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utilize DeFi Stablecoin [EN/KR]

Gongpil Choi
Tokamak Network
Published in
24 min readMar 30, 2022

Introduction

Onther has appointed Dr. Gong Pil Choi, the Head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Blockchain Advisory Group, as the Head of the Digital Finance Research Institute in August 2021 to continue researching DeFi and stablecoins based on real, legacy, and digital assets. While the first Medium blog post contains the motive and reason why Onther began researching stablecoins, the second blog post provides information on how to utilize stablecoins.

Summary: DeFi Stablecoin Utilization and Strengths

1) Role as a key currency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DeFi ecosystem (additional revenue, risk variance, cost reduction, and stable growth tools through increased capital efficiency including staking)

2) Strengthened crypto ecosystem incentives through linked operations with GSC (Global Stable Coin)
(If GSC is a link between legacy and crypto, substantial incentives should be provided for the participation and operation of its own protocol coins within DeFi.)

3) Transaction-wise, it is more efficient to participate in the DeFi ecosystem by converting to stablecoins than converting to its own protocol transactions. (Preemptive management of cost factors accompanied by excessive volatility: market participation without considering its soundness has a side effect that distorts the DeFi ecosystem into a market of excessive short-term returns).

4) After comparing the operational benefits of the market-oriented approach with the additional protocol-based reward program, the approach that uses the market mechanism through the use of DeFi stablecoins is superior to the approach that frequently adjusts volatile coin incentives.

5)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stablecoins are crucial in order to secure a superior position in the market through linked operations in the derivatives or insurance market (effect of promoting various uses of digital assets).

6) Overall, in terms of the role of gaining trust in a new sector lacking trust, the combined operation of GSC and its own protocol coins is the realistic choice and has the advantage of not conflicting with the regulatory environment (new monetary function in line with CBDC along with the future global environment)

7) The role of digital currency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of new digital assets such as STO and NFT

Protecting return on investment and alternative asset allocation

imgsource: https://learn2.trade

Existing stablecoins were created in an attempt to solve the chronic excessive volatility problem in the crypto sector, so most of them were initially used for parking, an efficient alternative to protecting their return on investment and allocating assets.

Since then, it has been recognized as a regulatory arbitrage opportunity between legacy and crypto sectors, and with the advent of Compound and Uniswap, its use within DeFi has expanded rapidly and has recently begun to exceed DeFi 2.0. Related regulations are on the rise worldwide, as it starts to be recognized as an object of concern regarding national tax and money laundering.

Recently, mainly in the United States, it appears that the regulatory requirements for stablecoin issuers are further strengthened to limit their collateral backup to those that belong to the central bank and depository institutions.

The issue of creating liquidity pools

imgsource: Binance Academy

Simultaneous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eFi sector, securing liquidity has begun to emerge as an important issue as the proportion of DEX-based transactions has increased, and the creation of a liquidity pool for various trading pairs has developed into a focus of interest.

While transactions between different stablecoins are essential, they have little incentive to trade while being inefficient and incurring a significant cost compared to stablecoin and protocol coin transactions. This is the main task that the DeFi sector needs to overcome. (CMM issue in DEX)

The issue of supplying stable liquidity, which was an issue for a centralized financial system, has emerged as a serious obstacle to the expansion of the DeFi ecosystem. In reaction, various efforts to overcome it have begun to take shape. Currently, derivative transactions such as optional margins to proactively manage volatility in addition to bypassing approaches through wrapping and swapping are also carried out in various forms.

On the other hand, to address this issue, Olympus DAO’s DeFi 2.0 with Protocol Owned Liquidity (POL) and Bonding proposals have solved many of the slippage issues by managing liquidity themselves.

However, this attempt isn’t addressing the problem directly and has limitations as it has system-level issues with continuous reward enhancement and liquidity concentration. In addition, the liquidity pool expansion through bonding inevitably poses a significant risk to token prices.

In particular, for stable management of coin prices, it is essential to secure minimum level of liquidity for DeFi transactions in which reward programs do not need constant upgrades to generate higher returns for investors. These enhancements were often considered a separate effort from the success of the underlying project, and can possibly lead to vicious cycle where extra liquidity generated can potentially depress coin prices going forward. In other words, the burden of providing extra incentives for concentrated liquidity providers may interfere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decentralization and conflict of interests among other project participants.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liquidity management in the DeFi sector has emerged, and various incentive mechanisms are being introduced. These efforts, however, showed the opposite effects on coin prices and mid-to-long-term operations of the projects. Thus, projects have begun to seek more fundamental solutions at the ecosystem level.

Maximize network effectiveness by providing balanced incentives

imgsource: INVAO

Under these circumstances, DeFi stablecoins aim to maximize the network’s effectiveness through its own market operations by providing the appropriate and balanced incentives needed for the newly formed decentralized ecosystem.

The so-called TVL-based excessive competition for securing liquidity creates a vicious cycle when internal and external shocks arise. As this poses a risk of this issue spreading to the overall system, it is required to have a certain level of volatility management to induce a positive flywheel effect.

Unlike GSC, DeFi stablecoin is not directly involved in payment settlement under the existing legacy system. It is free from regulatory interference and does not conflict with the introduction of legacy system’s CBDC, but rather plays a complementary role with existing participants in the development of the new ecosystem.

DeFi stablecoins provide practical help to stabilize initial market conditions via providing connections with the legacy systems while allowing protocol tokens play active role in expanding the DeFi ecosystem with various interactions among individual projects. It helps many stakeholders in the system to save on resources to secure tradable conditions by mitigating on individual reward programs for sustainable liquidity.

As such, DeFi stablecoins provide market-friendly incentives to induce mutual advancement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its ecosystem through a link of trust essential for collaboration between legacy and crypto sectors, enabling the integrated use of coins generated by each project.

Not only does the use of DeFi stablecoins resolve the issue of concentrated incentives in the beginning due to the cost of issuing and managing coins for each project, but it also creates significant effects, including a stable supply of DEX-related liquidity, overcoming vulnerabilities to internal and external shocks, and developing derivative markets.

As a result, DeFi stablecoins, as a new axis of the currently trust-lacking ecosystem, are considered essential to maximize the connection between legacy and crypto and their own ecosystem synergy network.

Conclusion

Looking forward to operation of the DeFi stablecoin-based reward programs

As APY-based rewards get emphasized, developments that can stray away from the mid-to-long-term ecosystem balance can increase the risk of an overall pool of liquidity.

In particular, in the early stages of the ecosystem,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ource of rewards regardless of the lack of liquidity in the legacy system, as they mainly come from loans and staking.

Various market transactions using DeFi stablecoins reduce the restrictions on receiving collateral, thereby promoting smoother market transactions and reducing the burden of additional rewards related to securing liquidity.

In conclusion, DeFi stablecoins will provide a foundation of trust in its own market, essential for expanding the ecosystem by supplementing the current incentive system.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assets such as STO and NFT, the function of digital currency, essential for smooth market transactions, is expected to develop around the biaxial axis of CBDC and stablecoins.

Tokamak Network’s stablecoin can be viewed as comprehensive and strategic preparations for these future changes.

들어가며

온더는 2021년 8월 최공필 금융감독원 블록체인 자문단장(금융연구원 미래금융연구센터장)을 디지털금융연구소장으로 선임하여 실물, 레거시 및 디지털 자산 기반의 DeFi 및 Stablecoin 연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1번째 Medium 포스팅에서는 온더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연구하게 된 계기를 담고 있다면, 금번 2번째 포스팅에서는 스테이블 코인의 활용방안에 대한 내용을 제시합니다.

요약: DeFi 스테이블 코인의 활용방안 및 강점

1) DeFi생태계의 균형적 발전에 필요한 기축통화로서의 역할 (스테이킹 포함 자본효율성 제고를 통한 추가수익, 위험분산, 비용절감, 안정적 성장의 도구)

2) GSC(Global Stable Coin)과의 연계운영으로 강화되는 크립토 생태계의 인센티브 (GSC가 레거시와 크립토의 연결고리라고 한다면 정작 DeFi 내에서의 자체 프로토콜 코인의 참여와 작동에 실질적인 인센티브가 제공되어야 함)

3) DeFi 영역의 거래에 있어 자체 코인의 직접적 참여를 위한 노력보다는 스테이블 코인으로의 변환을 통해 참여하는 것이 효율적임 (과도한 변동성에 수반되는 비용요인을 사전에 관리하는 효과: 이러한 건전성 고려없는 시장 참여는 생태계를 과도한 단기수익 추구의 장으로 왜곡시키는 부작용 내포)

4) 시장 중심의 접근과 기존 프로토콜 기반의 추가 리워드 프로그램의 운영상 이점을 비교한 결과 수시로 인센티브를 조정해야 하는 방식보다는 DeFi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을 통해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하면서 접근하는 방식이 우월함

5) 특히 파생이나 보험시장과의 연계운영을 통해 시장에서의 우월적 지위를 확보하려면 스테이블코인의 개발과 활용은 결정적으로 중요함 (디지털 자산의 다양한 활용을 촉진하는 효과)

6) 전반적으로 새로운 영역에서 결여된 신뢰기반을 축적하는 역할 면에서 GSC와 자체 코인의 결합운영은 현실적인 선택으로 규제환경과도 대립되지 않는 이점이 존재함 (CBDC와 더불어 미래 글로벌 환경에 부합하는 새로운 화폐적 기능)

7) STO, NFT등 새로운 디지털 자산의 거래를 원활하게 진행시키기 위한 디지털 화폐의 역할 수행

투자수익 보호, 자산 배분 대안

imgsource: https://learn2.trade

기존의 스테이블코인은 크립토 영역에서의 고질적인 과도한 변동성 문제 해결을 위해 시도되었으므로 초기에는 투자수익을 보호하고 자산을 배분하는 효율적 대안으로서의 위험 회피적 용처(parking)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이후 레거시와 크립토 영역 간의 규제차익 기회로 인식되고 Compound, Uniswap등의 출현으로 DeFi 내에서의 용처가 급속히 확대되어 최근에는 DeFi 2.0을 넘어서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바야흐로 국가적 세원 관리상의 문제 및 자금세탁 관련 우려의 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세계적으로 관련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최근에 미국을 중심으로 은행이나 중앙은행의 담보자산과 이를 취급할 수 있는 대상으로 취급자를 국한하려는 등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관리 주체가 강화되는 모습입니다.

유동성 풀의 조성 이슈 대두

imgsource: Binance Academy

동시에 DeFi영역이 발전하면서 DEX 기반 거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유동성 확보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기 시작했고 이를 위해 다양한 거래 쌍(trading pair)에 대한 유동성 풀의 조성이 초미의 관심사로 발전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간의 거래는 거래 유인이 크지 않은 데 비해 정작 필요한 거래인 스테이블코인과 프로토콜 코인과의 페어링에 있어 비효율적이고 상당한 비용이 수반된다는 점을 극복하는 것이 DeFi 영역의 지상과제입니다. (DEX에서의 CMM 문제)

중앙화된 금융체제에서 걱정하지 않던 안정적 유동성 공급 문제는 DeFi 생태계의 확장에 심각한 걸림돌로 부각되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구체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는 wrapping, swapping 등을 통해 우회적 접근 방법 외에도 자체 변동성을 사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옵션 마진 등의 파생거래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POL(Protocol Owned Liquidity)과 본딩의 제안을 장착한 올림푸스다오의 DeFi 2.0에서는 유동성을 직접 관리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상당 부분 slippage 문제를 해결해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우회적인 방법으로서 지속적인 리워드 강화와 유동성의 집중이라는 시스템 차원의 문제와 본딩에 의한 유동성 풀의 확장이 토큰 가격에 대한 상당한 위험요소를 내포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코인 가격의 안정적 관리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거래환경의 유지에 필수적인 유동성 확보를 위해 리워드 프로그램의 지속적 강화가 필요한 점은 그 근거가 되는 프로젝트의 성공이나 담보체계의 강화와는 별개의 노력으로 간주됐습니다. 즉, 유동성 공급자들에 집중되는 인센티브 제공 부담으로 인해 탈중앙화의 기본 원칙 및 다른 프로젝트 참여자들과의 이해 상충 문제가 부각될 소지가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DeFi 영역에서 유동성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를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 메커니즘이 도입되고 있지만 결국 코인 가격과 중장기적 프로젝트 수행에 상반된 영향을 행사하면서 생태계 차원의 보다 근본적 해법을 모색하기 시작했습니다.

균형 잡힌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네트워크 효과 극대화

imgsource: INVAO

이러한 배경 하에서 DeFi 스테이블코인은 새롭게 형성되는 탈중앙화 생태계에 필요한 적절한 균형 잡힌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자체적인 시장 작동을 통한 네트워크 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소위 TVL기준의 유동성 확보를 위한 과도한 경쟁은 대내외 충격 시 악순환의 고리를 작동 시키고 시스템 전반의 위험으로 파급될 위험이 내포되므로 일정 수준의 변동성 관리를 의무화하여 DeFi생태계의 선순환(positive flywheel effect)을 유도합니다.

DeFi 스테이블코인은 GSC와 달리 기존 레거시 체제 하의 지불결제 영역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이 아니므로 레거시 체제의 CBDC 도입과 상충관계를 보이지 않으며 오히려 새롭게 확장되는 생태계의 발전에 있어 기존 참여자들과의 상호 보완적인 역할 수행이 가능하여 규제 및 간섭에서 자유로운 이점이 존재합니다.

DeFi 스테이블코인은 수많은 개별 프로젝트를 포용적 관점에서 자체 프로토콜 토큰이 기축통화 역할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동시에 레거시 체제와의 연결고리를 통해 초기의 여건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실질적 도움을 제공합니다.

DeFi 스테이블코인은 레거시와 크립토 영역의 협업에 필수적인 신뢰의 연결고리 역할을 통해 자체 생태계의 발전에 필요한 상호진출 유인부합적 인센티브를 시장 친화적 방식으로 제공하므로 개별 프로젝트마다 생성되는 코인의 통합적 활용을 가능케 합니다.

DeFi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은 프로젝트별로 코인을 발행하고 관리하는 비용과 초기에 편중된 인센티브의 부작용 해결은 물론 DEX 관련 유동성의 안정적 공급, 대내외 충격에 대한 취약성 극복 및 크립토 시장을 포함한 파생시장의 발전 등 상당한 효과를 유발합니다.

결과적으로 DeFi스테이블코인은 현 생태계에서 결여된 새로운 신뢰의 축이며 이를 통해 레거시와 크립토의 연결 및 자체 생태계 시너지 네트워크 효과를 극대화하는 필수 아이템으로 간주됩니다.

맺으며

DeFi 스테이블 코인 기반 리워드 프로그램 운영을 기대하며…

APY기반 리워드가 강조될수록 중장기 차원의 생태계적 균형에서 멀어질 수 있는 상황 전개는 유동성 전체 풀의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소지가 있습니다.

특히 초기 생태계에는 리워드의 원천이 주로 대출과 스테이킹에서 나오는 만큼 레거시 체제의 유동성 부족 상황과 무관하게 유지되기 어렵습니다.

DeFi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다양한 시장거래는 담보수취 상의 제약을 줄여주므로 보다 원활한 시장거래를 촉진하고 유동성 확보 관련 추가 리워드 부담도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DeFi 스테이블코인은 현재 적용되고 있는 인센티브 체계의 보완을 통해 생태계 확장에 필수적인 자체적 시장 신뢰기반을 제공하게 됩니다.

향후 STO, NFT등 디지털 자산의 발전과 더불어 시장거래를 원활히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디지털 화폐의 기능은 CBDC와 스테이블코인의 양축을 중심으로 발전할 전망입니다.

토카막네트워크의 스테이블코인은 이러한 미래변화에 대비하는 차원의 포괄적이면서 전략적인 준비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