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논문 시장에서 파괴적 혁신의 필요성에 대하여

Junseon
Pluto Labs
Published in
8 min readJul 27, 2017

--

1995년, Forbes에서 <Elsevier, the largest publisher of scientific journals, would be “the internet’s first victim”> 라는 제목의 기사가 발표되었습니다. 이 기사는 출판산업이 디지털로 넘어 오면서 연구의 공유가 비싼 저널 대신 온라인에서 무료로 가능하게 될 것이라는 믿음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기사 이후 많은 연구자들은 오랫동안 이어져 온 출판사로부터 해방 될 것이라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그 믿음은 틀렸습니다. 아래 그림은 elsevier의 멸망이라는 forbes의 예측과는 달리 대형 출판사로 성장한 elsevier의 이익을 보여줍니다. Elsevier의 2016년 영업이익률은 36.77%로 이는 애플의 연간 영업이익률이 가장 높았던 2012년 (35.30%) 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2016 애플 영업이익률 32.4%]

출처- relx2016-annual-report

이렇듯 대형 publisher들은 과거 지면을 통해 구축해온 유통 채널을 현재까지 시장 영향력으로 사용하면서 과다한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그 바탕에는 유명 학술 저널을 보유한 출판사의 시장 독과점이 있는데, 이는 성과를 인정받기 위해 유명 학술 저널에 논문을 게재해야하는 연구자들의 욕구를 이용한 것입니다. [실제로 상위 4개 publisher (Elsevier, Springer, Wiley-Blackwell, and Taylor & Francis) 35% journal 가짐] 독과점한 학술 출판사는 상업적인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점점 높은 비용을 요구 하고 있으며 긴 기간의 논문 게재 프로세스를 가지지만 심사 결과의 질과 신뢰는 오히려 낮아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 논문의 공급자임과 동시에 소비자인 연구자들은 독과점한 대형 출판사의 시장 영향력 아래 가격이나 프로세스에 대한 협상력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즉 현재 학술 출판시장의 비 효율성은 영향력을 가진 중앙이 존재하는 구조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출판사의 과다한 구독 가격 인상과 끼워팔기, 그리고 SOPA(Stop Online Piracy Act) 지지에 대해 대항하여 2012년 수학자 Timothy Gowers의 주도로 ‘The Cost of Knowledge’란 운동이 시작되었습니다. ‘The Cost of Knowledge’의 주된 활동은 학계의 주요 출판사, 특히 Elsevier에 학술 저널 기고, Peer Review, Editor로의 활동을 보이콧하는 것입니다. 해당 활동의 결과로 2012년 2월 27일 Elsevier는 구독료 인하와 SOPA와 관련된 법안인 Research Works Act 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기로 발표하였지만 여전히 그들이 가진 시장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습니다.

한편, 이러한 출판 시장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OA(Open Access) 라는 움직임이 2002 ~ 2003년에 Budapest, Berlin, Bethesda 등에서 시작되었습니다. Open Access는 학술 저널의 상업화와 독과점화 심화에 대한 대안적인 운동으로 높은 학술지 가격과 강경한 저작권 관련 정책으로 인해 논문에 접근이 어려워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논문을 누구나 접근 가능하게 만드는 모델입니다. 전통적인 OA의 개념은 2002년 BOAI(Budapest Open Access Initiative) 선언에서 찾을 수 있는데 해당 선언은 ‘인터넷 상에서 누구나 비용지불 없이 학술지 논문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음과 특별한 허가 절차 없이 최대한 재사용이 가능함’ 이라고 서술하고 있습니다. 초기의 OA는 셀프 아카이빙 방식을 기본으로 하여 연구자가 각자 자신의 온라인 보관함(repository)에 연구 결과를 스스로 게시하는 방향이었으며 이를 GREEN OA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연구자들의 자발적인 참여 부족과 완전한 무료 논문 제공이 유료 출판사에 미칠 금전적인 손실에 대한 문제가 발생을 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GOLD OA 라는 모델을 만들게 됩니다. GOLD OA 는 출판사에서 OA 출판을 대행해주는 모델을 말하며, 출판사는 해당 논문의 잠재적 구독료를 대체한다는 명분으로 오픈 액세스 출판비용(APC(Article Processing Charge))을 연구자에게 추가적으로 청구하여 새로운 수익원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이러한 APC로 출판사들이 창출한 수익과 관련한 그래프입니다.

“Article processing charges (APCs) and subscriptions — Monitoring open access costs” © Jisc

또한 OA라는 새로운 흐름은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OA 기반의 온라인 학술 저널이라는 새로운 모델을 만들게 되는데, 이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게 됩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추후 다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가장 큰 문제는 출판사가 높은 비용을 받음에도 제대로 된 리뷰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사실입니다. 최근 5년 내에 Elsevier와 Springer 는 가짜 Review로 인한 사건을 겪었으며, Review의 조작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불과 세달전인 2017년 4월 대형 출판사중 하나인 Springer 의 학술 저널 ‘Tumor Biology’ 에서 review 조작 사건으로 인해 논문 107개가 집단적으로 retraction(게재 취소)를 한 사례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가짜 review 문제가 아직도 존재하며 심각하다는 사실을 말해줍니다. 더욱이 논문 게재의 모든 권한을 갖는 Editor가 Reviewer를 선정할 때 일정한 기준이 없어 전문성이 없는 Reviewer가 Review를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eer Review 만을 전문적으로 해주는 Platform까지 등장하였습니다.

학술 출판사는 높은 비용을 요구하며 상업적인 수익을 취하고 있지만 논문 게재 프로세스의 효율과 신뢰는 오히려 낮아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문의 공급자임과 동시에 소비자인 연구자들은 출판사의 시장 영향력 아래 협상력을 잃은 상황입니다. 즉 영향력을 가진 대형 출판사가 만든 중앙구조가 현재 학술 커뮤니티 문제의 시작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Pluto는 앞서 말한 모든 문제가 권한과 협상력을 보유한 중앙화된 중간 매개체인 출판사의 역할로 발생하는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역할을 블록체인 위에 Autonomous하게 구현함으로써 현재의 학술 커뮤니티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Pluto는 ‘학술 정보의 탈 중앙화 (Decentralized Academia)라는 실현하기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대 전제를 갖고 해당 플랫폼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1. 저자가 논문 게재를 위해 지불하는 비용은 기존 시장보다 압도적으로 저렴해야 하며, 해당 비용은 저자의 논문을 평가하기 위한 비용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

2. 저자는 자신의 논문에 대한 모든 권한을 보유하며, 기고한 논문의 적절한 가치를 설정할 수 있다.(무료로 공개도 가능)

3. 논문의 평가는 Peer Review로만 이루어지며, Peer Reviewer는 이전 평가 결과를 반영하는 본인의 Reputation을 갖고있으며 해당 Reputation에 따라 자신의 리뷰에 중요도와 리뷰에 대한 보상의 가중치가 부여된다.

4. 플랫폼 위에서 발생한 모든 활동에 대한 데이터는 공개되어 있으며, 블록체인의 특성상 어떠한 누구도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없다.

이러한 플랫폼을 통해 Pluto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예상되며, 이를 통해 ‘학술 정보의 탈 중앙화’를 실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1. 저렴한 투고료로 인해 연구 성과 공유의 장벽이 사라짐

2. 각종 불필요한 절차가 생략되기 때문에 논문 게재까지 걸리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듬

3. Review의 질적 향상 및 어뷰징 감소

4. Peer Review 단계부터 많은 동종분야 연구자들이 자신의 논문을 관심있게 봄

본 블로그에는 학술 논문 산업에서의 문제점 및 현재 주로 이용되는 대안적 방법에 대해 지속적으로 소개하고 해당 과정을 어떻게 블록체인 위해서 구현할 것인지에 대해 서술할 예정이며, 본 프로젝트에 많은 관심과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Junseon
Pluto Labs

The founder of Pluto Network. We are working on accelerating scientific progress for all of huma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