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loch DAO 파헤치기 (2): Framework 분석편

Pura Vida
Meteor X
Published in
12 min readSep 9, 2022

Moloch DAO 파헤치기 1편에서는 Moloch DAO의 탄생 스토리를 중심으로 Moloch DAO만의 몇몇 특징점을 살펴봤습니다. 이번 2편에서는 Moloch DAO 가 주류 DAO 프레임워크로써 총 2,500 개가 넘는 DAO를 런칭시킬 수 있었던 그 성장 비결을, Moloch DAO의 핵심 기능들을 살펴봄으로써 알아보고자 합니다.

MolochV1 → V2

2019년 MolochDAO의 자체 거버넌스 스마트 컨트렉트인 MolochV1 이 공개되었습니다. V1은 쉬운 사용성, 안전한 코드 등을 지향하며, 자신의 자본을 원할 때 exit 할 수 있는 ragequit이라는 유니크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었습니다. 현재 DAO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고 있는 Metacartel DAO가 당시 V1을 사용해서 이더리움 기반 early-stage dApps(decentralized applications)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grants DAO를 런칭하면서 Moloch 프레임워크 보급을 가속화시켰습니다. Moloch DAO의 창업자 Ameen 은 Metacartel의 수장 Peter Pan에 대해 한 인터뷰에서 “Peter was the first follower, that turned me from alone nut into a leader”라고 언급했습니다. 유명한 Ted Talk How to start a movement에서 Derek Sivers는 혼자 독특한 춤을 추던 미치광이도 first follower 가 생기는 순간 하나의 movement를 시작한 ‘리더’가 될 수 있다고 말했는데, Ameen이 이걸 인용한 거지요. 그렇게 2019년 한해 동안 Ameen과 Peter는 DAO의 성장 가능성을 굳게 믿고 V1을 기반으로 한 여러 DAO 들을 런칭하며 실험을 계속해 나갔습니다.

약 1년간 Moloch 프레임워크는 230번 가량의 포킹을 거듭하였고, 2020년 초에 보다 고도화된 MolochV2가 공개되었습니다. 이후 다수의 DAO들이 해당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며 실제 DAO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 개발해 나갔습니다. DAOhaus는 Moloch 프레임워크를 노코드로 구현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를 개발하여 Moloch DAO의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그 외에도 Moloch 프레임워크의 로직을 마이크로하게 재구성해서 제공하는 Tribute Labs, Moloch의 스마트컨트렉트 자체를 업데이트하는 Moloch Mystics 등의 다양한 팀들이 Moloch DAO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Moloch DAO는 첫 production-ready DAO였다는 것 외에도 특별한 타이틀을 여러개 가지고 있는데요, legal entity가 있는 For-Profit DAO의 첫 사례인 Metacartel Ventures(MCV)The LAO가 모두 Moloch 프레임워크 위에서 런칭했다는 것도 Moloch DAO의 큰 자랑거리입니다. MCV 는 MolochV2의 첫 use case이기도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V2 런칭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해 온 Moloch DAO 프레임워크의 핵심적인 기능들과, 그 기능들이 만들어낸 Moloch DAO만의 특별한 속성 및 가능성을 살펴보겠습니다.

Moloch DAO Basics

Core features of a Moloch DAO

아래는 Moloch DAO의 가장 상징적인 기능인 ragequit과 나머지 3가지 구성 요소에 대한 개념적 설명입니다.

  1. Ragequit: DAO의 모든 멤버는 자신이 원할 때 자신의 지분 전체 혹은 일부를 exit 할 수 있습니다. 자산은 DAO로써 함께 관리하지만, 개인의 지분에 있어서는 개별 멤버에게 full custody 가 부여됩니다. Ragequit은 Moloch DAO 가 처음으로 만든 개념이며, 타 DAO 프레임워크에서는 ‘exit’이라는 개념으로 사용되곤 합니다.
  2. Membership: DAO 멤버십은 허가를 필요로 하는 permissioned membership 입니다. DAO의 멤버가 되기 위해서는 제안서를 제출해야 하고, 이후 DAO 멤버들의 승인을 통해 지분을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멤버십은 특정 토큰을 몇 개 이상 보유하고 있는지 등의 재정적인 조건과는 무관하게 결정되며, 멤버가 된 이후에도 non-transferable한 지분(shares)만이 각 멤버를 구분 짓습니다. 멤버십은 투표 권한까지 있는 Full Shares 와, 지분투자만 가능한 Loot Shares 두가지로 나뉩니다.
  3. Resources: 공유 자산을 관리함에 있어서, 계좌 형태는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Main Treasury: 각 DAO의 주거래 계좌이며, DAO의 멤버가 특정 자산에 있어서 원할 때 ragequit을 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Ragequit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분할할 수 있는 ERC20 토큰만을 홀드할 수 있습니다. Ragequit을 제외하고 treasury 안의 자산을 옮기는 건 DAO proposal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Vaults: Ragequit 기능을 보호하기 위해서 Treasury 사용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보니, 사이드 계좌인 vault에서 ERC20 토큰 외 NFT, native coins 등의 다양한 자산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Vault 내 자산들은 ragequit 을 할 수 없도록 묶여있습니다. 특정자산을 treasury 에서 vault로 옮기기 해서는 DAO의 승인이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이를 원치 않는 멤버들은 ragequit을 할 수 있습니다. 현재 Moloch 기반 DAO 들은 Gnosis Safe 라는 스마트컨트렉트를 vault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Gnosis Safe 란? 공용금고 역할을 하는 스마트컨트렉트 지갑으로, 다중서명(multisig)을 통해 여러 명이 한 지갑을 관리하고 사용하게 해줍니다.

📍 DAO 운영에 있어서 Gnosis Safe의 필요성: 현존하는 DAO의 프레임워크들이 monolithic 한 성격을 띠면서 플랫폼화되어 있다 보니, 서로 상호운용이 안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즉, 특정 프레임워크 위에서 DAO를 시작할 경우, 타 프레임워크의 기능들을 가져다 쓸 수 없는 것이죠. Gnosis Safe는 framework-agnostic(프레임워크 중립적인) 하며 다수의 토큰을 지원하는 generalized 된 스마트컨트렉트로, DAO들이 특정 프레임워크 바깥의 다양한 기능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4. Actions — Proposal Lifecycle

The life cycle of a proposal in a Moloch DAO

설명이 필요한 phase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 Voting Period: Moloch DAO의 가장 큰 특징점 중 하나는 쿼럼 기반의 투표를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모든 Proposal 은 투표 기간이 끝났을 때, YES 표가 NO 표보다 많으면 통과됩니다.
*쿼럼(quorum)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합의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투표 인원.
▪️ Grace Period: 제안서가 통과되고 실행에 옮겨지기 전에 grace period를 가져서 NO라고 투표한 멤버들이 ragequit을 고민 및 실행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합니다.

5. Actions — Proposal Types
Proposal의 종류는 membership, funding, minion, guildkick, ragekick 등이 존재합니다.

▪️ Guildkick/Ragekick: Guildkick은 투표를 통해 full shares를 가진 멤버에게서 투표 권한을 앗아가는 것이고, ragekick은 guildkick 당한 멤버의 지분을 강제 처분하여 멤버십 자체를 박탈하는 것입니다.
▪️ Minion: 앞서 설명한 Gnosis Safe 와 Moloch DAO를 연결해 주는 middleware로, Moloch DAO의 굉장히 중요한 기능중 하나입니다. DAO가 vaults를 관리하고 계좌끼리 토큰을 주고받기 위해서는 minion 스마트 컨트렉트를 사용해야만 합니다. 또한 DAO의 멤버들은 minion proposal을 통해 non-economic 자산에 대한 투자를 제안할 수 있고, Gnosis Safe가 지원하는 공동서명 투표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등 기존의 Moloch 프레임워크에는 존재하지 않는 여러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perty 부분에서 상세 설명 예정)

Moloch DAO Properties

Ragequit, minion, permissioned membership, 쿼럼이 존재하지 않는 투표 시스템 등의 기능과 각 기능의 조화는 Moloch 프레임워크만의 강점과 가능성을 만들어냈습니다.

  1. Moloch DAO는 강력한 보안 요소를 갖추고 있습니다. (코드상의 보안 < 안전한 거버넌스 구조)

▪️ 소수주주의 권리 보호: Ragequit 은 대다수 멤버의 의사결정으로부터 소수자를 보호합니다. 심지어 부조리한 성격을 띠는 제안이 통과되었다 하더라도, 해당 사안이 시행되기 이전에 개인은 자본을 exit 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의 ragequit은 어떤 형태로든 특정 자산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ragequit 은 사람들이 안좋은 의도로 proposal을 제안 및 통과시키는 것을 예방합니다.
▪️ 허가성 멤버십(permissioned membership): 개인이 원할 때 시장가를 내고 멤버 가입을 하지 못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보니, plutocracy(금권정치)와 coin-voting의 여러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시빌 저항성(sybil resistance): 시빌 공격은 네트워크 해킹 공격의 일종으로, 한 사람이 여러 사람인 것처럼 가장하거나 봇이 사람인 것처럼 가장하여 속이는 공격입니다. Moloch DAO의 허가성 멤버십은 기존 DAO 멤버들이 membership proposal을 제출한 사람이 unique한 실존 인물인지 우선적으로 검증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DAO에 시빌 저항성을 부여합니다.

2. Moloch DAO는 High-Quality Coordination 을 지향합니다.

▪️ ‘동의’를 구하는 의사결정 구조: 쿼럼이 없는 투표에서는,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 것’ 자체가 YES 표를 던진 것과 비슷한 효과를 가집니다. Moloch DAO의 proposal은 이렇게 구조적으로 optimistic 한 성격을 가지며, 개인에게 새로운 안건을 제안할 수 있는 권리와 책임감을 동시에 부여합니다.
▪️ 상대적으로 낮은 voter fatigue(의사결정 참여자가 느끼는 피로도): 쿼럼이 존재해서 대부분의 proposal에 투표를 해야 하는 다른 DAO들에 비해 voter fatigue가 낮습니다.
▪️ 다중서명(multisig) 대비 높은 확장성: 다중서명과 비교했을때 Moloch DAO의 의사결정 방식이 ~10x 까지 trustless coordination 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On-chain transaction인 다중서명의 경우에, 참여자가 15명이 넘어가면 communication cost와 함께 transaction fee(=base gas fee)가 증가하게 되서 참여자 규모를 확장시키기가 어렵습니다.

3. Moloch DAO는 유연성을 갖추고, 다양한 커뮤니티 니즈에 맞게 변화합니다.

▪️ 활발한 social interaction: 각각의 Proposal에 있어서 정량적 분석을 기반으로 한 ‘정답’이라고 하는 것이 보통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proposal을 작성하기 전 다른 DAO 멤버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생각을 공유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유연한 사고 및 제안 내용의 수정이 가능해집니다.
▪️ Minion의 높은 활용도: 각각의 DAO들은 속한 커뮤니티의 성격, proposal의 특수성 등을 고려하여 거버넌스 형태를 다각화할 수 있습니다.
✔ DAO는 minion을 사용해서 선택적으로 다중서명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Moloch DAO는 쿼럼이 없어서 정해진 투표 기간을 끝까지 기다린 후에 proposal 통과 여부가 결정되기에, 제안 내용을 실행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다소 느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minion을 활용해 grace period를 생략하는 등 특정 proposal 에 있어서 early-execution 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 Minion은 DAO가 swap, 대출, 유동성 공급 등의 DeFi 프로토콜을 직접 운용할 수 있게끔 해줍니다.
✔ DAO는 minion을 통해 Gnosis Safe를 1) 직접 컨트롤 할 수도 있고 2) 몇몇의 개인이 다중서명을 통해 vault 를 관리하게끔 책임을 위임할 수도 있습니다.

What’s Next?

최근 Baal이라는 이름의 MolochV3 스마트컨트렉트가 공개되었습니다. Proposal period length에 대한 커스토마이징, 토큰 런칭 관련 기능 탑재 등 Moloch 프레임워크는 더욱더 고도화 되었습니다. Ameen은 V3를 “a springboard for greater DAO experimentation”라고 칭하기도 했는데요, 앞으로 V3는 얼마나 다양한 use case 들을 만들어 낼지 기대가 큽니다.

그간 오픈소스의 역할의 훌륭하게 수행하고, 비효율이 따름에도 community-driven, 탈중앙화 등의 가치를 포기하지 않고 여기까지 달려온 Moloch DAO에게 박수를 보내면서 Moloch DAO 시리즈를 마무리합니다. Let’s continue slaying Moloch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