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shion Magazine” Is Dead
“패션 잡지”는 죽었다
PRINT IS DEAD?
인쇄물은 죽었다?
Conventional wisdom tells that “print is dead.” Well, rumors of the death of print have been, as Mark Twain once quipped, “greatly exaggerated.” Print is still around and possessed of its own kind of ease and utility. But print is indeed expensive and hardly environmentally sustainable. So, the idea of a physical magazine printed for sale and profit is certainly laughable in this day and age. But that’s not the main reason I’m declaring the fashion magazine dead as a doornail.
사회적 통념상 다들 인쇄물이 죽었다고 합니다. 뭐 출판물이 죽었다는 이야기는 마크 트웨인이 한 번 재치있게 말했듯이 “크게 과장된 것”입니다. 출판물은 아직도 간행되고 있으며 그만의 용이함과 유용성으로 잘 살아남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격이 비싸고 환경을 생각하면 지속 가능한 것과는 거리가 먼 점은 인정합니다. 그래서 요즘 시대에 물리적으로 잡지를 출판하여 팔아 이익을 본다는 생각은 당연히 웃음거리가 되고요. 하지만 이것이 제가 패션 잡지가 완전히 죽었다고 하는 주된 이유가 아닙니다.
The other reason has to do with the fact that the fashion magazine has always been a really flawed concept to begin with. The magazine, since its inception in modern times and utility in creating markets (what’s we’d call a “demographic” today) in the service of capital, has always been a really efficient medium with which to focus (and define in the first place) actions around what were considered to be of particular concern to ccertain groups of people. And for Girls, from cooking and sewing (not fishing nor spelunking), to fashion and celebrity gossip, the fashion magazine in particular has been a way to define what a woman should be concerned about, what she should be doing or not doing, and what the boundaries of gender and sexuality even were. But without getting into a dry history, let’s just suffice it to say that it is kind of weird that fashion magazines solidified into the main conduit for focusing significant amounts of female attention and leisure energies. It could have been sewing, but that seemed far too specific and prone to changing with the times and the social roles of womenn; it could have been cooking, but that is similarly narrow. But fashion seems broad yet deceptively narrow, specific yet vaguely broad enough to include pretty much anything. Indeed, fashion magazines are changing their focii and meanings as fast as women are rapidly changing their demographics, types of leisurely pursuits, and recreational proclivities.
패션 잡지가 죽었다고 하는 다른 이유는 패션 잡지는 개념부터가 항상 큰 결점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잡지란 현대사회에 처음 판매될 당시부터 자본 서비스에서 유용한 시장을 창출하는 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데모그래픽”)부터 늘 효율적인 매개체였습니다. 잡지는 늘 특정 집단의 관심사에 초첨을 맞춰 이를 중심으로 (또한 이를 정의하는) 정말 효과적인 매체입니다. 여자를 예로 들자면 (낚시도 동굴탐험도 아닌) 요리와 바느질부터 패션과 연예까지, 패션 잡지는 유난히 여성이 무엇에 관심을 보여야 하는지 정의하였고, 그녀가 무엇을 하고 무엇을 하면 안되는지, 그리고 성과 섹슈얼리티의 경계가 무엇인지마저 정의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진부한 역사는 생략하더라도 그냥 패션 잡지 자체가 점점 너무 여성의 관심사와 레져에 집중하는 주요 매개체가 된 점은 이상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바느질이 주제가 될 수도 있지만 이는 너무 구체적이고 시대의 변화에 따른 여성의 역할에따라 함께 변화합니다. 요리가 될 수도 있겠지만 이것도 유사하게 너무도 한정적입니다. 그러나 패션은 뭔가 폭넓어보이지만 사실 엄청나게 좁고, 구체적이긴하지만 이것저것 다 포함할 수 있는 포괄적인 분야로도 보입니다. 물론 여성들이 데모그래픽, 여가 시간 활동과 취미 생활 성향을 바꾸는 속도에 맞춰 패션 잡지들 또한 그들의 촛점과 주제를 바꾸고 있습니다.
FEMININE INTERESTS
I dare say that fashion as a womanly interest has gone the way of cooking or sewing, and that indeed, “fashion magazines” have taken note. One look at Teen Vogue’s putative “wokeness” in editorial scope as well as depth is clear testament to this. While this is good news to many, the downside is that this isn’t good for the bottom line. People still expect a fashion magazine to behave in old, familiar ways.
제가 감히 말을 하자면 여성의 관심사로서의 패션은 요리나 바느질과 같은 운명에 놓여있고 “패션 잡지”들 또한 이를 알아차리고 있습니다. Teen Vogue에서 흔히 말하는 “wokeness (깨어있음)”을 편집자의 시각으로 심도있게 한 번만 봐도 이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많은 사람에게 좋은 소식이라 하더라도 결국에는 좋은 소식이 아닙니다. 사람들은 아직 패션 잡지가 옛날의 익숙한 방법으로 출판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I therefore submit to you that fashion as a concept with which to focus the interests and social actions of young women is no longer really relevant, especially in a time when the majority of young women at or below college age wear makeup occasionally at best, consider heels a literal drag, and would possibly even take great offense at even being characterized as a socially meaningful category in terms of sexual preferences and proclivities, gender identifications within the category of women, let alone being argued as sharing a certain kind of temperament. but if a putative interest in fashion has gone the way of the dodo, cooking, and sewing, then what is there? Cuz really — in the real world, women and girls are raised and socialized in a certain way, and kiiiinda sit on the same side of the fence in terms of interests and activities. But the most common or even unifying factor certainly isn’t a supposed interest in fashion. So what else do we got?
그리하여 저는 독자들에게 패션이 더 이상 어린 여성의 관심사와 행동을 중심으로 하는 컨셉이 아니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더군다가 요즘 대학생이나 그보다 어린 여성은 기껏 해봤자 가끔만 화장을 하며, 힐을 신는 것을 버거워하고, 성적 취향이나 성향, 여성으로서의 특정 역할, 심지어 어떠한 성격의 사람으로 분류되는 것에 상당한 불쾌감을 느끼는 지금과 같은 시대에는 더더욱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패션에 관심있는 것이 요리와 바느질과 같이 옛날 이야기가 되었으면 그자리에는 뭐가 남아있나요? 왜냐하면 사실 현실에서는 여성과 소녀들은 비슷한 방법으로 양육되었고 사회생활을 하였으며 쪼오오끔은 관심사와 활동면에서 비슷한 성향을 띄고 있습니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가장 흔하고 어쩌면 한결 같은 요소가 소위 패션에 대한 관심은 아닙니다. 그럼 뭐가 남았을까요?
HERE COMES THE GENDER PERFORMANCE
But...but…we’re told, being a Girl is supposed to be fun! It can be fabulous, and in that regard liberating. but to do/be those things that good Girls are supposed to do, ‘you betta work!” It’s hard work being a good Girl, as most women who were once girls and most drag queens know and will tell you.
빛을 발하는 성의 역할
그래도…그래도…저희는 여자인 것은 재미있다고 늘 들어왔잖아요! 굉장하고 우아하고 자유롭다고 하잖아요. 그러나 이러한 “good Girl(좋은 여자)”의 말과 행동을 실천하려면 그에 맞게 일을 해야죠. 대부분의 여성과 상당수의 drag queen은 “좋은 여자”가 되려면 노력해야 된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를 여러분께 알려줄 것입니다.
And, to get us to the point we really need to get to in this essay, no where on earth is it harder to be a girl than in SOUTH KOREA. The Girl game here is on point and en pointe on a level that can be bone grinding, soul crushingly intense.
이제 이 에세이의 요점에 대해서 말을 하자면 이 세상 그 어디보다 대.한.민.국.에서 여자로 산다는 것만큼 어려운 일은 없을 것입니다. 여기의 Girl game (여성의 기술/세계)은 정말 완벽하고 특정하여 어쩌면 뼛속 깊이까지 이 기운이 느껴지실 것입니다.
From the pictures required on resumes to the plastic surgery and obesity ads that tell women here that to weigh over 120 lbs is a cardinal sin to just out-and-out “fat shaming”, being aa Korean Girl means a non-stop barrage of social pressure.
이력서에 사진을 반드시 기재하는 것부터 50kg넘는 것이 큰 죄인양 설교하는 성형과 다이어트 광고, 대놓고 뚱뚱하다고 놀리는 문화까지 한국 여성으로 살아가는 것은 사회적 압박의 연속입니다.
The idea we have here is that we can talk at, around, and about things that real girls might be interested in talking about — which likely would, in the Korean case, include fashion, food, and other items of consumption — but it could attack the problem from a more conscious and self-aware — “woke” — angle without falling into the age-old trap of being preachy or pedantic about it. So it occurred to me, as a longtime observer and (re)producer of cultural texts about Girls as an fashion photographer and active participant in the fashion field here, that it might be helpful to (re)produce cultural texts and information about Korean Girls in a more engaging and socially constructive format.
저희의 아이디어는 진실된 여자들이 여기서 무엇에 대고, 무엇을 중심으로,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게 하는것입니다. 한국의 경우에는 아마 이 “무엇”이 패션, 음식과 다른 소비품일 것이며 이로써 설교적이나 쪼잔하기보다는 더 의식적과 자각적인 (더 “깨어있는”) 관점에서 문제를 다룰 것입니다. 그리하여 패션 사진 작가, 한국 패션계의 적극적인 활동인, 여성에 관한 오랜기간 관찰자이자 문화적 글 제작자로서 한국 여성에 관한 글과 정보를 조금 더 접근하기 쉽고 건설적인 비판 형식으로 여기에 기재하는 것이 도움이 될까하고 올립니다.
How about — instead of fashion or other modes of consumption that aren’t really orientations or barely even interests but are actually mere activities that result from gendered ways of participating in the consumer culture — we just cut right to the chase and look at what Judith Butler calls the performance of gender — or Girlness — itself? Butler tells us what makes a guy a Guy or a girl a Girl isn’t mere existence in some inherent state of Guyness or Girlness, but rather the moment-to-moment acting out of being a Guy or a Girl. Each act of gender performance keeps you in character, keeps you comfortable — could even be the source of your genderfun. From cute skirts and blouses, to high heels and fancy hose, and even to the way you giggle when you talk or sit at your desk, the existential state of being a Girl lies in the performance of Girlness.
저희 패션이나 다른 소비 방식(성 역할에 맞은 소비 문화 참여 결과물에 불과한 활동)에 집중하지 말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서 Judith Butler이 말하는 성의 역할 — Girlness(여성성) — 에 대해 한 번 볼까요? 버틀러가 말하기를 남자를 남자로 여자를 여자로 만드는 것은 본체 존재하는 “남성성”이나 “여성성”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대처하는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합니다. 각 상황의 대처 방법이 그 사람의 성격을 결정 짓고 그 사람을 편하게 합니다. 어쩌면 성 역할에 재미를 불어넣는 근원이 될수도 있습니다. 귀여운 치마와 블라우스부터 하이힐과 우아한 스타킹까지, 말하면서 어떻게 웃는지와 책상에 어떻게 앉는지까지도 “여자”됨은 여성성을 어떻게 실행하는지에 달려있습니다.
DOWN TO BRASS TACKS
The idea we have in our group is to take a media-rich (high and low fashion, documentary, and street photography, videography, enabled through existing — free! — social media and not custom-built — expensive — one-way media such as static sites, magazines, or broadcast media), results-oriented approach to producing content about and around Girls. So why not make content directly about the ongoing construction of the Girl through gender performance? That’s far more focused a subject than mere “fashion” yet it definitely includes dresses, hair, makeup, and heels. It also includes the trendy new food and interior design trends that drive so much socialization in places like Seoul — which is mostly led by women here— as well as many more things that might fall into the realm of the traditional fashion magazine. Our focus, while admittedly more heady, is actually far more specific and interesting. And it can allow for the socially useful linking up to bigger issues in society such as meaningful feminism, identity exploration, and even social justice. In the end, we think this is clearer, more meaningful, and more relevant than a subject as diffuse as “fashion.”
저희는 미디어(하이/로우 패션, 다큐멘터리, 거리 사진술, 비싸게 주문 제작을 하여 만들어진 웹사이트, 잡지나 방송통신망보다는 SNS을 통해 무료로 생긴 비디오그래피)와 결과 위주의 접근 방식으로 여자에 관한, 또한 여자를 둘러싼 콘텐츠를 배출할 것입니다. 그럼 왜 직접적으로 성 역할에 따른 여성성 설립에 관한 콘텐츠를 만들지 않냐고요? 이는 “패션”보다야 더 구체적인 주제이지만 드레스, 헤어, 메이크업과 힐도 당연히 들어갑니다. 주로 여성들이 이끄는 사교 생활의 중심지인 서울 같은 곳에서 유행하는 새로운 음식과 인테리어 디자인도 이에 포함됩니다. 그 외 전통적인 패션 잡지에 수록될만한 수많은 물건들 또한 포함이 됩니다. 저희의 초점은 조금 자극적이지만 (저희도 인정하는 바입니다) 사실 훨씬 더 구체적이고 흥미롭습니다. 페미니즘, 자아 탐색과 심지어 사회 정의와 같은 의미 있고 유용한 사회적 이슈들을 이어줄 수 있습니다. 결국 이가 “패션”과 같은 산만한 주제보다는 훨씬 더 분명하고 의미있고 적절하다고 봅니다.
BUT WE STILL DO FASHION
But don’t get us wrong — we still do fashion. It’s just not the only thing we do.
그래도 패션은 계속 합니다
그래도 오해는 하지마세요 — 저희 계속 패션도 할 것입니다. 그저 그것만 할 것은 아니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