흩어진 디지털 자산을 한눈에 : DSRV Assets를 소개합니다
한눈에 보는 디지털 자산, DSRV 에셋츠(Assets)
DSRV Assets는 흩어진 디지털 자산을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모아 손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해 주는 통합 플랫폼입니다.
지난 2020년 블록체인 생태계의 성장을 이끌었던 디파이 섬머(DeFi Summer)이후, 이더리움을 필두로 저마다의 강점을 앞세운 수많은 디파이 프로젝트들이 등장하였습니다. 이더리움 뿐 아니라 여러 블록체인에서 높은 TVL(Total Value Locked: 블록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예치되어 락업된 토큰 자산의 가치)을 달성하는 프로젝트들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사용자들을 위한 서비스의 선택지 역시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마치 오늘날 우리가 다양한 금융 서비스와 은행 계좌를 동시에 사용하듯, 디파이 프로젝트가 많아지며 개인이 하나 이상의 디파이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례 역시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다양한 디지털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습니다.
“여러 체인에 여기저기 흩어진 자산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으면 좋겠다.” 자신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dApp에 참여하고 투자하는 웹3 여행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해본 적 있는 생각일 것입니다.
그래서 DSRV Assets는 사용자가 다양한 블록체인의 여러 디파이 서비스에 흩어져 있는 자산을 하나의 페이지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DSRV Assets에서 무엇을 할 수 있나요?
사용자들이 관리하고 있는 디지털 자산들을 보다 쉽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다수의 디파이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핵심적인 정보들을 포함한 포트폴리오 등 사용자의 현재 투자 포지션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DSRV Assets는 어떤 블록체인과 디파이 서비스를 지원하나요?
현재 DSRV Assets는 베타 버전으로, 클레이튼 블록체인 상의 자산에 대한 조회를 우선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점차 다른 블록체인 및 디파이 서비스 또한 지원해 나갈 예정입니다.
*현재 지원하는 프로토콜: KLAYswap, Kleva Protocol, Kokonut Swap, KlayStation, Kokoa Finance, Klaymore Stakehouse, Claimswap, Pala, Klaybank
자세한 프로토콜 목록은 지원하는 프로토콜 페이지를 참조 해주세요.
DSRV Assets에 지갑을 연결해도 안전한가요?
자산 조회를 위해 지갑을 연결하더라도, DSRV Assets는 자산 유출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개인 키(Private Key)에 대한 접근 권한이 전혀 없기 때문에 안심하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DSRV Assets가 제공하고 있는 정보는 모두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이며,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이 가능합니다. 이 데이터들을 한 눈에 보기 쉽게 가공하여 제공하고 있을 뿐, 자산에 대한 접근 권한과는 무관합니다.
꼭 지갑을 연결해야만 사용이 가능한가요?
지갑을 연결하지 않아도 지갑 주소를 입력하여 자산 조회가 가능합니다. 다만 한번에 하나의 계정만 조회할 수 있으며, 여러 계정을 한번에 볼 수 있는 종합 포트폴리오, 계정에 대한 별명 설정 등은 사용하지 못합니다.
💡 여러분의 흩어진 자산들을 한눈에 파악해보세요.디파이 생태계와 밀접해질수록, 분산된 이용환경에서 오는 불편함과 피로감을 해소하기 위해 DSRV Assets는 통합된 디파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서비스에 대한 각종 피드백은 DSRV Assets 피드백 페이지에서 접수하실 수 있습니다.Crypto Assets, Assemble!
Built by DSRV
DSRV는 지속 가능한 웹 3 경험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합니다. 개발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더 나은 웹 3 경험을 제공하고 블록체인이 보다 많은 사람이 신뢰할 수 있는 네트워크 생태계가 되도록 기여합니다. 또한, 유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25개 이상의 네트워크에 밸리데이터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멀티 체인을 지원하는 노드 제공 서비스인 올댓노드(AllThatNode)를 운영 중이며 멀티체인 월렛, 개발자용 툴 등 다양한 Web3 인프라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