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RE컨소시엄이 주도하는 USD Coin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Jason Jaewoo Kim
dapps-blockchain
Published in
7 min readAug 12, 2019

--

목차

  • 시작하기 전에
  • 스테이블(Stablecoin)의 비즈니스모델
  • CENTRE컨소시엄에 대해
  • 금융기관이 CENTRE구성원으로 스테이블코인 발행하는 방법
  • 발행외에 감사 절차
  • 다른 스테이블코인에 비해 USDcoin이 우위를 가지는 이유?
  • 결론

시작하기 전에

이 리포트에서는 Circle 및 Coinbase가 주도하는 CENTRE컨소시엄에 의해 주도되는 USD Coin에 대해 설명합니다. 암호화폐 유니콘 기업인 Circle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하였고, Coinbase는 미국 최대의 거래소라는 것을 따로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USDCoin은 2018년 출시 이후 다양한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 TrueUSD, GeminiDaller등 비교하여 시장점유율이 높습니다. 백그라운드 자산을 신탁관리하여 제3자 심사를 사용하는 점에서는 USDcoin, TrueUSD, GeminiDaller모두 동일합니다.

블록체인에서 법정통화가 사용된다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거래소에서 사용할 수 있고, DApps등의 응용프로그램 또한 시큐리티토큰(Security Token) 에코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블록체인을 통해 스마트계약이 개발되기까지 스마트계약에 유용한 응용프로그램이 나올 때, 스테이블코인이 확실하게 필요한 인프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리포트는 USDcoin 구조를 연구하고, 난립하는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들에 비해 우위를 가진 이유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스테이블코인의 비즈니스 모델

USDcoin에 대해서 들어가기 전에 우선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법정통화로 뒷받침 담보하고 있는 스테이블코인의 수익을 얻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입니다.

  1. 법정통화 <-> 스테이블코인을 발행시 수수료
  2. 예탁자산에서 파생되는 이자 수익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차후에 따로 설명하겠습니다. 그렇지만, CENTRE의 USDcoin의 경우 다소 다른 점이 있어 이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CENTRE컨소시엄에 대해

우선 CENTRE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USBcoin은 단일 기업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은 없습니다. CENTRE 컨소시엄은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기 위한 프레임웍과 같고, 알맞은 금융기관은 CENTRE회원이 되면 Circle과 같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USDcoin은 이더리움(Ethereum)의 ERC20으로 구현되어 어느 금융기관에서 발행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계약구조에서 생성됩니다. CENTRE의 스테이블코인 프레임웍은 감사 및 라이선스조건, 발행스마트계약 규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차후에 다른 블록체인에서도 대응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각 회원파트너는 각 발행인출 수수료를 결정할 자유가 어느정도 있고, 각각의 인터페이스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프레임웍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발행하는 파트너는 자신의 법정통화의 소유권을 가져도 좋고, 다른 회원에게 소유권을 맡길 수 있습니다. 소유권도 별도 기준 및 감사가 요구되는 구조입니다. 또한, 향후 다른 금융기관은 USDC 이외에 EUR, CNT, GBP Coin도 발행할 수있다고 생각됩니다.

CENTRE는 오픈소스이며, 개발노력은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CENTRE에 따르면, USDcoin은 기업이 운영하는 모델이면서 오픈소스로 운영되는 스테이블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18년 10월 USDC가 출시된 이후 2019년 6월까지 USDC는 $7억9,500만달러(약 9,691억원)가 발행되었고 법정통화로 $4억7,000만달러(약 5,729억원)가 다시 인출되었습니다.

또한, $119억달러(약 14조5,000억원) 거래가 Coinbase, Poloniex, Binance, Birtfinex등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금융기관이 CENTRE구성원으로 스테이블코인 발행하는 방법

금융기관이 CENTRE구성원이 되고 USDC발행자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해당 금융기관이 해당 나라별로 라이선스를 취득함, 은행업무, 암호화폐 사업자 라이선스, 송금사업자 라이선스등
  • FATF기준을 충족하는 AML 및 규정준수 프로그램을 갖춰야 함.
  • 외부감사기관에서 정기적인 감사보고를 받아야 함.
  • CENTRE Protocols에 정통한 기술가 있어야 합니다.
  • 발행자가 법정통화 보호권을 사용한다면, CENTRE가 승인외. CENTRE’s Investment Policy에 따라야 함.
  • 감사기관으로 CENTRE맴버가 될 수 있다고 하기 때문에 감사기관에 대한 요구사항은 별도로 준비되어 있음.

발행외에 감사 절차

CENTRE 스마트계약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발행, 인출행동을 합니다. 이런 절차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발행]

CENTRE회원의 웹응용프로그램등을 통해 사용자가 스테이블코인을 구매하는 경우, 사용자 입금 후, API에서 입금정보를 얻은 계약후 토큰을 발행합니다. 사용자가 입금한 자금은 보호권으로 보존되지만, 모든 CENTRE맴버가 양도권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보호권 옵션에서 보호권을 통해 금리수익도 기대할 수 있지만, 별도의 신탁라이선스가 필요한 것 외에 CENTRE요구사항도 더 엄격하게 요구됩니다.

[인출]

인출에 대해서 사용자가 KYC확인 및 계약하고 송금하고 USDC로 보냅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은행계좌에서 법정통화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감사]

매월 외부 감사 보고서가 공개됩니다. 이 글을 시점에서는 Grant Thornton회계법인이 감사를 하고 있었습니다.

다른 스테이블코인에 비해 USDcoin이 우위를 가지는 이유?

USDcoin이 경쟁 스테이블코인에 비해 시장점유율을 크게 늘리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스테이블코인 오픈 네트워크를 전제로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한 회사 관리하는 스테이블코인 대신 다양한 기업이 발행자가 되는 것을 전제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시작기업은 Circle, Coinbase이지만, 그외 회사가 수수료 수입 및 금리수익을 얻을 권리가 거의 동등하게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이 다른 스테이블코인과 크게 다릅니다.

또한 이 프로젝트가 미국내에서 영향력이 큰 거래소 2개사가 관여되어 있다는 것도 큰 이유중 하나라고 봅니다. Coinbase거래소에서 토큰은 USDcoin에서 거래되고 있고 Poloniex는 미국달러를 은행송금으로 입금하면 자동으로 USDcoin으로 발행변환됩니다.

또한 오픈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거래소는 응용프로그램도 없는 단일 기업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과 시장점유율이 차이가 나는 것도 자연스럽습니다.

이런 여러 기업들이 발급권한을 부여하거나 금리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준비되어 있는 구조는 페이스북의 Libra에서도 동일합니다.

하여튼 이런 여러 기업에 의해 오픈네트워크가 향후 스테이블코인 경쟁의 키포인트가 되는 것은 틀림없습니다.

결론

이 리포트에서는 Circle 및 Coinbase가 주도하는 CENTRE컨소시엄에 의해 주도되는 USDcoin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이 스테이블코인은 앞으로 여러 블록체인에 대응하거나 다중 통화 지원과 응용프로그램간의 State channel구현등도 예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또한, Tether를 제외한 스테이블코인 중 가장 큰 점유율일 가진 CENTRE는 앞으로도 주목해 볼만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