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강에서 설명했던 fork()
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 이어서 설명한다. fork()
뿐만아니라 이번 3강에서는 다양한 시스템 콜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데몬(Daemon)과 서버(Server)에 대해서도 간단히 학습할 것이다.
시작하기 앞서 이번 강의에서 등장할 그림들에 오류가 있다는 점을 언급하고 싶다. 오류가 있는 부분은 별도로 빨간색으로 마크해서 원래 있어야할 곳으로 표식을 해놓거나 중간 중간 어떤 부분에 오류가 있는지를 언급을 했으니 부디 설명을 읽으면서 헷갈리지 않길 바란다.
1. 주요 시스템 콜 동작 원리
1.1 Fork(2)의 동작 원리
그림에서 수정된 사안이 하나 있는데, printf(“I am parent!\n”)부분이 else 구문에 속해야하는 것이 맞다. 이점을 주의해서 아래 설명을 보자.
위의 소스코드로 동작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쉘(Shell) 프로그램이라고 해보자. 쉘 프로그램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기다리고 입력된 명령을 토대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교통 정리 프로그램이라고 우리는 배웠다. 쉘이 시작되면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터미널 혹은 프롬프트 창이 등장할 것이고 쉘은 터미널 혹은 프롬프트 창에 사용자로의 명령이 입력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아래와 같은 화면을 생각하면 된다.
우리가 쉘에 Microsoft의 Word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word라는 명령을 터미널에 입력했다고 해보자. 입력된 명령어를 받은 쉘은 가장먼저 fork( )를 진행한다. fork( )를 호출하면 자식 프로세스가 생성되면서 부모 프로세스와 완전히 동일한 소스코드(image) 갖게된다. 코드 뿐만 아니라 부모 프로세스의 PCB(Process Control Block)도 그대로 물려 받는다. (PCB에 대해서는 2강 강의노트에서 자세히 다뤘으니,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2강 강의노트에서 PCB 키워드로 검색을 해서 확인하길 바란다.)
fork()
는 두번 리턴된다. 한 번의 리턴은 자식 프로세스에게 0값을 리턴하고 나머지 한 번은 부모 프로세스에게 자식 프로세스의 프로세스 아이디값을 리턴한다.
아직은 부모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하고 있기에 fork( )로부터 리턴된 pid값은 자식 프로세스의 pid값이고 부모 프로세스는작업printf("I am parent!n")
을 마저 진행한다. 자식 프로세스의 pid값을 리턴 받음으로써 부모 프로세스는 자식 프로세스를 알고 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부모 프로세스로부터 복제되어 생성된 자식 프로세스는 현재 ready queue에서 CPU가 자신에게 할당되기를 기다리는 중이다.
앞서 2강에서 fork( )는 두 번 리턴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첫 번째 리턴에서는 자식의 pid(Process Id)를 리턴하므로 if 조건문을 건너 띄고 else 구문으로 넘어간다. else구문으로 넘어가면 printf(“I am parent!n”);가 실행되고 모니터 화면에는 I am parent가 나타나게 될 것이다. 작업을 다 마친 부모 프로세스는 종료가 된다.
이후 CPU의 점유권은 자식 프로세스에게 넘어가게 된다. 이론상 ready queue에 대기하고 있던 다른 프로그램들이 없었다고 가정한다면, 부모 프로세스가 끝남과 동시에 자식 프로세스는 CPU를 쥐게 된다.
자식 프로세스는 어떻게 동작할까? 위에서 fork()
가 실행되면서 부모의 코드(이미지) 뿐만 아니라 PCB를 통째로 복사했기 때문에 다음에 어디서부터 실행해야할지 알려주는 PC(Program Counter)와 SP(Stack Pointer) 등 또한 복사되었다. 즉 PCB에 존재하는 State Vector Save Area영역 (이하 state vector로 서술함)에 있는 PC
와 SP
등을 복사했기 때문에 자식 프로세스의 코드가 실행될 때는 맨 처음부터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fork()
중간에서부터 다시 진행하게 되어 있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초기 실행될 때 main()
부터 시작한다. PCB에 그렇게 명시되어 초기화가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 다루고 있는 자식 프로세스의 경우는 PCB에서 가리키고 있는 다음 실행주소(Program Counter)가 fork()
에 있었기 때문에, 자식프로세스는 fork()
중간 영역부터 진행한다. (중간 영역이라는 건 fork()
함수가 한창 진행중일 때 복사가 일어났으므로, 그 진행중이었던 파트부터 다시 진행된다는 의미로 해석하면 된다.)
자식 프로세스가 fork()
에서 리턴되면, 자식 프로세스 코드 안의 pid 변수는 0의 값(자식 프로세스 pid는 보통 0)을 가지기 때문에 I am Child \n이 화면에 출력되게 된다. 지금까지 다룬 내용을 다시한 번 정리하면서 아래 그림을 살펴보자.
위에서 수정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일단, printf("I am Parentn")
는 else문에 속해 있어야 하는 것을 염두하고 살펴보면, 첫 번째 출력값인 I am Parent는 일단 부모 프로세스가 시행한 작업이다. 그리고 부모프로세스가 끝나면서 자식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하게 되면서 fork()
로부터 리턴 값을 받아 if문 조건을 만족하게 되고, printf("I am Child n")
를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I am Child는 자식 프로세스가 시행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if문 끝단에 있는 execlp
구문 같은 경우는 바로 아래에서 이어서 설명한다.
1.2 Exec(2) 동작 원리
exec(2) 시스템 콜에 대해 알아보기 전 몇 가지 배경지식에 대해 먼저 짚어보고자 한다. 위 그림을 보면서 함께 설명을 따라가보자. 먼저 exec()
에 매개변수를 살펴보면, /bin
이 보인다. /bin
은 바이너리(binary) 파일만 모아둔 폴더(directory)를 의미한다. 그 폴더 안에는 바이너리 프로그램들이 수 십개가 존재하고 있는데, 그 바이너리 프로그램 마다 원래는 a.out
의 형식으로 되어 있지만 그 이름을 각자의 프로그램 제작사의 입맛에 맞게끔 설정해 놓았다(ls, cat, hwp, ppt 등).
코드를 살펴 보면 자식 프로세스 차례가 왔을 때 I am child!
부분의 출력문을 출력하고, execlp(exec 계열 함수)를 실행하게 되어 있다. exec
시스템 콜은 현재 돌아가고 있는 프로세스 위에 자신의 프로세스로 완전히 덮어씌어(over write) 버린다. 덮어쓴 후 exec 매개변수로 왔던 그 프로그램의 main( )으로 가는 것이 exec
의 작동 원리다.
새로운 프로세스가 생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pid(Process Id)는 변하지 않는다. 다만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코드(기계어 코드)와 데이터, 힙, 그리고 스택 영역의 값들이 exec으로 발생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의 것으로 바뀌게 된다.
설명은 위와 동일하다. exec은 자신의 프로세스를 현재 진행 중인 프로세스 위에 덮어 써버린다. 덮어 씀과 동시에 date의 main( )으로 넘어가는 것이고, 그 쪽에서 날짜를 출력해주는 작업을 진행한다. 그래서 유닉스나 리눅스에서는 프로세스의 생성이 fork( )하고 exec( )을 하는 두 스텝으로 존재한다.
fork( )는 image(= 소스코드)와 PCB를 전부 복사하는데, exec()
의 경우에는 현재 image에 새로운실행(execute)코드를 디스크로부터 바이너리 파일 형태로 가져온 후에현재 image에 덮어 씌우기(over write)를 진행하고 자신 프로세스의 main( )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기존의 작업하던 것을 자신의 프로그램으로 갈아 치우고 자신의 프로그램을 가동시키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1.3 Wait(2) 동작 원리
시스템 콜은 결국 커널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뜻한다. 위 그림을 보면서 wait( )에 대해 알아보자. 어떤 프로그램이 wait()
를 호출하면 해당 프로그램의 CPU 사용권한을 박탈한다. 위 그림의 본문 첫 줄에 등장하는 것처럼 프로세스 P_A로부터 CPU 사용 권한을 박탈한다(preempt).
임의의 프로세스 A(위 그림에서 P_A 라고 표현되어 있음)가 wait(2)
시스템 콜을 호출하면 커널모드(K)의 트랩 핸들러(Trap Handler)에 진입하여 wait( ) 시스템 콜 실행을 하게 되는데, 이때 시스템콜을 호출한 프로세스로부터 CPU를 뺐는다(preempt).
풀어쓰자면, 커널은 보통 자신의 작업을 다 하고 나면 호출한 프로세스의 유저 모드로 돌아가야 하는데, 유저모드로 돌아가지 않는다.
커널이 아닌 프로그램은 자신의 주소(address)에 한정되서 read, jump 등을 수 할 수 있지만 커널은 어디로든 가고 jmp(점프)할 수 있기 때문에 ready queue
에 가서 준비된 프로세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프로그램의 PCB를 찾아서 PC(Program Counter)를 알아낸 후에 PC(프로그램 카운터)가 가리키 쪽으로 가는 것(jmp)이다. 이 과정이 preempt라 부른다.
그 아래의 그림을 살펴보자. 이번에는 부모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춰서 살펴보자. fork( )
후에 if문을 통과한 후에 else문에서 부모 프로세스는 자신의 일을 수행한다. 모든 일을 마친 후 소스코드의 마지막으로 가보니 wait( ) 시스템 콜을 호출하고 있다.
wait( ) 시스템 콜을 호출하면, 부모 프로세스는 잠들게 된다.자식 프로세스가 끝날 때까지 잠을 잔다(sleep). CPU는 자식 프로세스에게 넘어가고 자식프로세스는 자신이 할 일을 수행한다. 자식이 하는 일 중에 execlp("/bin/date"...)
라는 명령어가 마지막으로 있으니 해당 명령어를 마지막으로 수행하고 자식 프로세스는 중료한다.
자식 프로세스가 종료했을 때 CPU는자식 프로세스로부터 부모 프로세스를 찾는다. 그 후 CPU는 부모 프로세스를 대기명단(ready queue)에 등록시킨다. 이후 부모가 CPU 점유권을 받았을 때! 그 때가 바로 wait( ) 시스템 콜이 끝나는 지점이다. 부모는 이후 자신의 남은 일이 있었다면 해당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비유를 들자면, 메일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메일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목적은 상대에게 메일을 보내는 것이므로 우리는 ‘메일 쓰기’를 클릭할 것이고, 곧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에디터가 나타난다. 여기서 메일은 부모프로세스고 텍스트 에디터는 자식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는데, 우리가 메일 쓰기를 마치면 자식 프로세스(텍스트 에디터)가 종료하면서 부모 프로세스(메일 프로그램)가 다시 등장하게 된다.
1.4 Exit(2) 동작 원리
메인함수 main()
가 끝날 때는 반드시 exit(2) 시스템 콜이 존재한다. 설령 우리가 소스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exit()
을 직접 기입하지 않았더라도 컴파일러가 알아서 main( ) { }의 마지막에 exit(2) 시스템 콜을 삽입하게 되어 있다. 아래 그림을 살펴보자.
자식 프로세스(pid: 0
)의 작업 중 execlp("/bin/date", ...)
가 있고 위에서 배웠듯이 exec(2)
계열의 시스템 콜(exec, execv, execlp ...
)이 실행되면서 현재 있는 프로세스 위에 인자로 주어진 프로세스(date)를 덮어 씌어버린다. 그리고 곧장 해당 프로세스의 main()
을 실행시키게 된다. 원래 저 노란 박스(main 함수가 들어 있는)에는 exit()
이라는 소스코드가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컴파일러가 컴파일을 할 때 삽입을 해줬고, 실제 만들어진 이진파일(binary file)을 열어 보면, exit(2)
에 해당하는 코드가 들어있게 된다.
위 그림에는 exit(2)
의 작동 원리가 좀 더 상세하게 적혀 있다. 이후 들어오는 신호들을 전부 무시해버리고, 파일들이 열려 있다면 파일들을 닫는다. 또한 메모리 영역에서 해당 프로세스가 차지하고 있는 부분(image)을 해제(deallocate) 해버리고, 부모 프로세스에게 통보한다. 그리고 exit(2)
을 호출한 프로세스의 상태를 좀비(ZOMBIE)상태로 설정한다. (좀비 상태라는 건 다음 강의에서 다루게 된다.)
커널에서 일어나는 동작으로는 먼저 exit(2)을 호출한 프로세스의 CPU를 빼았고, ready queue에 있던 다른 프로세스에게 CPU를 넘겨준다. 이 과정을 스케쥴링(scheduling)한다고 표현하는데, 실제로 exit(2)을 호출하게 되면 커널 안의 schedule( ) 함수가 호출된다. 스케쥴 함수 관련 설명은 글의 마지막 3번 부분에서 다룬다.
2. 시스템 콜 요약 정리 (Summary)
지금까지 우리는 프로세스를 위한 4가지 시스템 콜에 대해 살펴 보았다. fork()
는 부모 프로세스와 아주 유사한 자식 프로세스를 만들어 내고, exec()
은 진행 중인 프로세스 위에 새로운 프로세스 이미지를 덮어 씌운 후 main()
으로 가게 된다. wait()
은 이 시스템 콜을 호출한 프로세스를 잠들게 하는 것이고, exit()
은 가지고 있던 모든 자원(resource)을 반환하고 부모 프로세스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3. Context Switch (유저 모드와 커널 모드 사이의 전환)
지금부터 설명하는 내용은, 설명과 함께 그림을 봐야 이해가 잘되니 이 점 꼭 유의해서 설명을 차근차근 살펴보자.
- 유저가 쉘이 띄어 준 프롬프트에 명령어(“ls”)를 입력한다. 쉘 입장에서 이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fork( )를 실행한다. 여기서 쉘은 부모 프로세스가 되고 새롭게 생기는 프로세스는 자식 프로세스가 된다.
fork()
가 동작하면서 쉘의 PCB와 쉘의 a.out(코드)을 그대로 복사한다. 그러나 CPU는 아직 쉘에게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ls
가 실행되거나 하진 않는다. - 부모 프로세스 쉘이 wait( )을 호출하게 되고 쉘은 잠들게 된다. 잠들면서 부모 프로세스는 CPU의 대기 리스트(queue)에 들어가게 된다.
- 자식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와 똑같은 코드 및 상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fork( ) 중간에서 동작하게 된다.
fork()
로부터 리턴된 값은 자식 프로세스를 뜻하는pid
값 0으로 자식프로세스는 execlp("/bin/ls" ...)를 실행하게 된다. - 디스크로부터
ls
를 로드한다. 자식 프로세스가 기존의 부모 프로세스(쉘)로부터 그대로 복사해왔던 이미지 위에 그대로 덮어씌운다(overwrite). 덮어 씌운 후ls
의 메인 코드로 가서 코드를 실행한다(ls
가 실행된다). ls
가 끝나면exit(2) 시스템 콜을 하게 되어 있고,exit(2)
을 호출함으로써 다시 커널모드로 들어와서 커널은 CPU를 다른 프로세스에게 할당하게 된다. 이 때 wait(2) 시스템 콜이 끝난 것으로 인지를 하게 된다.- (그림에는 7번으로 되어 있음)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기다리고 있던 프로세스가 없다면, 기존의 부모 프로세스(쉘)는 다시 동작하게 된다.
위 그림은 쉘의 유저모드와 커널모드를 왔다 갔다 하는 것을 시간 순서로 도식화해놓은 것이다. 위에 해당하는 부분은 가볍게 훑어보는 것으로 아래의 그림으로 넘어가 보자.
Kernel의 경우 하드웨어를 위한 자료구조, 즉 테이블이 하나 존재한다. 그 자료구조를 위 그림에서는 struct CPU라고 표현하고 있다. 위 그림의 상황을 보자면, 먼저 CPU가 P1을 실행시키고 있다(파란 글씨로 P1 was running on CPU). 그리고 P1이 wait(2) 시스템 콜을 호출한다. 시스템 콜을 호출하면서 커널은 CPU state vector(PC, SP 등)를 P1의 PCB에 저장한다.
이렇게 상태 값을 기억하는 이유는 wait(2) 시스템 콜이 끝났을 때 wait(2)을 호출한 프로세스가 다시 정상적으로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다. 보다시피 P1과 P2의 PCB는 커널 코드 안에있다. 위 그림의 Kernel 파트를 보면, 커널에는 2종류의 자료구조가 존재하고 있다. P1과 P2에 해당하는 PCB들을 각각 하나씩 가지고 있는데, 커널 안에는 기본적으로 각 하드웨어 자원들 마다(for each hardware resource) 자료구조가 존재하고 또한 각 유저 프로세스 마다(for each user processs) 자료구조가 존재한다.
P1은 자신의 state vector에 해당하는 값들을 P1에 대응되는 PCB에 써주고(저장하고), CPU는 이제 그 다음 실행해야 할 프로세스에게 자신을 넘겨줘야 한다. CPU는 ready queue를 따라가서 CPU를 쓰겠다고 줄을 서 있는 프로세스들의 PCB를 살펴보고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프로세스를 선택한다. 그 프로세스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그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PCB로부터 레지스터 값들을 가져와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PC, SP 등에 저장해야 한다. CPU안에 있는 PC(Program Counter)가 P2의 PC로 바뀌었기 때문에 P2의 PC가 가리키고 있는 곳부터 실행(run) 된다.
다음으로 Context Switch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schedule 함수에 대해 살펴보자. schedule()
은 internal 함수이고, Kernel a.out
에 알려지지 않는 함수다. internal 함수랑 정 반대되는 성격을 가진 것이 바로 시스템 콜이며, 시스템 콜은 커널 a.out에 알려지고 커널 밖에서 부를 수 있다. (커널이 금단의 영역이라면, 시스템 콜은 그 영역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반면에 schedule( )은 커널 안에서만 부를 수 있는 함수이다. 즉 유저모드(커널 밖)에서는 요청조차 할 수 없다.
우선 이 schedule()
은 다음에 실행될 프로세스를 찾아 선택한다. 그리고선 context_switch( )라는 함수를 호출한다. schedule()
은 read(), wait(), exit()
과 같은 함수가 호출한다. read()
의 경우를 생각해보면, 사실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와 달라는 요청은 CPU 입장에서는 몇 억년 걸리는 일이다. 디스크에 간다고 해서 바로 정보를 읽어올 수 있는 확률은 매우 적기 때문에(다른 프로세스에서도 디스크를 사용중일 수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대기하는 시간이 생기게 되는데 이 시간 동안 CPU가 가만히 있을리 없다. 모든 자원은 제때 제때 효율적으로 사용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CPU를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 해주어야만 한다. 그래서 read()
에서도 switch()
호출이 일어나는 것이다.
context_switch( )를 부르면, 현재 CPU state vector를 은퇴하는 프로세스의 PCB에 쓰고,새로 등장(arising)하는 프로세스로부터 PCB를 로드하고, 해당 PCB의 PC로부터 다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작업을 해준다.
즉 schedule( )
은 CPU의 임자가 바뀌어야 할 때(read( ), wait( ), exit( ))마다 불리고, 새로운 임자에게 할당해주기 위한 내부 작업을 진행한다.
4. 총정리
지금까지 다뤘던 내용들을 총 엮어서 설명을 진행한다. 꽤나 복잡한 그림이 엮여 나오니 설명과 함께 따라오도록 노력해보자. 일단 아래 그림에 분홍색 구간은 커널이다. 커널 안에는 여러가지 시스템 콜이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시스템 콜들은 context_switch()
와 같은 내부함수와 연관이 있으며 각 하드웨어 자원마다 자료구조가 존재(struct CPU)한다. 아래 그림 또한 그림에 오류가 있는 부분이 있는데, 오류가 난 부분은 설명하면서 함께 나오니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fork()
를 진행하면 커널로 진입한다. 커널에서 fork( )는 부모 프로세스와 똑같은 image를 생성한다.- 점선으로 표시된 이유는 아직 CPU 제어가 부모 프로세스에 있기 때문에 자식 프로세스로 향하는 선은 점선으로 표시가 되어 있다.
- 그 다음
fork()
작업이 끝나고 리턴한다. 앞서 언급했듯 부모 프로세스에서fork()
를 실행했을 때의 결과값과 자식 프로세스가 실행했을 때의 결과값은 다르다고 했다. 일단 첫번째로 리턴되는 건 부모 프로세스의 PID가 리턴되므 else문으로 가서 wait( ) 시스템 콜을 호출한다. wait()
시스템 콜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또 다시 커널모드로 진입한다. wait( )은 CPU를 잠시 포기하겠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context_switch( ) 함수를 실행한다.- 그림을 정정해야 한다.
wait()
에서context_switch()
로 가는 것이기 때문에 5번 화살표의 방향은 반대가 되어야한다.context_switch()
함수가 실행되면서, 먼저 CPU에 있던 state vector 영역에 해당하는 정보를 부모 프로세스의 PCB에 덮어 쓴다(저장한다). 이렇게 저장을 해야 후에 자식 프로세스의 작업이 끝나고 돌아왔을 때, 부모 프로세스의 PCB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값들을 보고 후에 다시 부모 프로세스로 돌아가서 남은 작업들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다. - 그런데 자식 프로세스가 생겨날 때 애초에 부모프로세스에서
fork()
가 일어나던 시점에 형성된 것이므로, 자식 프로세스의PC(Program Counter)
는fork()
중간을 가리키고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제어흐름은 6번 화살표를 따라fork()
로 가게 되고,자식 프로세스의 시작은 fork( )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 자식 프로세스에서 실행되고 있는
fork()
의 리턴 값은 당연히 자식 프로세스의 PID일 것이다. 따라서 자식 프로세스가 실행하기로 되어 있는exec()
이 호출된다. - exec( )이 해주는 작업은 하드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코드(유저가 exec 시스템 콜의 매개변수로 준 프로그램)를 불러들여 현재 진행되고 있었던 프로세스 이미지 위에 덮어 씌우는 작업이다.
- 따라서 디스크에 유저가
exec()
시스템 콜에 매개변수로 넘긴ls
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현재 진행중이었던 쉘(자식 프로세스) 위에 덮어 씌어지게 된다.
10. 덮어씌어진 후에 ls 프로그램의 main( )으로 흐름이 넘어간다.
11. ls
의 코드가 전부 실행된 후 exit( )이 호출되면서 흐름은 12번으로 넘어간다.
12. 소스코드 상에 exit( )
이 존재하지 않아도 컴파일러가 알아서 삽입을 해주기에, exit()
을 무사히 실행할 수 있다. exit()
은 지금까지 진행중었던 프로세스로부터 CPU를 뺐고 다른 프로세스에게 재할당해 주는 과정이 있기에 마찬가지로 context_switch( )를 호출하게 된다.
13. 자신을 호출한 프로세스로부터 CPU를 뺐고, ready queue에 가서 CPU를 기다리고 있던 프로세스 중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를 골라서 해당 프로세스의 PCB 안의 상태값들을 현재 CPU의 레지스터에 복사 붙여넣기(복붙) 한다.
14. ready queue
에 부모 프로세스만 남아있다고 가정한다면, 부모 프로세스가 선택되어 실행될 것이고 부모 프로세스는 wait()
을 진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wait()
중간부터 다시 실행된다.
15. 14번까지의 작업이 끝났다면 쉘은 다시 사용자로부터 또다른 명령을 기다리고 있게된다.
4.1 용어 정리
총정리인 만큼, 기존의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차이에 대해서도 한 번 짚어보고 가도록 한다.
Process(프로세스).
프로그램이 실행중일 때 우리는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 부른다. a.out
형식을 가지고 main()
함수부터 시작하게 되어 있다. 스케쥴링과 보호의 단위이고, 자원을 할당받는 과정을 수반하고 유저모드와 커널모드를 왔다갔다 하면서 진행된다.
Context
유저 영역(user space)의 text는 instruction(명령문)을 의미한다. data
와 bss
에 대한 설명은 위 그림의 Note파트에 서술되어 있다. 먼저, 두 개의 배열(array)이 존재한다. A라는 배열은 초기값을 할당해줬고 B라는 배열에는 초기값을 주지 않았다. 만약 배열의 크기가 100만 정도에 전역변수로 선언되어 있다면? A 배열처럼 초기값을 할당 해줬다면 디스크에서 백만 개의 셀을 갖고 있어야 한다(사전에 자원이 지급됨). 만약 초기값을 주지 않았다면 디스크에 실제로 존재하진 않고 해당 배열이 실행 중 로드 될 때만 할당되게 된다.
초기에 값이 할당된 부분을 data라고 하며 초기에 할당되지 않은 데이터 부분을 bss라고 한다. heap은 동적 메모리 할당에 쓰여지는 데이터 영역이며 stack은 함수 호출 등에 사용되는 자료구조다.
커널 영역(kernel space)에는 PCB와 stack이 존재한다. HW(CPU) 쪽에서는 state vector가 존재한다. 이런 것들을 합쳐서 우리는 context라고 부른다.
Daemon (데몬) 또는 Server
서버(혹은 데몬)는 무엇일까? 근본적으로 서버는 a.out(실행 파일)이다. 다만 조금 특이한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아래 그림을 살펴보자.
맨 처음 서버 혹은 데몬이 시작되는 건 부팅 될 때(boot time)다. 부팅하고 나서 대부분의 시간은 잠들어 있다. 요청이 올 때만 해당 요청을 서비스 해주고 서비스가 끝나면 또 잠들게 된다. 이런 프로그램을 우리는 데몬 또는 서버라고 부른다. 만약 프린트 서버가 존재한다고 하면, 프린트 서버는 말 그대로 프린트 요청이 올 때만 프린트를 해주고 그 이외에는 잠든다. 네트워크 서버 또한 네트워크 요청(연결, 해제 등)이 올 때만 처리하고 그 이외에는 잠든다.
서버라는 것은 하드웨어의 개념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개념인 것이다. 항상 incoming request가 오는지 안 오는지 지켜보고 있으며 서비스가 올 때만 서비스를 해주게 되어 있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명령어 ps(Process State)를 살펴보자. 현재 기기에서 어떤 프로세스가 작동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e
옵션의 경우 시스템 프로세스까지 전부 보여주는 명령어다. 웹서버나 네트워크서버 등의 모든 시스템 프로세스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다.
보통 데몬이나 서버 프로그램의 경우 이름 뒤에 d
자가 붙는다. httpd
는 웹에서의 통신에 사용되는 데몬이고, ftpd
는 파일전송 서버를 나타내는 등 다양한 서버와 데몬이 존재하고 있다.
5. 마치며
생각만큼 크게 어렵지 않았던 3강이다. 결국 모든 프로그램은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것이 전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애초에 프로그램이란 건 논리의 집합이고, 해당 논리대로 작업을 하는 것이니 그 논리만 파악하고 있으면 그 프로그램을 아는 것이니까. 그나저나 강의 노트를 작성하는 건 생각만큼 쉬운 일이 아니라는 걸 다시한 번 체감한다. 내가 듣고 이해하는 것과 다시 누군가에게 풀어서 설명하는 건 천지차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