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and Implications of Travel Rule Implementation Based on the H2 2024 Virtual Asset Industry Survey
According to the H2 2024 Virtual Asset Status Survey released by Korea’s Financial Intelligence Unit (FIU), both Travel Rule-compliant transactions and whitelisted wallet transactions among domestic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VASPs) showed an upward trend.
- Amount of transfers between registered domestic VASPs (subject to the Travel Rule): KRW 19.4 trillion
> Number of transactions: 540,000 (H1 2024) → 580,000 (H2 2024)
- Amount of outbound transfers to whitelisted wallets (KRW 1 million or more): KRW 75.9 trillion
> Number of transactions: 2 million (H1 2024) → 2.59 million (H2 2024)
These figures suggest that compliance with the Travel Rule is gradually taking root, while whitelisting continues to be widely used. The steady, albeit moderate, increase in Travel Rule transactions indicates that exchanges are adapting progressively to the regulatory framework.
The Travel Rule was formally extended to virtual assets in June 2019, when the Financial Action Task Force (FATF) recommended that the same anti-money laundering (AML) and counter-terrorism financing (CFT) obligations applied to tradi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also apply to VASPs.
Under the Travel Rule, VASPs are required to collect and transmit sender and recipient information for virtual asset transfers. In response to this global guidance, South Korea amended its Act on Reporting and Using Specified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in 2020 and, after a one-year grace period, officially enforced the Travel Rule on March 25, 2022, for domestic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VASPs).
In the early phase of implementation, due to limitations in system infrastructure, the Travel Rule was effectively enforced only for transactions between registered domestic VASPs.
Transfers involving foreign exchanges or personal (unhosted) wallets were difficult to monitor or control.
To address this, many exchanges adopted a whitelisting approach, allowing withdrawals only to pre-registered and verified wallet addresses of trusted counterparties — a manual method of regulatory compliance.
However, for personal wallets, central authorities face legal and technical limitations in collecting user data or enforcing compliance. These wallets remain a regulatory blind spot, particularly in terms of AML and KYC compliance, due to the difficulty of verifying the user’s identity.
Globally, the Travel Rule is being gradually adopted by major jurisdiction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expanding to include cross-border transactions (domestic ↔ foreign, foreign ↔ foreign).
As a result, more exchanges are moving away from manual whitelist-based controls and shifting toward automated, solution-based Travel Rule compliance systems.
In South Korea, solutions such as CODE have been deployed, enabling real-time, encrypted exchange of sender and recipient information among major VASPs.
The Travel Rule is more than just a regulatory obligation — it is a core mechanism for enhancing the credibility, transparency, and security of the virtual asset market.
South Korea has been one of the more proactive jurisdictions in Asia to legislate and implement the Travel Rule, and regulatory compliance is now spreading broadly acros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virtual asset transactions.
While the whitelist-based approach has served as a transitional safeguard, it remains inherently manual and limited in scalability, posing ongoing operational and compliance risks.
In conclusion, the whitelist-based method must evolve into an automated, solution-driven system that minimizes risks and ensures safer, more efficient compliance with the Travel Rule.
This transition will serve as a critical infrastructure for the long-term sustainability and global competitiveness of South Korea’s virtual asset industry.
금융정보분석원(FIU)이 발표한 2024년 하반기 가상자산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가상자산사업자(VASP)들의 트래블룰(Travel Rule) 적용 거래와 화이트리스트 방식 거래 모두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국내 신고사업자 간 이전 금액(트래블룰 적용 건): 19.4조 원
> 건수 기준: 54만 건(24년 상반기) → 58만 건(24년 하반기)
- 화이트리스트 출고 금액(건당 100만 원 이상 이전된 규모): 75.9조 원
> 건수 기준: 200만 건(24년 상반기) → 259만 건(24년 하반기)
이 수치는 트래블룰 기반의 거래 준수율이 점차 안착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동시에 여전히 화이트리스트 방식이 널리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트래블룰 적용 건수는 소폭이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거래소들이 제도에 점진적으로 적응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트래블룰은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2019년 6월, 기존 금융기관에 적용되던 자금이동 규제를 가상자산사업자(VASP)에게도 동일하게 적용하라고 권고하면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규제는 자금세탁방지(AML) 및 테러자금조달방지(CFT)를 목적으로 하며, 가상자산 이전 시 송·수신자의 신원정보를 수집하고 거래정보와 함께 전송하도록 요구합니다.
한국은 FATF 권고에 발맞춰 2020년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을 개정하였고, 1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22년 3월 25일부터 트래블룰을 국내 가상자산사업자를 대상으로 본격 시행하였습니다.
제도 시행 초기에는 시스템 인프라의 제약으로 인해 실질적으로는 국내 신고사업자 간 거래에만 트래블룰이 적용되었습니다. 즉, 국내 거래소 간 자금이전에는 규제가 적용되었으나, 해외 사업자 및 개인지갑과의 거래에는 실질적인 통제가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이러한 한계 속에서 다수의 거래소들은 신뢰 가능한 상대 사업자만을 사전 등록하여 거래를 허용하는 ‘화이트리스트 방식’을 도입해 트래블룰 준수를 수동적으로 실현해 왔습니다.
그러나 개인지갑의 경우, 중앙기관이 고객 정보를 직접 수집하거나 규제를 강제하는 데에는 여러 제약이 있으며, 신원 확인이 어려워 AML과 KYC 측면에서 여전히 사각지대로 남아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도 트래블룰 도입은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 해외, 해외 ↔ 해외 간 가상자산 이전에도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거래소들이 화이트리스트 중심의 수동 방식에서 벗어나, 자동화된 트래블룰 솔루션 기반의 전송 시스템으로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한국 내에서는 CODE의 트래블룰 솔루션이 도입되어, 주요 VASP 간 암호화된 송·수신자 정보의 실시간 교환이 이루어지는 구조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트래블룰은 단순한 의무 조항을 넘어, 가상자산 시장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규제입니다.
한국은 아시아권에서 비교적 빠르게 트래블룰을 법제화하고 시행한 국가이며, 국내외 거래 전반에 걸쳐 규제 준수 체계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과도기적으로 활용된 화이트리스트 방식은 일정 부분 트래블룰 준수를 위한 안전장치 역할을 해왔지만, 수동적인 방식에는 한계가 존재하며 관리 부담과 리스크 요인도 여전히 상존합니다.
결론적으로, 수동으로 운영되는 화이트리스트 방식은 트래블룰 솔루션과 시스템을 기반으로 자동화하고 고도화함으로써 위험을 줄이고,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전환·확대되어야 합니다.
이는 한국 가상자산 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 작용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