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ers Basic 4] 블록체인의 종류와 특징

장경재
BlockMakers Powered by DAIOS
6 min readSep 19, 2018

본 자료는 해시넷 블로그의 글을 조금 더 이해하기 쉽게 재 가공하였습니다.

블록체인의 종류

  1. 퍼블릭(public) 블록체인
  2.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

블록체인은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나눌 수 있는 데, 이를 나누는 기준은 해당 블록체인에 얼마나 참여할 수 있는 가에 의해서이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말 그대로 누구나 할 수 있는 개방형이고, 프라이빗은 제한된 사람들만 참여할 수 있는 폐쇄형이다. 이 두가지를 연결하거나 섞은 혼합형은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퍼블릭 블록체인은 누구든지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공공 블록체인 혹은 개방형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인터넷이 연결되는 환경이라면 어떠한 장비도 가리지 않고 참여할 수 있다. 이렇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각의 기기를 노드(node)라고 하는데, 각 노드들은 블록체인에 저장된 정보들을 복사하여 가지고 있을 수 있고 해시 연산을 수행하여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만약 노드의 시스템이 블록체인을 이용하는데 환경적으로 제한이 된다면 네트워크에 연결하지 않고 접속차단으로 이용하지 않는 것도 자유롭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것이 자유롭듯, 탈퇴도 자유로운 것이다.

각각의 노드들은 블록체인에 정보를 복사하여 저장하는 데, 이 때 운영비는 컴퓨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지불한다.

마치 기존의 서버 비용를 분산하는 것과 같다. 운영비를 개인이 부담하면 오히려 손해가 아닐까?

퍼블릭 블록체인은 이러한 운영 비용을 감당할 수 있도록 암호화폐를 지급 받음으로써 각종 비용에 대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블록체인 생태계가 활성화될수록 이렇게 받은 암호화폐를 통해서 실생활에서 비용을 회수 할 수 있다. 만약 이렇게 보상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에 참여한 사람은 경제적인 보상도 없고 비용만 손실되므로 네트워크가 유지될 수 없다.

이런 점에서 퍼블릭 블록체인은 암호화폐와 분리할 수 없는 일체형 구조로 되어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비트코인, 이더리움 , 이오스 등 대부분의 암호화폐는 퍼블릭 블록체인 방식으로 운영된다.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퍼블릭과는 다르게 제한된 인원들만 참여할 수 있는 폐쇄형 블록체인이다. 폐쇄형,허가형 블록체인이라고 할 수 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참여하기 위해서는 관계자의 승인을 얻어야만 가능하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운영은 암호화폐가 굳이 필요하지 않지만 발행할 수는 있다. 물론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인원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암호화폐의 사용도 내부적으로만 가능하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서 암호화폐를 발행한 사례는 국제 송금을 위한 리플이 있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hybrid blockchain)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이란 퍼블릭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서로 연결하거나 섞은 혼합형이다.

  • 더블체인(double chain)은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연결한 블록체인이다. 이에 대한 예로서는 사물인터넷(IoT)이 있다. 가정에서 쓰이는 사물인터넷은 프라이빗하게 하고 자동화된 결제를 위해 퍼블릭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이 때 퍼블릭 블록체인은 메인넷이 되고, 여기에 연결된 다수의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1:N 구조의 사이드체인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더블체인을 이용하는 블록체인에는 에이치닥(Hdac)이 있다.
  • 인터체인(interchain)은 서로 다른 다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하나로 연결하기 위한 체인이다. 이에 대한 예시로는 아이콘(ICON)이 있다.
  •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이란 동일한 목적이나 가치를 가지고 있는 다수의 기업과 단체들이 하나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그 안에서 작동하도록 만든 것이다. 예시로는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 프로젝트가 있다. 넓은 의미에서 보면, 특정한 기업들과 단체들이 구성했기에 프라이빗은 블록체인의 형태와 유사하지만, 따로 구별하여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으로 분류한다.

참고 : 퍼블릭 vs 프라이빗 블록체인 구분법 언제까지 유효할까

블록체인의 특징

  1. 신뢰성
  2. 안정성
  3. 탈중앙

신뢰성

블록체인에 기록된 내용은 해시함수를 통해서 변환되어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된다. 단 한글자만 바꾸더라도 모든 해시값이 변경되므로 특정데이터를 위변조하는 방식으로는 해킹이 불가능하므로 신뢰성이 확보된다. 블록체인 자체를 해킹하는 유일한 방법은 51%은 공격이라 불리운다.

이는 전체 네트워크의 50% 이상에 해당하는 해시 연산 능력을 가지고 있고, 다른 노드들보다 빠른 속도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전파함으로써, 정상적인 데이터를 채택하는 것이 아니라 위변조된 데이터를 가진 블록체인은 채택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51% 공격을 성공 시키려면 모든 노드들의 해시 연상 능력보다 좋아야 하는데, 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다른 말로 하자면 노드의 제한적이라면 51% 공격이 성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록체인의 신뢰성은 그 자체로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노드가 많을수록 높아지므로, 신뢰성은 노드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관건이다.

안정성

출처 : 조선일보

특정 서버를 다운 시킬 때 쓰는 해킹방법 중에 디도스 공격이 있다. 디도스(DDos)란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의 약자로,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를 통해 공격하려고 하는 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도록 하여 과부하로 서버가 다운되거나 접속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블록체인 시스템은 서버-클라이언트의 구조가 아니기에 특정 노드들을 멈추게 한다하여도 전체 블록체인 시스템을 마비시킬 수 없다.

출처 : IT WORLD

또 다른 해킹방법으로 랜섬웨어가 있다. 랜섬웨어(ransomeware)란 컴퓨터 시스템을 감염시켜 접근을 제한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할 때 몸값(ransom)을 요구하는 악성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이 역시 기존에는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에서 서버를 감염시켜 클라이언트에 접속을 제한할 수 있었지만 블록체인 시스템에서는 특정 노드들을 감염시킨다 하더라도 동시에 마비시킬 수 없다면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탈중앙

블록체인 시스템은 권위있는 중개기관이 없고 자율적으로 참여자들에 의해서 운영되므로 탈중앙적인 성격을 가진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