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물류 플랫폼의 문제점과 디카르고가 제시하는 물류 플랫폼 LODIS의 핵심

dKargo
디카르고 공식 블로그
4 min readMar 20, 2023

--

Chapter 1.

퀵 서비스가 늦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낮은 단가와 높아지는 수수료 → 서비스의 질과 생산성 감소 → 수요 감소

퀵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급하거나 빠르게 받기 이용하지만 실제 화주의 입장에서는 기대치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운송자의 입장에서는 최근 높아진 수수료와 낮아진 단가로 인해 여러 개의 물건을 실어서 움직이는 묶음 배송을 진행하여야 수익성이 어느정도 보존되는 입장입니다.

문제의 핵심은 운송자가 부담하는 플랫폼 수수료와 낮아진 단가로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15% ~ 23% 구간이며 반면 단가는 역으로 하락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시장 환경의 변화로 퀵 서비스의 수요가 줄고 있는 부분도 한몫 하고 있습니다. 기존 택배업체와 커머스 기업인 쿠팡, 위메프, 11번가 같은 기업 뿐 아니라 주력이 물류가 아닌 기업까지 가세하면서 전체 배송 주기가 과거보다 짧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택배로 수요층이 이동하며, 퀵 서비스 물류 플랫폼 종사자들은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Chapter 2.

구조적 개선 없이 해결 할 수 없는 문제점

운송자는 불공정한 계약 형태라면 화주는 지불 비용 대비 낮은 서비스

화주가 주선 업체와 거래하거나 그에 준하는 물류 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유는, 플랫폼이 가지고 있는 물적,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자 하는 취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악성 주선 업체나 물류 플랫폼의 경우 화주에 대한 명목 수수료는 없지만 단가 칼질을 통해 실질 수수료 이중으로 부과하는 형태로 수익을 확보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플랫폼 내에서 운송자가 필요 이상의 묶음 배송을 진행하여 바운더리 내에서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게 만들고, 화주는 지불 비용 대비 낮은 서비스와 함께 배송 지연이나 분실과 같은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구조입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운송자, 화주, 플랫폼 중 일방적인 희생이 아닌 상호작용 되는 모든 당사자가 이익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적 개선이 필요합니다.

Chapter 3.

기존 물류 플랫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디카르고의 LODIS

구조적 개선에 대한 솔루션 제안

  • 중개자 없는 화주(Shipper)와 운송자(Carrier)간 직접 거래 구조
  • 온체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투명성 및 유연성을 갖춘 정산 구조
  •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세분화 된 형태로 최적화되고 유연한 배송
  • SBT와 DAO를 활용한 신뢰증명 환경 구축

디카르고가 개발 중인 퀵커머스형 C2C 물류 플랫폼 LODIS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거래 과정 중 발생하는 핵심 데이터를 On-Chain에 기록하여 위변조와 같은 악의적인 행위를 방지하고 문제가 발생 될 경우 추적과 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중개자 없이 화주(Shipper) 와 운송자(Carrier)가 계약의 당사자로서 각각의 주체로 활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물류 플랫폼 대비 유연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받을 수 있으며, 운송자는 15% ~ 23%에 달하던 수수료를 자신의 수익으로 환원하여 수익성과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화주 또한 운송자와 합의를 통해 더 경제적인 비용으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게 됩니다.

두번째 당사자 간 자유로운 합의와 계약은 On-Chain 데이터로 기록되는데 이를 기반으로 SBT를 발급하고 신뢰증명을 통해 다자간 협력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 간 콜라보레이션 과정에서 빠른 배송이 필요한 경우 목적에 맞는 DAO를 구축하거나 참여하여 효과적인 의사결정 체계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기존의 폐쇄적 구조에서 벗어나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무너트린 생산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가는데 효과적일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DAO를 기반으로 Governance에 참여하여 특정 접근 권한을 획득하거나 부여하고 리워드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등 수익과 직결되는 구조나 정책에 대해 개입 하여 플랫폼이 가진 잠재력을 확장 할 수 있습니다.

미래에는 공급자와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곳곳에 침투한 다양한 영역을 파고들어 지역사회에 밀착 된 형태로 전개 될 것이며 일상을 가늠할 수 있게 해주는 하나의 수단이 될 것입니다.

--

--

dKargo
디카르고 공식 블로그

A Decentralized and Cooperative Protocol for Next Generation Logistics — https://dkarg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