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Cosmos 생태계 & Node A-Team

Jeeuk Lim
Node A-Team
Published in
14 min readDec 31, 2019

각종 Cosmos 생태계 프로젝트 근황

2019년 3월, Cosmos Hub의 런칭은 블록체인 생태계에 큰 변화의 바람을 가져왔습니다. Networking과 Consensus Layer을 책임져주는 고성능 Tendermint 합의 엔진, 어플리케이션 개발에만 전념할 수있게 도와주는 Cosmos-SDK의 조합으로 인해서 Cosmos 생태계에는 짧은 시간 안에 수많은 프로젝트들이 개발되고, 런칭에도 성공하였습니다.

런칭을 한지 약 9개월이 지난 지금도 Cosmos / Tendermint 팀은 매우 활발하게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Coin</>Cap에서 코스모스는 지난 1년간 Github 액티비티 순위 4위, 종합 순위 8위

Cosmos-SDK 덕분에 많은 프로젝트들이 Cosmos를 선택하고, 이는 많은 End-User을 끌어오는 프로젝트가 Cosmos 생태계 안에서 탄생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Cosmos Forum에서 언급된 Cosmos를 사용한 프로젝트는 100개 정도이며, 비공식적인 프로젝트까지 집계하면 그 숫자가 훨씬 넘어갑니다. 많은 프로젝트 중, 아래에 Node A-Team이 검증인으로 참가한 프로젝트들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이슈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Cosmos Hub

올해 Cosmos Hub는 런칭 이후 두번의 큰 업그레이드를 진행했습니다. 현재 Cosmos Hub-3까지 업그레이드 되면서 리워드 분배율, 검증인 최대 수의 규모에 변화가 생기고, 커뮤니티 풀에 누적된 Atom의 사용을 신청하는 거버넌스 제안을 올릴 수 있게 되었으며, Atom을 전송할 수 있게도 되었습니다. 그 밖에도 기대가 되는 새로운 소식들이 발표가 되었는데, 자세한 내용을 아래에 요약해 보았습니다.

IBC 개발

IBC (Inter-Blockchain Protocol)개발은 Cosmos 팀이 주도하는 것은 맞지만, Agoric이라는 팀과 개발 협업 중에 있습니다. 또한 텔레그램에서 IBC Working Group이라는 방을 형성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IBC 개발에 대한 의견을 내놓고 기여할 수 있습니다.

IBC로 연결하는 체인들의 기준을 정하는 ICS (Interchain Standard)가 완성되었고, IBC 기술을 실험해볼 대회인 Game of Zones (아래에 설명)도 진행할 예정이니, 공식적인 IBC의 완성이 머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IBC 개발의 핵심 멤버들

Game of Zones 예정
Game of Zones는 Game of Stakes의 IBC 버전으로, 약 3주간 참여자들이 IBC 기술을 활용하여 대결을 펼치는 대회입니다. 2020년 1월에 예정되어 있는 이 대회는 독립적인 체인의 생성, 중앙허브와 독립적인 체인의 연결, 연결된 상태에서 패킷과 메세지 생성과 전송, 그리고 네트워크 과부하 공격 등 여러가지 실험을 하고, 실력을 겨뤄서 무려 100,000 ATOM이라는 상금이 여러 명의 승자들에게 나눠지게 됩니다.

Ethermint 완성

Ethermint 소개

Cosmos-SDK는 원래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가지고 런칭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Ethereum 1.0은 아직 POS (Proof-of-Stake)전환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2019.11월 초에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 EVM을 POS로 올린 Ethermint가 완성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기존 Ethereum에서는 되지 않았던 수평적 확장성, IBC, 그리고 속도의 증가 (높은 처리량)이 실현되었습니다.

Supernova

SFBW (샌프란시스코 블록체인 위크)에서 Tendermint 팀의 Christine이 Supernova라는 프로젝트를 발표했습니다. 많은 신규 체인들이 대중의 주목을 받기 위해서 막대한 양의 금액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BTC, ETH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보유한 토큰에 대해서 에어드랍을 진행할 수 있다면 조금 더 수월할 것입니다.

Cosmos는 IBC를 지원할 예정이라는 장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한 토큰을 Supernova 존에 Lock하면, Supernova 존은 런칭을 앞둔 토큰들을 Lock 한 토큰에 비례하여 에어드랍을 해줍니다. 이 개념을 Lockdrop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6개월이 지나면 Lock 된 토큰들은 자동적으로 사용자들에게 돌아가게 됩니다.

IRISnet

Cosmos Hub 보다 약 2주 먼저 네트워크 런칭을 한 IRISnet은 코스모스 생태계의 두번째 Hub입니다. IRISnet은 오프체인 (off-chain) 데이터를 온체인 (on-chain)으로 가져오고, 더욱 간편하게 블록체인으로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만든 iService를 Cosmos-SDK로 만들었습니다.

iService의 Data Oracle을 통해서 다양한 시장 데이터를 연동시키고, Asset Management 기능으로 보다 간편하게 새로운 토큰을 발행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밖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IRISnet에서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러 인센티브 테스트넷을 통해서 새로운 기능들을 검증인들과 지속적으로 시험하고, 유저들을 위해서 Rainbow Wallet, IRISplorer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IRISnet은 올 한해 많은 변화를 거듭해왔습니다.

Terra Money

Cosmos를 사용한 첫 국내 프로젝트 Terra 블록체인입니다. 코스모스와는 다르게 Terra에는 인플레이션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현재 토큰의 채굴, 인플레이션 없이 체인상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 수수료만으로도 검증인, 위임인들을 보상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Terra는 비즈니스 측면에서 런칭 이후 아주 활발하게 좋은 소식들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BC카드, CU 편의점, TMON, 야놀자 등을 파트너로, Chai앱에서 실제로 결제할 수 있는 유즈케이스를 창출하여 활발하게 트랜잭션이 오고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Terra Santa
네트워크가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적은 트랜잭션 수수료가 발생하고 있을 8월에, Terra는 위임인과 검증인들을 위해서 Santa Bot이라는 시스템을 시작했습니다. Cosmos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보상이 주어지지만, 테라는 인플레이션이 없기 때문에 Terra에서는 이미 존재하는 토큰으로 Reward Pool을 생성하여 검증인/위임인들에게 보상을 나눠주게 되었습니다. 4개월이 조금 넘는 기간 동안 활약한 Santa Bot은 이름과 어울리게, 12월 25일 하루동안 보상을 10배로 분배해주는 것을마지막으로 종료되었습니다.

Terra의 Santa

Kava (DeFi)

MakerDAO는 전체 ETH의 2%이상을 담보로 DAI토큰을 발행하는 CDP (부채 담보부 포지션) 대출의 확실한 현재 승자입니다. 하지만 현재 오직 ETH만 지원하고, 앞으로도 ERC20 토큰만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Kava는 이러한 MakerDAO의 단점을 Cosmos의 IBC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올해 BNB Launchpad에서 성공적인 상장소식을 알리며 런칭한 Kava는 앞으로 BTC, ATOM, XRP 같이 더 다양한 토큰들을 사용하여 스테이블 코인인 USDX를 발행할 수 있으며, 금융시장, Hedging 파생상품, Leveraging, Stable Coin 결제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IOV (Starname)

Hotels.com, Apple.com 등 인터넷에는 도메인이 존재하고 Domain Name Service (DNS)가 존재합니다. IOV는 기존의 복잡한 블록체인 주소가 아닌 Blockchain Name Service (BNS)인 Starname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IOV 토큰, 또는 ATOM을 사용하여 이름을 사고, 팔고, 새로 개설할 수 있습니다.

IOV: Starname Service

인터넷의 발전 과정에서 도메인을 거래하고, 개설하는 것이 중요했던 것처럼, 블록체인에서도 이와 비슷한 발전은 수 많은 새로운 프로젝트로 통할 수 있는 Gateway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기대되는 프로젝트입니다. 상장 및 본격적인 Governance는 2020 Q1부터 시작됩니다.

LINO Network (D.Live) — 콘텐츠 공유 경제

대표적인 서비스로 5백만명의 MAU를 자랑하는 dlive tv가 만들어진 LINO Network는 콘텐츠 공유 경제를 탈중앙화된 환경에서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서비스입니다.

LINO Network의 대표적인 서비스 dlive tv

우리나라의 Afreecatv와 같이 플랫폼이 지불되는 컨텐츠 이용료의 큰 비중을 벌어들이는 구조가 아닌 컨텐츠 제공자 (90.1%)와 LINO Stake 보유자 (9.9%)가 나눠가지는 구조입니다.

네트워크 상에서 1년간 약 6천만개의 메세지가 생성되어 트랜잭션이 매우 활발한 플랫폼입니다.

올해의 주요 코스모스 거버넌스 (Governance)

3월 14일 이후, 코스모스는 100명의 검증인들이 거버넌스를 이끌어 가며 체인의 발전을 도왔습니다. Node A-Team은 그 동안 주요 거버넌스가 올라올 때 마다 구독자 분들에게 내용을 공유하며 거버넌스 참여를 보다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아래에 2019년에 Cosmos Hub에 여러가지 큰 변화를 가져다 주었던 거버넌스를 요약했습니다.

연간 블록 숫자 Parameter 변경 (by. B-Harvest, 3월 20일)

Cosmos Hub의 파라미터 값 중에는 1년간 생성되는 블록의 수 (blocks_per_year)이 있습니다. 하지만 허브 런칭 시에 연간 발생 블록 파라미터는 실제 블록타임 보다 짧은 시간인 5초가 반영되어 계산된 값이었습니다. 이 거버넌스를 통해서, 실질적인 블록타임인 6.5초를 적용하여, 연간 발생 블록 수의 파라미터를 4%정도 줄이면서 블록당 받는 리워드도 더 증가하였습니다.

  • Before: blocks_per_year = 6,311,520
  • After: blocks_per_year=4,855,105

ATOM 전송 허용 1차 (by. Simply VC, 3월 25일)

Cosmos Hub 런칭 초기에는, 메인넷의 안정성을 우선 순위 최상단에 놓았기 때문에, 가장 기본적인 블록체인 기능들만 활성화 되어서 토큰의 전송은 한동안 허용되지 않았었습니다. 그리고 검증인이자 VC인 Simply VC가 몇 주후에 아톰전송을 허용하자는 첫번째 프로포절을 제출했습니다.

출저: cosmos.bigdipper.live

하지만 중대한 거버넌스 제안이기에, 코스모스 포럼에 올라온 거버넌스의 초안은 많은 보완이 필요했고, Tendermint팀이 직접 Simply VC와 협업하여, 더 상세하고, 조심스러운 거버넌스 제안을 작성하기로 하며, 검증인들이 더 자세한 거버넌스를 통과시키기 위해서 첫 아톰전송 허용 거버넌스는 위 사진과 같이 통과되지 못했습니다.

ATOM 전송 허용 2차 (by Simply VC X Tendermint, 4월 3일)

첫 아톰 전송 거버넌스를 보완하여, 거버넌스를 진행하는 기간 동안 전송을 테스트 할 수 있는 Testnet (gaia-14k)환경에서 완전하게 아톰의 전송을 테스트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추가로, 24시간 신속 거버넌스를 통해서 메인넷의 업그레이드 여부를 결정 지으면서, 아톰 전송이 가능하도록 거버넌스를 더 상세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여기서부터, 코스모스 허브는 Cosmos Hub-2로 업데이트 되면서, 지금 우리가 거래소로 아톰을 이동, 그리고 다른 지갑으로 이동시켜서 더 활발하게 스테이킹을 진행할 수 있도록 되었습니다.

검증인 규모 100 → 125로 증가 (제안자: Sikka, 6월 1일)

Cosmos 백서에 의하면, Cosmos Hub의 검증인은 해마다 13%씩, 10년 동안 증가하여, 10년이 되는 날에는 300명까지 증가하도록 계획이 되어 있었습니다.

출저: 코스모스 백서

하지만 Cosmos의 운영은 거버넌스를 통해서 진행되기 때문에, 네트워크가 이미 안정적이고, 100명 밖에도 검증인이 되기를 원하는 후보가 많다는 점을 감안하여, 코스모스 팀의 코어 개발자이자, Sikka 노드를 운영하는 Sunny Aggarwal은 Cosmos Hub-3으로 업그레이드 되는 순간 검증인의 수를 125명으로 늘리자는 제안을 했습니다.

이 거버넌스를 통해서, 몇십개의 아톰만 보유한 ICO를 참가하지 못했던 검증인도 코스모스 공식 검증인이 될 수 있는 기회의 문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거버넌스를 통해서, 리워드를 분배 받을 수 있는 검증인의 수가 증가하여, 앞으로 1인당 분배 받게되는 토큰의 수가 조금 줄어들게 될 수도 있습니다.

커뮤니티 풀 활성화 (by. Cryptium Labs, 5월.19일)

코스모스에는 리워드의 2%가 Community Tax Pool로 모이게 됩니다. 이 금액은 앞으로 체인 발전을 위해서 사용될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Cryptium Labs가 제안한 커뮤니티 풀의 활성화 거버넌스가 통과되고, 체인이 Cosmos Hub-3로 업그레이드되면서 앞으로 커뮤니티 풀에 모인 자금을 체인의 발전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거버넌스의 통과는 앞으로 코스모스에 다가올 변화의 많은 부분을 차지합니다. 벌써 여러 검증인들이 새로운 기능 추가와 개선점을 위해서 커뮤니티 풀의 자금을 사용하려는 거버넌스 제안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는 위임인 모두가 각 거버넌스 제안이 의미하는 점, 그리고 각 거버넌스 제안이 통과된 이후의 결과에 대한 판단을 개인적으로 할 수 있어야하며, 자신이 생각하는 코스모스의 발전 방향과 미래에 대한 생각 맞게 투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Node A-Team

Node A-Team은 3/14일, Cosmos Hub-1의 런칭 이후, Genesis 검증인으로서 Cosmos Hub의 거버넌스, 안정적인 노드운영, 각종 테스트넷 참여 그리고 신규 프로젝트 참여에 관련된 일을 지속적으로 진행해 왔습니다.

Miner, BP 등의 개념이 지금까지 존재하였지만, 지금 우리가 이야기하는 검증인 (Validator)이라는 개념이 생긴 것은 코스모스 허브가 아마 최초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Cosmos Hub의 메인넷 이전부터 수 많은 테스트넷을 통해서 함께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많은 코스모스 기반의 프로젝트의 검증인으로 참여하여 최대한 안전한 네트워크가 유지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습니다.

Node A-Team은 각 프로젝트의 메인넷 검증인으로 참여하기 전, 꼭 테스트넷 단계부터 일찍이 참여하고 기여하는 검증인입니다. 많은 프로젝트에 관심을 가지고 테스트넷에 꾸준히 참여한 결과, Node A-Team은 올 한해동안 아래와 같은 성과를 이뤄낼 수 있었습니다:

  • Cosmos Game of Stakes “Never Jailed Group”
  • IRISnet Nyancat Testnet: 모든 과제 수행, 만점
  • Terra Genesis Drill #3
  • Kava Founder Member Badge
  • IOV (Internet of Value) Validator Candidate TOP 5
  • LINO Network Validator Prize Winner Top 7
  • Akash Network Founding Member Challenge Winner

Node A-Team은 앞으로도 Cosmos 기반의 블록체인을 중심으로, 우수한 POS 체인들의 검증인으로 지속적으로 참여할 예정입니다. 2020년에는 더 많은 소식으로 찾아뵐 수 있도록 열심히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TEAM 검증인 주소: cosmosvaloper14l0fp639yudfl46zauvv8rkzjgd4u0zk2aseys]

Webpage: https://nodeateam.com/

Twitter: https://twitter.com/Node_Ateam

E-mail: contact@nodeateam.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