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o Technology — 웹3 프로토콜 아키텍트

Lano Technology
LanoTechnology
Published in
7 min readJul 27, 2023

Lano Technology와의 협업 진행에 대해 논의하거나 커피챗을 통해 웹3 기술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싶으신 분들은 research@lano.im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Lano Technology입니다.

이번 글을 통해서 Lano Technology에 대해서 공유드리려 합니다. Lano Technology가 어떤 비전과 역량을 가지고 만들어진 팀인지 설명드리고, 앞으로 미디엄을 통해서 어떤 정보들을 전달하려고 하는지 소개드리겠습니다.

비전: 프로토콜 아키텍트

Lano Technology 팀은 2023년 5월 웹3 프로토콜 아키텍트라는 비전을 가지고 모였습니다. 많은 리서치 조직들이 정보 전달, 토크노믹스 설계, 데이터 분석과 같이 여러가지 영역에서 웹3 생태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Lano Technology는 정량적 분석을 통한 프로토콜 설계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Layer 2 Validator들의 인센티브 모델 설계와 같이 아직 많이 연구되지 않은 매커니즘 설계부터 각 DeFi 프로토콜 별로 가지고 있는 리스크에 대한 분석까지, 안전하고 단단한 프로토콜을 만드는데 필요한 다양한 방식으로 웹3 생태계에 기여하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온체인 데이터 분석과 정량적 모델링을 통해서 리스크와 관련된 파라미터 설정 방식에 대해서도 분석하고 있습니다. 분석 결과에 비추어볼때, 저희는 상당수의 DeFi 공격 사례들이 프로토콜이 가지고 있는 리스크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거나 리스크 파라미터들을 적절하게 설정하지 않아서 발생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토큰의 가치가 너무 떨어져버려서 프로젝트에서 의도한 방향으로 토크노믹스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들도 DEX에서의 토큰 유동성과 가격 안정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생각합니다. 저희는 이와 관련하여 웹3 프로토콜들이 설계와 운영 단계에서 어떤 것들을 고려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있으며, 파트너사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이전까지는 웹3 프로젝트들이 DEX, 대출 프로토콜, 마켓플레이스 등 생태계 별로 필요한 기초 인프라에 해당하는 프로덕트를 만들었기 때문에 카테고리에 따라 유사한 매커니즘과 토크노믹스를 사용하였고, 그에 따라 고려할 리스크 스페이스가 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프로젝트들이 일반 웹3 유저가 사용하게 될 프로덕트를 만들고 있고 지향하는 방향성에 따라 별도의 매커니즘과 토크노믹스를 적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Lano Technology 팀은 앞으로 리스크 분석과 정량적 분석에 기반한 프로토콜 설계가 더욱 중요해질거라 확신합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들은 앞으로의 아티클들을 통해서 공유하겠습니다.

주요 역량 1: 프로토콜 Deep Dive

Lano Technology는 DEX, 대출 프로토콜, 스테이블코인, 메인넷 등 다양한 주요 프로토콜들에 대해 깊이 있는 스터디를 진행해왔습니다. 단순히 도큐멘테이션에 적혀 있는 내용을 파악하는 것을 넘어서 여러 프로토콜들을 코드 레벨에서 이해하고,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파라미터 변경 내역 등에 대해서는 왜, 어떻게 바꾸었는지에 대한 내용까지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각 프로토콜들이 어떤 성장 전략을 실행하였고 그것이 프로토콜의 성장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 파악합니다. 이러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다른 팀들과 협업을 진행할 때에도 시장 상황과 프로토콜 활용 상황에 따라 파라미터를 어떻게 변경해야하고, 프로토콜을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프로토콜 설계에 있어서는 관련 프로토콜에 대한 깊은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이를 기반으로 해야만 탄탄한 프로토콜을 설계할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저희가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들에 대해 파라미터 레벨까지 분석해서 작성했던 리포트를 원하시는 분들은 research@lano.im으로 연락주시면 공유드리겠습니다.)

저희는 Liquity Protocol에서 Chicken Bond가 나왔을때, 프로토콜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각 Bond 포지션 별 Chicken-in 하였을 때의 수익률을 온체인 데이터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Dune Analytics 대시보드를 만들었고 Liquity Protocol로부터 Grant를 수여받았습니다. 현재는 AAVE의 GHO 스테이블코인의 각 Facilitator 별로 리스크 파라미터 분석과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대시보드 제작에 대한 그랜트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현재 Final interview까지 진행한 상태이며 결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Optimism, Aptos, SUI, Uniswap, Balancer, dYdX에 프로젝트를 제안할 예정이며, 이에 대한 내용도 Lano Technology 미디엄을 통해 공유드리겠습니다.

주요 역량 2: 정량적 모델링

Lano Technology가 목표로 하고 있는 정량적 분석을 통한 프로토콜 설계를 하기 위해서는 온체인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량적 모델링을 하는 역량이 필수적입니다. Lano Technology의 팀원들은 AI 및 컴퓨터 구조 분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얻은 데이터 처리, 시뮬레이션, 그리고 정량적 모델링 경험을 웹3 분야에 적용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해왔습니다. 단순히 데이터를 수집하고 시각화하는 데 그치지 않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유의미한 정량적 결과를 도출한 후 이를 프로토콜 설계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Lano Technology의 정량적 모델링 역량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예시는 Uniswap V3 풀에서의 델타 뉴트럴 유동성 공급 봇 프로젝트 입니다. 가격 범위, 진입 시점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지는 상황에서 최적의 전략을 결정하기 위해, 저희는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백테스팅을 수행하여 과거 수익률을 측정하는 정량적 모델링을 진행했습니다. 우선, 풀의 과거 유동성 규모, 스왑 내역, ETH 가격 등을 분단위로 수집하고 가공하고, 이 풀 데이터를 활용하여 특정 시기에 특정 전략으로 유동성을 공급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수료 수익과 원금 변화를 모델링하는 Uniswap V3 풀 시뮬레이터를 개발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백테스트를 수행하여 아래 그래프와 같이 안정적이면서 높은 수익률을 보이는 전략을 도출하고, 이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컨트랙트 배포 및 봇 개발까지 진행하여 실제 운용 또한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 또한 추후 미디엄을 통해 공유드리겠습니다.

앞으로의 방향

글을 작성하는 시점 기준으로 Lano Technology가 설립된지 3달도 지나지 않았지만, 감사하게도 많은 팀에서 Lano Technology에게 협업을 제안해주셨습니다. 그 결과 Lightscale, Superblock, Mesher Inc 등 한국 블록체인 생태계의 주요 팀들과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했듯이, 주요 DeFi 프로토콜인 AAVE 프로토콜과 그랜트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리스크 파라미터 분석, 프로토콜 매커니즘 설계, 온체인 데이터를 통한 프로토콜 모니터링이 필요한 팀들과 협업을 통해서 탄탄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에 기여하는 것이 Lano Technology 팀의 목표입니다.

Lano Technology 미디엄에서는 저희가 지금까지 여러 프로토콜의 매커니즘에 대해 Deep Dive하거나 온체인 데이터를 분석해서 얻은 인사이트들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DeFi 시스템에 대해서 시뮬레이션하고 모델링한 내용들도 자주 소개드리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다루지 않았지만 Lano Technology는 실물 자산의 토큰화와 토큰 증권도 앞으로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후 아티클에서 실물 자산의 토큰화, 토큰 증권과 관련해서는 각 토큰 증권 사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구조에 대한 인사이트들도 전달하겠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