 시간의 가격이다. 현재의 재화가 중요하지만, 현재에 재화를 사용하고 소비하는 행위를 멈추게 할 만큼 프리미엄이 붙는 것이 이자다. 즉, 어떠한 재화에 대하여 시간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면 상대적으로 미래 재화 대비 현재 재화의 가치가 그렇게 크지 않을 것이므로 낮은 이자가 형성될 것이다.

결국 이자는 시간의 가격이기 때문에 중앙은행이 존재하지 않는 시장에서의 이자는 특정 돈을 지금 당장 써야하는 사람이, 지금 당장 많은 돈이 필요는 없지만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프리미엄을 주고 가져오는 것이다.

하지만 블록체인 업계에서의 이자는 완전히 왜곡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블록체인 업계에서 수많은 POS 프로젝트들이 주장하는 이자는 그냥 주조차익일 뿐이다.

모든 용어들이 블록체인 업계에만 들어오면 왜곡되고 변질되는듯하다.

돈을 더 찍어내서 준 다음에 그것이 이자라고 하면, 우리는 이자(interest)의 개념을 다시 정의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애초에 플렛폼 딴에서 이자를 제공할 수 없는 이유도 플렛폼에 은행 같은 중개자가 없는 상태에서 신용대출을 비롯한 자유로운 대출 환경이 조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솔직히 말해서 플렛폼이나 프로토콜 딴에서 토큰을 홀딩한 것만으로도 수익을 줄 수 있는 모델은 수익이 발생했을 때 수익을 공유하는 배당(Token Dividend) 과 Compound와 같은 담보대출 디앱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진짜 이자(interest) 정도다.

다음글에선, 본격적으로 수수료로만 지불되는 토큰이 가지는 사용성의 한계와 밴드 프로토콜이 어떻게 주조차익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보상을 주려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본딩 커브에 대해서 다루어볼까 한다.

TG: https://t.me/bandprotocol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