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P2462규격으로 Ethereum 사이드체인 브릿지 제안

Jason Jaewoo Kim
rewritelab
Published in
5 min readFeb 18, 2020

--

[목차]

1. 개요

2. EIP2462란?

3. EIP2462로 할 수 있게 된 것들

4. 정리

​​

1.개요

최근 새롭게 나오고 있는 블록체인들이 이더리움(Ethereum) 가상머신 EVM에 호환성을 가지는 추세입니다. 예로 COSMOS, Polkadot등이 자체 블록체인을 구축할 수 있는 프레임웍을 보유하고 있고, 다양항 모듈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 하나가 EVM모듈도 있습니다. 그외에도 국내에서는 기업들이 컨소시엄으로 구성된 Klaytn이 EVM호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EVM호환성을 가진 블록체인의 장점은 이더리움(Ethereum)의 개발언어를 사용하여 개발자의 학습비용을 낮출 수 있고, 기존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더이움 응용프로그램 이식이 쉬운 것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번 리포트에서 설명하는 EIP2462이 EVM호환 블록체인을 이더이움(Ethereum)의 사이드체인으로 브릿지를 제안하려고 합니다. EVM 호환 블록체인에 이더이움 응용프로그램별로 이식하는 형태가 아니라, 사이드체인으로 사용하는 형태를 제안합니다.

2. EIP2462란?

EIP2462는 EVM 호환 블록체인 사이드체인으로 사용하는 표준 제안을 합니다. EIP2462제안은 메타트랜잭션(Meta Transaction)을 통해 실행됩니다. 메타트랜젝션은 이더리움(Ethereum)을 사용시, 반드시 ETH가 필요하다는 UX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레이어(Relayer)라는 주체가 수수룔르 인수하는 거래 방식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쉽게 메시지에 자신의 비밀키를 사용하여 서명을 하고, 리레이어(Relayer)가 해당 메시지를 바탕으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리레이어(Relayer)의 비밀키를 사용하여 서명을 하고 트랜잭션을 브로드케스트합니다.

EVM 호환 블록체인 사이드체인으로 사용시 제안된 EIP2462에서는 이를 활용합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이더리움(Ethereum)블록체인에서 개인키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의 메시지를 리레이어(Relayer)를 받아 EVM호환이 되는 다른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을 생성합니다. 이 가정은 EVM호환 블록체인이 이더이움(Ethereum)과 같은 비밀키, 그리고 그 당시 생성되는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EVM 호환 블록체인에 서명된 트랜잭션을 검증하는 프로세스는 이더리움(Ethereum)과 같습니다.

즉, 서명된 트랜잭션의 브로드케이스를 리레이어(Relayer)에 위임된 메타트랜잭션(Meta Transaction)은 각 지갑에서 서명된 이더리움(Ethereum) 호환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을 브로드케이스를 위임할 수 있어 활용이 가능합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해 주십시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UI를 통하지 않고, 그냥 이더리움 지갑만을 사용하고 있는듯한 형태로 다른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을 실행할 수 있고 결과로 사이드체인처럼 동작한다는 제안이 EIP2462입니다.

3. EIP2462로 할 수 있게 된 것들

보통 이더리움(Ethereum)이 아닌 새로운 블록체인 대부분의 기능들은 이더리움(Ethereum)보다 트랜잭션 성능은 좋습니다. 그러나 이더리움(Ethereum)과 비교해보면, 분산성이나 보안이 낮습니다. 이런 이유로 이더리움(Ethereum)을 메인블록체인으로 해당ID나 자산의 발행등 중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트레이드나 응용프로그램 이용등 다양한 트랜잭션은 다른 블록체인에서 실시하는 아이디어가 사이드체인입니다.

그러나, 사이드체인을 사용시, 사이드체인 주소가 메인체인으로 변경되거나 새로운 개인키 및 새 지갑을 유지하지 않는 등의 UI관점에서 문제가 있었습니다. EIP2462는 이 부분을 해결하고자 했으며, 사용자는 사이드체인을 의식하지 않고, 일반적인 이더리움(Ethereum) 트랜잭션을 실행하는 것처럼 사이드체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레이어(Relayer)는 어디까지나 서명된 트랜잭션을 브로드케스트하는 것이라서 리레이어(Relayer)를 신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전체 트러스트레스(trustless)가 아닌 서명된 트랜잭션을 리레이어(Relayer)가 브로드케스트가 되지 않거나, 그에 따른 프론트러닝(Front running)등 위험이 개입하게 됩니다. 그러나 리레이어(Relayer)에 의한 자산이 유출되는건 분가능합니다.

EIP2462의 사이드체인의 인터페이스를 근본적으로 변경하는 새로운 제안인 것처럼 생각하면, EIP2462이 표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이에 영향을 받은 지갑 서비스가 나올것으로 예상합니다.

​​

4. 정리

이 리포트는 EVM 호환 블록체인을 이더리움(Ethereum)의 사이드체인으로 브릿지 제안으로 EIP2462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더리움(Ethereum) 응용프로그램의 UI/UX도 EIP규격 및 개발자 주변도구 수준에서 계속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다만, 블록체인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경험을 획기적으로향상시킬 것으로 보여집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