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l Bound Token(SBT) 이 가져올 GameDAO의 미래
§Intro
§SBT
- Backgraound of SBT
- Singularity of SBT
§Difference
- NFT
- DID
§SBT in GameDAO
- Evaluation criteria about the behavior of a player
$PGDAO
Intro
비탈릭 부테린은 올해 5월 ‘Decentralized society : Finding Web3’s Soul’ 이란 논문 기고를 통해 Soul Bound Token(이하 SBT)의 개념을 정리하여 제안하였습니다. 논문의 발표 이후 Web3 생태계에서 신원을 증명할 수 있는 SBT의 개념과 효용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SBT를 주목하는 이유와 개념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고 SBT가 활용될 GameDAO의 미래에 대해 가늠해보고자 합니다.
SBT가 나온 배경
SBT는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이하 WOW) 에서 사용된 아이템 이름을 차용한 것입니다. Soul bound Item은 획득시 프레이어에게 완전 귀속되며 다른 플레이어에게 양도할 수 없지만 업적을 증명하는 캐릭터의 소유물로서 기능합니다. 이러한 Soul bound Item을 비탈릭이 주목한 이유는 Web3 생태계에서 Idendtity가 확인되지 않아 파생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입니다.
기존 Web3 생태계에서 확인한 문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Sybil attack (소수 혹은 하나의 계정이 다수의 계정으로 거버넌스 투표권을 가져와 유리한 제안으로 투표를 조작하는 방법) : DAO를 운영하는데 생기는 걸림돌
2. 신원증명을 거래소 지갑에 의존
3. NFT 진위여부를 증명하기 위한 중앙화된 Web2 플랫폼 의존
SBT가 기존 NFT와 다른 점
SBT에서 Soul 의 의미는 SBT를 발행하고 저장할 수 있는 address 지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Soul의 주체는 개인, 단체 등 다양하게 파생될 수 있으며 정체성을 담은 지갑으로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개체가 서로에게 행위 또는 특성을 인증하는 토큰을 발행함으로써 서로의 신뢰도를 강화하는 긍정적인 면이 존재합니다. 특히, 질적 정보를 담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NFT와는 다른 점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SBT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속성은 ‘양도 불가능성’ 입니다. ‘양도 불가능성’은 NFT와 가장 구별되는 점이며 NFT에 ‘대체 불가능성’이란 원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도가능성 때문에 Idendtity 확인을 할 수 없었습니다. 또한 양도가능성 때문에 NFT는 자산적 가치를 더욱 눈에 띄게 만듭니다. 따라서 이러한 거래적 기능을 넘어서 개인의 특성을 확인하고 계약가능성을 여는 것, 커뮤니티에 대한 기여도 평가, 스스로 브랜딩을 하기 위해 신원을 특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토큰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비탈릭은 SBT를 통해 이른바 탈중앙화 사회(이하 DeSoc) 에서 신원증명을 가능하게 하고 기존에 파생된 문제점들을 기술적으로 해결하고자 시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SBT의 신원증명은 기존 DID와 구분 필요
그러나 SBT의 기능적 특성으로 지갑의 신원을 구분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 신원증명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 정부 또는 기관에서 SBT를 온전히 선택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습니다. 최근 우크라이나 DAO의 사례를 보면 온체인상에서 신원증명을 명확하게 할 수 없으므로 DAO 답지 못하다는 비판이 있었습니다. 물론 우크라이나 DAO에서 기존 거버넌스토큰의 발행시 금권선거가 될 수 있고 악의적 의도를 가진 사람들에 대해서 방어하기 어렵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 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탈릭의 주장대로 SBT를 통해 이와 같은 케이스의 해결이 가능한지는 의문입니다. 우크라이나 DAO의 경우 행위증명을 한다고 해도 현실의 신원증명을 온전히 온체인에서 이룰지는 기관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Soul의 주체자가 국가가 될 수 있고 SBT로서 신원을 보증하는 방법을 선택하기 보다는 DID 라는 기존 개념으로 정부와 기관들의 작업 수행을 하는 것이 신뢰도가 높을 것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DID를 SBT가 완전히 대체할 수 는 없을 것으로 보아야 하며 각자의 영역을 구축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와 다르게 일반적인 DAO에서는 주로 신원증명보다 활동증명을 통해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DAO 안에서의 Idendtity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을 확인받게 됩니다. 특히 기여도 평가를 통해서 신뢰를 쌓는 방식은 각 커뮤니티에서 해당 Soul의 범위를 구획하고 중요도 평가를 지속적으로 하게 만듭니다. 즉, 활동증명을 통해 조직내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을 SBT효용의 핵심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따라서 WEB3 안에서의 신원증명은 활동증명을 통한 조직내 Idendtity 귀속으로 보아야 합니다.
DAO에서 Soul을 부여하는 과정
관계성은 다층적이고 복잡하게 얽혀있습니다. 여러 관계속에서 또한 집단속에서 하나의 정체성만이 형성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Web3 안에서 생성될 DAO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DAO의 성격, 목적에 따라서 지갑과 연계될 SBT는 그 자체로 DAO 안에서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쌓아가게 할 수 있습니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해 DAO의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데에 도움을 주게 될 것입니다.
한편, Web3 이용자는 각각의 DAO에서 한 사람의 역할이 다르므로 드러내고 싶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갑을 분산관리 하는 경우 드러내고자 하는 경력증명 또한 분산관리 할 수 있는 것으로 본다면 SBT를 한 지갑에 전부 쌓지 않아도 각각의 활동에 제약받지 않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DeSoc 에서는 SBT를 통해 인간의 다양한 정체성을 온체인에서 구축 가능하게 될 것입니다.
Game DAO에서 쓰일 SBT
위와 같이 정리한 SBT의 정의를 통해 SBT가 Game DAO 에서 발행될 만한 기준을 보겠습니다.
- Game 플레이 시간
2. Game 플레이 성과
3. Game 특수 이벤트 플레이 증명
3. Game플레이 팁에 대한 공유
4. DAO에서 설정한 SBT에 가중치를 둔 INDEX 기준 활용
이는 가장 단순하게 SBT의 영감이 되었던 게임 내부의 item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즉, 게임과 관련하여 증명하기 쉬운 것들로 SBT발급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DAO라는 조직 내에서 게임 기여도를 측정할 수도 있으며 다른 게이머에게 긍정적 영향을 준 정도를 평가하여 SBT 발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DAO는 운영할 때 특정 활동증명을 평가할 수 있는 SBT 와 가중치 개발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주로 활동증명이기 때문에 일정시간이 지나 새로운 시즌, 에피소드 혹은 새로운 게임에 대한 경력은 모두 다르게 평가 받아야 할 요소가 있습니다. 기여도의 산출은 기간 제한을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기간 제한된 SBT의 활용과 거버넌스 운영 적용까지는 연구가 필요합니다.
DAO 활동의 분석에 따라 게임사도 그에 맞는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DAO와 게임사 간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서 게임 퀄리티를 올릴 수 있습니다. 또한 GameDAO는 여럿이 될 수 있기 때문에 DAO 별 분석을 통해서 특정 SBT를 형성할 수 있는 요소도 갖게 됩니다.
GameDAO에서는 위와 같은과정을 통해서 게이머가 정체성을 형성하고 거버넌스를 운영하게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GameDAO를 선도할 PRO GAMER DAO(PG DAO)
지금까지 새롭게 출현한 SBT의 개념을 정리하고 GameDAO 에서의 활용까지 살펴보았습니다. SBT의 연구를 통해 GameDAO 운영에 적합한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에 맞춰 게임사와 게이머 사이의 간극을 줄이고 게이머들의 활동을 통해 뻗어나갈 DAO의 과정을 그려보았습니다. 앞으로 PG DAO가 걸어야 할 길임을 확신하며 또한 저희와 함께할 많은 게이머분들을 고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