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Hadoop Hbase 클러스터 생성 및 Phoenix 접근

MyeongSu Kim
NAVER CLOUD PLATFORM
5 min readApr 8, 2020

--

안녕하세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CloudHadoop 서비스의 Hbase를 생성하고, Phoenix로 접근해 보기로 합니다.

Apache Phoenix란?

Phoenix는 사용자가 SQL 테이블, 뷰, 인덱스 및 시퀀스를 생성, 삭제 및 변경할 수 있도록 NoSQL 저장소를 추상화한 JDBC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오픈소스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URL을 참고하세요.

https://phoenix.apache.org/

클러스터 생성

먼저 클러스터 설정에서 클러스터 이름, 버전, Type, 관리자 계정 정보를 입력 및 선택 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이때 클러스터 Type을 Hbase로 선택해줍니다.

Zone, ObjectStorage, 엣지노드, 마스터노드, 작업자노드를 설정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보유하고 있는 인증키를 선택하거나 새로운 인증키를 생성한뒤 다음을 누릅니다.

최종 확인을 하고 생성을 눌러 클러스터를 생성합니다.

클러스터 접속

클러스터 생성시 자동으로 생성된 ACG에 22번 포트를 추가합니다.

Edge 서버를 거처 마스터 노드로 접속합니다.

CloudHadoop 1.2에서는 phoenix-client가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Ambari접속 및 설정 변경

Ambari에 (퍼블릭 도메인 or 공인IP):8080 으로 접속합니다.

Ambari 화면에서 좌측 Hbase 를 클릭합니다.

Configs 탭을 클릭합니다.

하단으로 스크롤 하여 Phoenix SQL에서 Disabled를 눌러 Enabled로 변경하고 상단에 Save 버튼을 눌러 저장합니다.

wal.codec을 WALCellCodec-> IndexedWALEditCodec 으로 변경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일부 설정을 변경합니다.

Hbase를 재시작 합니다.

접속 테스트

Hbase - Phoenix SQL 설정 및 재시작 뒤에는 마스터 노드에 phoenix-client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sqline.py를 통해 phoenix에 접속합니다.

python ./sqlline.py localhost:2181

sqlline.py 로 접속이 성공하면 Hbase Master UI 에접근합니다.

Hbase Master UI에 접속하려면 터널링을 이용해서 접근해야 합니다. 자세한 방법은 아래 가이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docs.ncloud.com/ko/hadoop/chadoop-2-2.html

Hbase Master UI에 접근하면 SYSTEM 테이블 4개가 만들어진 부분 확인 가능합니다.

글을 마무리 하며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CloudHadoop을 사용해서 손쉽게 Hbase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Phoenix를 설정하여 접근해 보았습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