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of research on ‘Tokamak Stablecoin (tentative title — TOK, taken from the first three letters)’, which is essential for securing stable liquidity for DeFi [EN/KR]

Gongpil Choi
Tokamak Network
Published in
16 min readFeb 21, 2022

Introduction

Onther has appointed Dr. Gong Pil Choi, the Head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Blockchain Advisory Group, as the Head of the Digital Finance Research Institute in August 2021 to continue researching DeFi and stable coin based on real, legacy, and digital assets. This document contains the motive and reason why Onther began researching stable coins.

Background and Initiative

The Tokamak Stable Coin (TOK) is designed to continuously reduce excessive volatility–which has remained a chronic problem in the DeFi space, and to provide the minimum of amount of trust required to ensure stable liquidity that allows for smooth transactions in the DeFi ecosystem.

What are the issues with existing stablecoins?

image source: The Conversation

Existing stablecoins have relied on legacy or crypto collateral to provide stability depending on their spectrum of decentralization. While they have succeeded in providing stability to a certain extent, there has been a major lack of a consistent message that has been presented to the public. This is due to insufficient self-conditions and constant change of the reward system. This has, in the end, led to an excessive compensation favored especially for early investors and community members. Ultimately, they have led projects to stray away from their initial mission. In order to combat issues of a preference for short-term profit, Olympus DAO has been employing protocol-managed liquidity pools and bonding incentives; however, it has ended up undermining the basic principles of decentralization and increased the risk-management burden of centralized liquidity.

What the Tokamak stablecoin is trying to solve…

Therefore, to alleviate the DeFi Trilemma, efficient exchange, growth of the ecosystem itself, and long-term secure liquidity provision is more than necessary.

Under this situation, the Tokamak Network Stablecoin fully takes into account the realistic level of trust surrounding legacy-based stablecoins and operates in tandem in order to manage the initial instability and strengthen future-oriented reliability incentives to foster the ecosystem(a stable trust base in the DeFi ecosystem).

In other words, the Tokamak Network Stablecoin considers Facebook which has attempted to become a major player in the global payment market as well as the movements of the CBDC to play a practical role in fostering its own DPI ecosystem under the current regulatory system.

These efforts can be applied to similar coins, and hence we can anticipate a significant expansion of scalability as well as an activation of exchanges between chains which will enable the flow of liquidity. This can drastically reduce the burden of paying various fees and rewards for each transaction process, and hopefully lead to an expansion of the DeFi ecosystem as a whole.

In the case of local currencies or dialects,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prepare a common standard in order to foster exchanges and growth. The standard language is not a means of centralization, but rather a means of maximizing network effects which ultimately enables decentralization. Paradoxically, the scope of decentralization achievable under the current structure remains very limited.

Rather than responding to the poor initial market conditions, openly sharing the roadmap to a decentralized future is a reasonable and rational strategy. In order to have these plans come to fruition, the first step is to develop and distribute our own DeFi stablecoin.

Limitations and Expectations

Transaction fees, sustainable incentive structure, operation efficiency, synergies between platforms

Using the Tokamak Stablecoin can significantly reduce transaction fees, decrease the risk of tilted playgrounds in the operation of reward programs, and seize the opportunities to utilize synergies between various platforms.

Expansion of Treasury function to maximize seigniorage

image source: oxford-training

In order to achieve a wide-range usage, in other words a trust to the extent of “No Questions Asked”, a treasury function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obstacles of issuance and distribution scale. This can be approached through a smaller scale, acquiring funding, or external collaborations.

With a slow and steady increase in issuance and revenue generation of the treasury can be used as additional rewards for the Tokamak Network. If the Tokamak Stable Coin hedges the related risks, it will most definitely be an attractive investment target that increases in value alongside the expansion of the ecosystem.

If the current market-level friction factors can be mitigated with stablecoins, benefits can be expected to exceed the costs and continuous growth through the on-boarding of more projects will be possible through triggering a virtuous cycle within the ecosystem.

Conclusion

Dr. Gong Pil Choi of Onther Digital Finance Research Institute is implementing a method to expand the Asian Prime Collateral Forum’s government bond collateral market mechanism, which was studied for a long time centered around ABD-IMF and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a blockchain-based manner. Along with Onther’s solid blockchain technology, we plan to research and develop a stable coin model that can contribute to the Korean economy.

들어가며

온더는 2021년 8월 최공필 금융감독원 블록체인 자문단장(금융연구원 미래금융연구센터장)을 디지털금융연구소장으로 선임하여 실물, 레거시 및 디지털 자산 기반의 DeFi 및 Stablecoin 연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금번 자료는 온더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연구하게 된 계기를 담고 있습니다.

Tokamak Stablecoin 연구의 시작

토카막 스테이블코인은 기존 디파이 영역에서 고질적인 문제로 제기되어온 과도한 변동성을 지속해서 줄이고 디파이 생태계 내에서의 안정적 유동성 확보에 필요한 자체 신뢰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기존 스테이블코인의 이슈는 무엇인가?

image source: The Conversation

기존 스테이블코인은 탈중앙화의 정도에 따라 레거시(Legacy) 내지 크립토 자산만으로 구성된 담보 기반 바스켓의 안정성 도모를 위한 각종 방식에 의존하여 운영됐으나 시장에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하기에 미흡했습니다.

이는 자체 여건의 미비로 인해 발행 및 관리 주체 포함 초기 투자자 및 공동체 참여자들 간의 유동성 확보를 위한 리워드 인센티브가 경도되는 현상을 초래했습니다.

특히 변동성과 슬리피지 문제로 추가적 보상체계가 강화되면서 안정적 유동성 확보가 더욱 어려워지는 딜레마에 봉착하여 프로젝트 중장기적 수행이 어려워지는 관행도 관찰되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프로토콜이 직접 관리하는 유동성 풀(Liquidity Pool)과 본딩 인센티브(Bonding Incentive)를 통해 이러한 문제해결을 시도하고 있지만, 탈중앙화의 기본 취지를 크게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DeFi생태계 육성에 필요한 안정적 유동성 확보는 자체 코인의 변동성을 줄이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즉, 디파이 Trilemma를 완화하면서 당초 디파이 영역의 효율적 거래와 생태계 육성, 그리고 이를 위한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유동성 확보를 위해서는 생태계 내의 잠재적 기축통화 역할이 절실합니다.

토카막 스테이블코인의 방향성은…

이러한 현실 배경하에 토카막 네트워크 스테이블코인은 기존 레거시 기반의 스테이블코인을 자체 프로토콜 토큰의 현실적 신뢰도를 감안하여 결합•운영함으로써 자체 코인의 초기 불안정성을 관리하고 미래지향적 신뢰도 제고 인센티브를 강화하여 생태계 육성의 자극제로서의 역할을 도모합니다.

마치 레고블록을 쌓아가듯이 레거시의 규제체계 안에서 인정받는 글로벌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하여 초기 변동성 문제를 해결하면서 디파이 생태계 내의 안정적 신뢰 기반을 점차 다져나가는 구조의 DeFi스테이블 코인입니다.

즉, 토카막 스테이블 코인은 DeFi내에서의 시장 동력을 확보하는데 한계를 보이는 글로벌 스테이블 코인조차 접근하기 어려운 초기 프로젝트와의 연결고리 역할을 DeFi의 자체적 노력을 통해 강화해나가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토카막 네트워크 스테이블코인은 글로벌 지불시장의 주요 수단으로 자리매김하려 했던 페이스북의 경험과 중앙은행 중심의 CBDC 움직임을 충분히 고려하여 현재와 미래의 규제체계 내에서 자체 디파이 생태계의 육성을 위한 실질적인 기축 통화의 역할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지역 화폐나 사투리의 사례를 보면 다각도의 거래 활성화와 성장을 위해서는 공통의 수단 마련이 절대적으로 중요함. 표준어는 중앙집중화가 아니라 네트워크 효과를 극대화하는 수단이고 이를 통해 탈중앙화가 구현되어야 함. 역설적이지만 법정화폐 기반과 크립토 기반으로 양분되어 자체적 기축통화가 없는 현 DeFi구도 하에서 성취 가능한 탈중앙화의 범위는 매우 제한적으로 남을 수밖에 없음

초기 시장 여건의 열악함을 개별 프로토콜 중심의 폐쇄형 집중형 대안으로 대응하는 것보다는 개방형 탈중앙화 방식으로의 발전 로드맵을 공유하면서 발전시키는 것이 타당한 전략이며 이를 구체화할 수 있으려면 우선적으로 “자체 디파이 스테이블코인”을 개발•유통해야 합니다.

Tokamak Stablecoin의 기대효과

거래 수수료, 지속가능한 인센티브 구조 및 운영 효율화, 플랫폼 간의 시너지

이러한 노력은 디파이 생태계의 유사한 코인에도 접목 가능하므로 실질적인 확장성 제고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며 체인 간 거래의 활성화를 통해 유동성의 안정적 흐름을 가능케 합니다. 특히 거래 절차마다 지불해야 하는 각종 수수료와 리워드 관리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디파이 생태계 육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토카막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할 경우 거래 수수료를 대폭 줄일 수 있음으로 리워드 프로그램(Reward Program)의 운영에 있어 생태계 차원의 기울어진 운동장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각종 플랫폼 간의 시너지 효과를 활용 가능한 기회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시장 차원의 마찰 요인을 스테이블코인으로 완화할 수 있다면 비용적 요인을 상회하는 혜택을 기대할 수 있으며 생태계의 선순환을 작동 시켜 더 많은 프로젝트의 온보딩을 통한 지속적 성장도 가능해집니다. DeFi생태계의 육성은 자체적인 스테이블 코인의 개발과 활용을 통해 시작해야 하고 초기의 탈중앙화 장애 요소들은 생태계의 선순환구조를 통해 줄여나갈 수 있습니다.

Seigniorage 극대화를 위한 Treasury 기능의 확충

image source: oxford-training

소위 화폐의 광범위한 통용가능성, 즉, No Questions Asked 차원의 신뢰를 구축하는 데 있어 현실적인 걸림돌로 부각되고 있는 발행과 유통 규모를 해결하기 위해 Treasury 기능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빠르게 변하는 글로벌 규제의 틀 안에서 디지털 자산시장진출에 관심 있는 은행 및 비은행들과의 전략적 업무제휴, 그리고 펀드 투자 유치 등 외부 협업을 통해 접근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장기능 활성화를 위한 Oracle 및 OnChain 분석업무도 추진 중입니다.

차츰 발행 및 유통 규모를 확대하고 Treasury 자체의 수익 창출을 통해 추가적인 보상기반으로 활용할 경우 토카막 스테이블코인은 하향 위험을 관리하면서 생태계의 확장과 더불어 가치가 높아지는 투자대상으로 모든 참여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이 될 것입니다.

맺으며

온더 디지털금융연구소의 최공필 박사는 ADB-IMF 등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오랜 기간 연구하던 APCF(Asian Prime Collateral Forum)의 국채담보 시장 메커니즘을 블록체인 기반에서 확장하는 방안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온더의 탄탄한 블록체인 기술과 함께 대한민국 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스테이블 코인 모델을 연구•개발해 나갈 예정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