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기획과 서비스 기획이 같다고 인지하나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획”이라는 단어 때문에 둘을 혼동하는 것 같습니다.
세상에 태어나 글을 배우면서 가장 먼저 손에 쥐게되는 도구가 연필일 것이다.
어릴때에는 연필만 있는줄 알고 사용하다가 나이가 들면서 샤프, 볼펜, 만년필까지 다양한 필기구가 있다라는 것을 알게되었고 다른 필기구에 욕심을 내면서…
속한 곳이 다르면 서로를 다르게 보게 된다는… 이 간극을 줄일 방법은 없는가?
블록체인 기술을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개념이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은 상태이기에 기술적 정의 및 설명하는 방식도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다이어리 정리를 하다가 얼마전 읽은 지지 않는다는 말에 나온 글귀를 적은 페이지를 발견하고 여기에 옮겨 적는다.
종종 헌책방에서 책을 사기도 한다. 우연히 들려 마음에 드는 책을 사는 경우가 보통이었고, 그렇게 내손에 잡힌 책에서 타인의 흔적을 발견하는 것이 헌책을 사는 것에 대한 매력이었다. 헌책방은 추억을 사고파는…
애플의 스티브 잡스와의 회의는 힘든 여정이었다고 합니다. 회의 가 끝난 후 안좋은 표정으로 회의실을 나서는 직원들에게 무슨일이 있냐고 물어보면 "Simple Stick으로 맞았다."라고 얘기한다고 합니다. 스티브…
우리가 흔히 일상에서 접하는 음악의 장르는 보통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인공지능과 함께 로봇은 이미 우리 생활 곳곳에 파고 들고 있고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동아비즈니스에서 흥미로운 주제를 발견했다. 바로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대체 코드의 힘” 일반적인 사람들은 익숙하면서도 낯선 것에 끌린다.
너무 익숙하면 진부하다 여기고, 낯설기만 하면 이질감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것을 만들려면 기존 시스템의 일부를 새로운 것으로 대체해야 한다. 아래는 이런 대체 코드에 대한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