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ereum 유동성 스테이킹(Liquid Staking)과 Swell Network

qorehf
CURG
Published in
18 min readOct 3, 2022

Swell Network — 최초의 Liquid Staking Marketplace

백인성 | CURG

출처: https://smartvalor.com/ru/news/introducing-ethereum-staking

지난 9월 15일 이더리움은 ‘더 머지(The Merge)’ 업그레이드를 최종 완료했다. 더 머지(The Merge) 업그레이드란 기존의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합의 알고리즘을 작업증명(PoW)에서 지분증명(Pos) 방식으로 변경하는 대규모 업그레이드다.

이더리움이 본격적으로 PoS체인으로 전환하게 되면서, 이더리움 네트워크에도 다양한 스테이킹 플랫폼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오늘은 이더리움 스테이킹 서비스, 그중에서도 유동성 스테이킹(Liquid Staking)과 최근 등장한 탈중앙화 스테이킹 서비스인 Swell Network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이더리움 PoS 전환

출처: https://www.stakingrewards.com/journal/overview-of-eth-staking-derivatives/

이더리움이 ‘더 머지(The Merge)’ 업그레이드를 완료함에 따라,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완전히 PoS 합의 알고리즘을 따르게 되었다.

이로써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검증인(Validator)이 되어 블록을 생성하고 보상을 받으려면 최소 32개의 ETH를 예치(Staking)해야만 한다.

32ETH라는 ‘최소 자본 요구 사항’은 검증인이 무분별하게 늘어나는 상황을 막고, 검증인들로 하여금 성실하게 블록 검증 과정에 참여하도록 만드는 담보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32ETH가 없는 다수의 사람들이 직접 검증인이 될 수 없게 되었고, 직접 자신의 하드웨어를 운영하며 32ETH 스테이킹을 통해 검증인이 되는 ‘솔로 스테이킹(Solo Staking)’의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 자산을 언제까지 묶어두어야 할지 모르는 불확실성이다. 6~12개월 뒤로 예정된 ‘상하이 업그레이드’가 있기 전까지는 검증인이 되기 위해 스테이킹 했던 자금을 출금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관리를 위한 높은 기술적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잘못된 노드 구성 등으로 인한 슬래싱(Slashing: 악의적 행동을 한 검증인의 예치금을 차감하는 개념)위험으로부터 스테이킹된 자신의 ETH을 지키기 위해서는 노드를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24시간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더리움 네트워크 내에서 다양한 주체가 스테이킹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솔루션의 도입이 필요했고, 스테이킹 서비스(SaaS, Staking-as-a-Service)라는 산업이 탄생했다.

스테이킹 서비스(SaaS, Staking-as-a-Service)

출처: https://blokt.com/guides/proof-of-stake

스테이킹 서비스(Staking-as-a-Service, SaaS)란?
SaaS란 스테이킹에 참여하고 싶은 사람들의 자산을 전문적인 노드 운영업체에 위임하는 방식을 통해, 더 많은 사람이 이더리움 스테이킹 과정에 참여하고 Validating에서 비롯되는 보상을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스테이킹 서비스는 아래와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 솔로 스테이킹(Solo Staking)
    직접 32ETH를 스테이킹하고, 24시간 작동하는 하드웨어를 통해 직접 노드를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이더리움에 직접 기여할 수 있고, 노드 운영의 통제권을 완전히 가져올 수 있으며, 블록 검증 과정에 참여한 보상을 아무 수수료 없이 직접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중앙화 거래소를 통한 스테이킹(Centralized Exchanges)
    Binance, Coinbase와 같은 중앙화 거래소 주도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킹 서비스가 있다.
    이 경우 중앙화 거래소를 이용하는 유저들이 별도의 복잡한 과정 없이 이더리움을 손쉽게 스테이킹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지갑이 거래소 소유이므로 자금이 완전히 거래소에 위탁되고, 거래소 리스크가 추가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 탈중앙화 정신과 반대된다는 점도 단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 스테이킹 풀을 통한 스테이킹(Pooled staking + SaaS)
    노드를 위탁하여 운영함으로써 직접 하드웨어를 운영하는 수고를 덜거나, 여러 사람이 함께 ETH을 모아 32ETH을 만들어 검증 과정에 참여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스마트컨트랙트를 이용해 탈중앙화된 플랫폼에 의해 운영되는 스테이킹 서비스들이 존재하는데, 오늘 소개할 Lido와 Rocket Pool 그리고 Swell Network와 같은 서비스가 그 사례다.
출처: https://dune.com/arch1111/eth-staking-dashboard

위 사진은 스테이킹 서비스 공급자별 ETH 스테이킹 물량 보유 현황이다.

2022년 10월 3일 현재 탈중앙화 스테이킹 서비스인 Lido가 전체 스테이킹 물량의 29.9%를 차지하고 있고, 중앙화 거래소인 Coinbase(14.5%), Kraken(8.3%), Binance(6.6%)가 그 뒤를 잇고 있다.

유동성 스테이킹(Liquid Staking)

출처: https://academy.moralis.io/blog/deep-dive-liquid-staking-and-its-benefits

PoS 체인에서 스테이킹을 하게 되면 스테이커는 검증과정에 참여한 보상을 함께 나눠 가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일정 기간 동안 스테이킹한 자산을 출금할 수 없기 때문에 유동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즉 이더리움 PoS체인에 ETH을 스테이킹하는 사람은 스테이킹 기간 동안의 가격 변동에 대처할 수 없다는 위험성, 그리고 본인의 ETH을 검증인에게 위임하는 대신 다른 Defi 서비스를 활용해 창출 할 수 있는 수익이라는 기회비용을 감수하고 스테이킹에 참여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방식이 “유동성 스테이킹 풀(Liquid Staking Pools)”이다.

유동성 스테이킹 풀은 스테이킹한 ETH과 1:1로 대응되는 담보 토큰을 발행해준다. 스테이커는 이 담보토큰을 이용해 Defi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원하는 시점에 제 3자에게 매도함으로써 유동성을 획득한다.

또한 일정 기간 후 받았던 담보토큰을 다시 반납함으로서 스테이킹 했던 ETH과 스테이킹 보상을 함께 출금할 수 있다.

현재 탈중앙화 스테이킹 풀은 대부분 유동성 스테이킹 풀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대표 주자로는 현재 가장 많은 ETH 물량을 보유 중인 Lido와 전체 물량의 약 2%를 보유 중인 Rocket Pool이 있다.

오늘 알아볼 또 다른 탈중앙화된 유동성 스테이킹 풀인 Swell Network를 살펴보기에 앞서 Lido와 Rocket Pool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가자.

Lido Finance

https://chaindebrief.com/what-is-lido-protocol-ethereum-2-0-staking-solution/

(Lido에 관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간략히 소개하도록 하겠다.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80183)

스테이커가 Lido의 Liquid Staking 컨트랙트에 1ETH을 예치하게 되면, Lido는 새롭게 발행된 1stETH를 사용자의 지갑으로 전송한다.

Lido는 이렇게 발행된 stETH을 활용해 백서에서 언급한 아래 4가지 목표를 이루고자 하고 있다. 각각의 목표를 어떻게 이뤘는지 알아보자.

1. 사용자들이 그들의 자산을 묶지 않으면서도, 스테이킹을 통한 보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

Lido는 스테이킹 과정에서 발생하는 보상과 벌칙(슬래싱)으로 인해 변경된 ETH의 잔고를 stETH의 발행량에 반영시킨다.

만약 스테이커가 직접 이더리움 스테이킹에 참여했다면, 검증을 통해 발생한 보상은 상하이 업그레이드가 있기 전까지(스테이킹 물량의 인출 기능 지원이 되기 전까지)는 수령할 수 없다.

하지만 Lido를 활용하면 보상으로 지급된 ETH만큼 하루에 한 번씩 stETH을 소유한 사람들의 stETH잔고를 변경하기 때문에, 스테이커들은 간접적인 방식(stETH을 수령하는 방식)으로 보상으로 지급된 자산까지 유동화 시킬 수 있게 된다.

2. 최소 스테이킹 기준(32ETH)보다 더 적은 수량으로도 스테이킹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

Lido는 스테이커들로부터 받은 ETH를 32ETH씩 적절하게 분배하여 검증인 노드를 활성화하기 때문에, 스테이커들은 ETH의 수량과 관계없이 참여하고 싶은 만큼 Lido의 스테이킹 스마트컨트랙트로 ETH를 전송하면 된다.

3. 스테이킹한 자산을 잃을 위험을 줄이는 것. (악의적인 제 3자의 공격, 소프트웨어 문제 등)

Lido는 스테이커들의 ETH가 슬래싱 되는 위험을 줄이고, 검증인 노드를 보다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DAO를 구성해 스테이커들로부터 받은 ETH를 위임할 전문적인 노드 운영자들을 선출한다.

2022년 10월 3일 기준 총 29개의 노드 운영자가 검증인으로 활성화 되어 있고, Lido는 스테이킹 풀의 ETH를 32ETH씩 검증인 노드로 활성화하여 이들 노드 운영자들에게 순차적으로 분배한다.

또한 스테이킹 보상의 10%를 수수료로 수취하여 그중 절반인 5%를 패널티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보험금으로 보관하고 있고, 나머지 5%는 검증을 대신 수행해주는 노드 검증인 노드들에게 지급하고 있다.

4. 스테이킹에 참여하면서도 동시에 다른 애플리케이션(Lending or other Trading DeFi solutions)등에 토큰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

ETH을 Lido에 예치한 증표인 stETH은 현재 커브 파이낸스(Curve Finance), 발란서(Balancer) 등의 DEX에서 유동성 공급에 활용될 수 있고, 아베(Aave), 메이커다오(MakerDAO)와 같은 대출 프로토콜에서 담보물로 인정받을 수 있다.

Lido에서는 이처럼 스테이킹 이후에도 stETH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활용처를 확보함으로써 스테이커들에게 자산의 유동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Rocket Pool

출처: https://medium.com/rocket-pool/rocket-pool-stakers-guide-2c5c324b1749

Rocket Pool은 전체 이더리움 스테이킹 물량의 2%를 보유하고 있는 탈중앙화 유동성 스테이킹 풀 서비스다.

rETH 토큰

Rocket Pool은 Lido와 마찬가지로 rETH라는 토큰을 스테이킹 된 ETH과 1:1의 비율로 발행하여 스테이커에게 증표로 지급한다. 하지만 유동성 토큰의 가치를 반영하는 데 있어서는 Lido와 다른 방식을 취한다.

Lido의 stETH는 24시간에 한 번씩 모든 토큰보유자의 지갑 잔액을 업데이트하는 rebasable토큰인 반면, Rocket Pool의 rETH는 리베이스 되는 대신, 최종 인출 시점에서 1rETH당 받을 수 있는 ETH의 개수를 뜻하는 rETH:ETH 환율(dynamic exchange rate)만을 업데이트한다.

출처: https://docs.rocketpool.net/guides/staking/via-rp.html#unstaking

따라서 위 사진과 같이 스테이커가 스테이킹하는 시점에 따라 1ETH를 스테이킹 할 때 동일한 가치로 환산되어 입금되는 rETH의 수량은 1rETH보다 작을 수 있다.

출처: https://docs.rocketpool.net/guides/staking/overview.html#the-reth-token

즉, RocketPool의 rETH는 ETH와의 가치가 1:1로 페깅되어 있지 않고, 시간이 지나 노드들의 수익이 쌓일수록 ETH대비 고평가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Rocket Pool의 Node Operators

자체적으로 선발된 29개의 노드 운영자들만이 검증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Lido와 달리, Rocket Pool은 누구나 검증인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Rocket Pool의 검증인이 되기 위해서는 16ETH와 최소 1.6ETH 가치의 자체 토큰인 RPL(rocket pool)을 보유해야 하며, 검증인으로 참여한 노드들은 RPL토큰으로 수수료를 지급받음으로써 자체적으로 스테이킹에 참여하는 것보다 더 높은 보상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Node Operator가 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노드 운영과정에서 발생한 손실은 모두 노드 운영자들이 예치한 16ETH에서 차감되게 된다.

Swell Network

https://blog.swellnetwork.io/the-next-generation-of-liquid-staking/

Swell Network는 “이더리움 최초의 유동성 스테이킹 마켓플레이스(Liquid Staking Marketplace)”를 목표하며 최근 등장한 스테이킹 풀이다.

앞서 살펴본 Lido나 Rocket Pool과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스테이커가 검증인을 선택하고, 이들에게 직접 ETH를 예치한다는 것이다.

작동원리

출처: https://messari.io/report/swell-network-ethereums-first-liquid-staking-marketplace

Swell Network의 최신 상태인 Swell V2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1. 노드 오퍼레이터(Node operators)들은 일정 ETH를 담보로 하여 검증 노드를 활성화한다.
    이때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노드 오퍼레이터는 1ETH, 독립적으로 등록한 노드 오퍼레이터는 16ETH를 담보로 맡겨야한다.
    Swell Network에서는 Lido와 달리 검증되지 않은 주체들도 16ETH만 예치하면 검증 노드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노드 오퍼레이터가 검증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 ETH를 스테이킹하는 유저들은 스테이킹 과정에서 본인의 자산을 스테이킹할 노드 오퍼레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최소 스테이킹 금액은 1ETH이다.
  3. 스테이킹이 완료되면 이에 대한 증표로 스테이킹한 ETH와 1:1로 대응되는 swETH가 지급되고, 스테이킹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swNFT도 함께 발행된다.

노드 오퍼레이터(Node Operators)

Swell Network에는 두 종류의 노드 오퍼레이터가 존재한다.

1. Swell Core team에 의해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검증된 노드 오퍼레이터

2.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되지 않은 독립적인 노드 오퍼레이터(independent Node operators)

현재는 아직 Swell Network가 런칭 단계에 있기 때문에, DSRV, RockX 등의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된 검증인들 만이 노드 오퍼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검증 노드당 1ETH만을 예치하면 된다.

이후 Swell의 서비스가 모두 런칭 됨에 따라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되지 않은 사람들도 16ETH를 예치함으로써 노드 오퍼레이터가 될 수 있다.

노드 오퍼레이터는 커미션(commission rate)을 설정할 수 있는데, 0%~10%까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추가로 노드 오퍼레이터가 설정한 커미션과 별개로 Swell은 스테이킹 보상의 5%를 수수료로 수취한다.

ETH을 스테이킹하는 유저들은 노드를 선택함에 있어 커미션과 MEV 보상 기록을 투명하게 확인하고 스테이킹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수수료가 최소화 되며, 투명성과 수익을 극대화하는 노드 오퍼레이터가 가장 많은 ETH 지분을 확보하게 된다.

Atomic Deposits — 안전하고 투명한 스테이킹

출처: https://blog.swellnetwork.io/the-next-generation-of-liquid-staking/

Swell에는 다른 유동성 풀과 달리 예금 풀이 없고, 모든 스테이킹 과정이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이뤄진다.

그렇기 때문에 노드로 ETH이 전송되기 전에 프로토콜의 예금 풀에 스테이커의 ETH이 머무르는 시간이 없고, 잠재적인 해킹 위협으로부터 더욱 안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특징이다.

출처: https://docs.swellnetwork.io/swell/stakers/staking-guide/finalise-your-stake

Swell Network의 스테이커들은 Lido나 Rocket Pool의 스테이커처럼 하나의 스테이킹 풀에 ETH를 넣어두고 인출하는 것이 아니라,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검증인에게 직접 스테이킹 자금을 전송한다.

따라서 swETH를 이용해 ETH를 인출할 때도 어떤 검증인에게 ETH를 스테이킹 했는지에 대한 증표가 필요가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필요한 것이 바로 swNFT다.

swETH

유동성 토큰이지만 따로 리베이스되거나, ETH과의 교환 비율이 변한다거나 하지 않는다.

Lido나 Rocket Pool의 유동성 토큰에서는 stETH, rETH 같은 유동성 토큰 자체가 ETH 스테이킹 보상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써 작용했지만 swETH는 스테이킹 보상과는 관계없이 최초 스테이킹한 ETH과의 1:1 교환만 가능한 단순 토큰의 기능만 수행한다.

그렇다면 스테이킹 보상은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

swNFT

스테이커는 예치한 ETH의 수, 누적된 보상, 노드 오퍼레이터 등의 정보를 담은 NFT를 발행하는데, 이게 바로 swNFT다.

스테이커들은 스테이킹 보상을 받으려면 상하이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는 시점인 6~12개월 뒤에 해당 swNFT와 예치한 ETH의 수와 같은 양의 swETH를 함께 소각해야 한다. 이로써 스테이킹 했던 ETH과 그 동안 누적되어 있던 보상을 함께 수령할 수 있다.

Swell Network의 블로그에서는 이 swNFT가 향후 담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언급하고 있기에, swNFT 자체만으로도 또 다른 유동성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될 것이라 기대되는 상황이다.

마무리

Swell Network는 엄선된 노드 오퍼레이터를 특징으로 삼으며 안전성을 우선시하는 Lido, 누구나 노드 오퍼레이터가 될 수 있고 경제적 인센티브와 탈중앙화를 우선시하는 Rocket Pool의 특징을 모두 융합한 새로운 형태의 Staking Service를 시장에 내놓았다.

엄선된 노드 오퍼레이터와 누구나 참여 가능한 노드 오퍼레이터, 두 가지 형태를 모두 취하며 노드 오퍼레이터들이 수수료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허용해 경제적 인센티브를 배경으로 스테이킹 서비스의 공급과 수요가 이뤄질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이미 Lido와 Rocket Pool 등의 대형 경쟁자들이 탈중앙화 유동성 스테이킹 시장을 선점하고 있고, 중앙화 거래소인 Coinbase와 Binance도 유동성 스테이킹을 도입하며 ETH 스테이킹 시장 경쟁은 더욱더 치열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Swell Network가 정말 유의미한 개인 간 스테이킹 마켓플레이스로서 역할을 할지는 아직 미지수라고 생각한다.

Referenc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