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태
Tokenists
Published in
10 min readAug 26, 2018

--

Tokenize_1_암호화폐의 지속성은 어디서 나오는가?

-Schelling point(셸링 포인트)

원글 — http://wisdomofcrowds.blogspot.com/2010/02/chapter-five-part-iii.html

서론

암호화폐 네트워크가 자율적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더 많은 참여자를 끌어들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행동’하게 하는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 지속적인 동기 부여가 되지 않는 다면, 네트워크는 무너지게 된다.

글 셸링포인트에서 과학자 토마스 셸링은 ‘적당한 인센티브’와 함께 ‘좋은 질문’을 이용하여 대다수의 참여자에게서 동일한 (혹은 선한) 반응을 유도한다.

암호화폐의 가장 큰 장점은 ‘코딩 가능한 경제적 인센티브 구조’이다. 설계 단계에서 적합한 미션과 질문을 통해 참여자들의 행위를 기여(contribute)화 시킬 수 있고 그것이 모여 생기는 가치를 인센티브화하여 분배해줌으로서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면 그것이 성공한 블록체인이 된다.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설계하려면 대다수의 사람들이 선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사람들의 심리와 행동 반향을 예지하고 적합한 미션과 질문, 그리고 인센티브를 내걸어야한다. ‘셸링 포인트’는 그것의 본질을 아주 잘 정리한 실험이기에 토큰 이코노미의 근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의 개인적인 생각]

원문

번역본

셸링 포인트-번역

In 1958, the social scientist Thomas C. Schelling ran an experiment with a group of law students from New Haven, Connecticut. He asked the students to imagine this scenario: You have to meet someone in New York City. You don’t know where you’re supposed to meet, and there’s no way to talk to the other person ahead of time. Where would you go?

1958년, 사회 과학자 토마스 셸링은 코네티컷 주 뉴 헤이븐의 한 법학생 그룹과 한가지 실험을 했습니다. 그는 학생들에게 이러한 시나리오를 상상해 보라고했습니다 : 당신이 뉴욕시에서 누군가를 만나야 합니다. 당신은 당신이 만나기로 한 곳을 모릅니다. 그리고 미리 다른 사람과 이야기할 방법은 없습니다. 어디로 가실건가요?

This seems like an impossible question to answer well. New York is a very big city, with lots of places to meet. And yet a majority of the students chose the very same meeting place: the information booth at Grand Central Station. Then Schelling complicated the problem a bit. You know the date you’re supposed to meet the other person, he said. But you don’t know what time you’re supposed to meet. When will you show up at the information booth? Here the results were even more striking. Just about all the students said they would show up at the stroke of noon. In other words, if you dropped two law students at either end of the biggest city in the world and told them to find each other, there was a very good chance that they’d end up having lunch together.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처럼 보입니다. 뉴욕시는 아주 크고, 수많은 장소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대다수의 학생들은 Grand Central Station의 Information booth라는 동일한 장소를 선택했습니다. 셸링은 이 문제를 조금 더 복잡하게 만들었습니다. 셸링이 말하길 당신은 어느 날에 다른 사람과 만나기로 돼있는지 알지만 몇시에 만나는지는 모릅니다. Information booth에 언제 나타나실겁니까? 여기서 결과는 더욱 두드러집니다. 거의 모든 학생들이 정오에 나타날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른 말로, 세계 정 반대편에 법대생 두명을 버려놓고 서로 찾으라고 하는것은 그들이 함께 점심을 먹게 할 좋은 기회란겁니다.

Schelling replicated this outcome in a series of experiments in which an individual’s success depended on how well he coordinated his response with those of others. For instance, Schelling paired people up and asked them to name either “heads” or “tails,” with the goal being to match what their partners said. Thirty-six of forty-two people named “heads.” He set up a box of sixteen squares, and asked people to check one box (you got paid if everyone in the group checked the same box). Sixty percent checked the top left box. Even when the choices were seemingly infinite, people did a pretty good job of coordinating themselves. For instance, when asked the question: “Name a positive number,” 40 percent of the students chose “one.”

셸링은 각각의 성공이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동일하게 하느냐에 따라 달려있다는 일련의 실험들에서 결과를 재현했습니다. 예로 들면, 셸링이 사람들을 짝 짖고 ‘머리’ 혹은 ‘꼬리’라고 이름을 정하고, 파트너와 동일하게 말하는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42명중 36명의 사람들은 ‘머리’라고 명명되었고 16칸의 상자를 놓은 뒤 한칸을 고르라고 했습니다. (만약 모든 사람이 동일한 칸을 선택하면 돈을 받습니다.) 60퍼센트가 왼쪽 위의 박스를 확인했고. 겉으로 보기엔 선택이 무한했음에도 사람들은 자신들을 일치 시키는것에 능숙했습니다. 예를들어 “양수 하나를 고르세요”라는 질문에는 40%의 사람들이 “1”을 골랐습니다. [아마 꼬리에게 시켰다면 9를 고르는 사람들이 많을것이다. 왜냐하면 내가 꼬리였다면 그럴것이기 때문이다.]

How were the students able to do this? Schelling suggested that in many situations, there were salient landmarks or “focal points” upon which people’s expectations would converge. (Today these are known as “Schelling points.”) Schelling points are important for a couple of reasons. First, they show that people can find their way to collectively beneficial results not only without centralized direction but also without even talking to each other. As. Schelling wrote, “People can often concert their intentions and expectations with others if each knows that the other is trying to do the same.” This is a good thing because conversation isn’t always possible, and with large groups of people in particular it can be difficult or inefficient. (Howard Rheingold’s book Smart Mobs, though, makes a convincing case that new mobile technologies — from cell phones to mobile computing — make it much easier for large collections of peop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so coordinate their activities.) Second, the existence of Schelling points suggests that people’s experiences of the world are often surprisingly similar, which makes successful coordination easier-After all, it would not be possible for two people to meet at Grand Central Station unless Grand Central represented roughly the same thing to both of them. The same is obviously true of the choice between “heads” and “tails.” The reality Schelling’s students shared was, of course, cultural. If you put pairs of people from Manchuria down in the middle of New York City and told them to meet each other, it’s unlikely any of them would manage to meet. But the fact that the shared reality is cultural makes it no less real.

학생들이 어떻게 이럴 수 있었을까요? 셸링은 많은 경우에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는곳이 암묵적인 랜드 마크 혹은 초점이 된다고 제안했습니다. (오늘날 이것은 “셸링 포인트”로 알려져있습니다) 셸링 포인트는 몇가지 이유로 중요합니다. 첫번째로, 사람들이 중앙화된 방향 심지어 서로간의 대화도 없이 이익이 될 결과를 만드는 방법을 안다는것을 보여줍니다. 동일하게, 셸링은 “사람들은 종종 그들의 생각을 일치시킬 수 있고 다른 사람이 동일한 행동을 하려고 한다는것을 서로 안다면 서로 예상할 수 있다”고 적었습니다. 대화는 항상 가능한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것은 아주 좋은 일입니다. 독특하고 거대한 그룹에서는 이것이 어렵거나 비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Howard Rheingold의 책 Smart Mobs는 휴대폰에서 모바일 컴퓨팅에 이르는 새로운 모바일 기술들이 많은 사람들이 서로 소통하고 활동을 일치시키는것을 훨씬 더 쉽게 만들고 있다고 합니다) 두번째로, 셸링 포인트의 존재는 전세계 수많은 사람들의 경험이 놀랍도록 비슷하여 서로를 일치시키는게 쉽다는것을 암시합니다. Grand Central이 그들에게 대략 동일한것을 제시하지 않으면 두 사람은 Grand Central Station에서 만날 수 없었을것입니다. “머리”와 “꼬리” 사이의 선택에서도 이것은 명백한 사실임은 동일합니다. [역자: ‘머리’라는 단어가 제공하는 느낌이나 경험이 동일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보통 ‘머리’하면 앞 혹은 위, 왼쪽등이 떠오른다. 물론 이는 문화적의 공유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셸링의 학생들이 공유했던 현실은 당연히 문화적인것이었습니다. 만약 당신이 Manchuria에서 온 두 사람을 뉴욕시 한가운데에 내려놓고 서로 만나라고 했다면, 만날 수 있지 않을겁니다. 하지만 공유된 현실이 문화적이라는게 허황된 소리는 아니란거죠.

--

--

김선태
Tokenists

삶을 즐기는 사람들과 대화하는게 즐거운 사람입니다. 과거엔 화이트 해커 지금은 글 쓰고 기획 하는 개발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