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널리틱스 용어 - 사용자/세션/히트

WONBOK LEE
W.B's Log
Published in
3 min readAug 16, 2018

--

구글애널리틱스(GA)는 내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분석하는 도구로 구글에서 무료로 제공해 준다. Growth Hacker, Performance Marketer 공고를 보더라도 GA 활용능력을 많은 회사들이 요구한다.

프로그래밍 부트캠프에서 Simply Analytics라는 마케팅 분석도구를 만들어 보면서 이 구글이 얼마나 대단한 기능들을 제공하는지 새삼 깨달을 수 있었다.

Simply Analytics project

2주라는 시간적 제약도 있었지만, 그게 아니더라도 웹 통신에대한 완벽한 이해가 있어야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동경로 referel을 실제 도메인이 없기 때문에 임의로 했고, 페이지 체류시간의 경우도 포기했던 아쉬움이 남는다. 호기롭게 GA를 모방해 보려고했지만 ‘GA를 정말 잘 사용해 보자’ 라는 노선으로 변경했다.

온라인 마케팅 대행사에서 일하면서 약 3개월간 GA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데, 매일같이 구글 고객센터 직원들을 괴롭혔던 기억이난다. 기여모델에서 마지막 간접클릭이 뭔지, 세션이 뭔지, 언제 정확한 보고가 완료되는지, 애드워즈와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등.. 문서화가 잘 되어있지만 이해하기 쉽지 않은것들이 많았다.

서론이 길었네, GA를 사용해 보면서 어려웠던 또는 기본적인 개념을 정리하려고 이번 포스팅을 시작한다

  • 사용자 : 사람(쿠키)의 개념
  • 히트: 활동의 개념

이원복이라는 사용자가 8/16일 쇼핑몰에 접속을 해서 > 상의섹션 > 하의섹션을 방문했다. 그리고 8/17일 다시 방문해 > 상의섹션 > 상의를 구매했다. 이 경우 사용자, 세션, 히트는 다음과 같다.

브라우저마다, 또는 핸드폰의 앱마다 쿠키가 달라 모두 다른 사용자로 인식되는 맹점이 있다. 하지만 모바일의 앱 분석시에는 스마트폰 기기마다 고유 ID가 있기 때문에 비교적 정확하다.

  • 세션: 방문의 개념
    히트가 기록되는 시간을 토대로 계산: 총 세션시간을 구할 때 웹에서 나오는 시간은 알 수 없다. 따라서 평균세션시간은 마지막 히트 이후에 활동시간은 빠진 시간. 히트가 발생할때마다 30분 연장, 마지막 히트 후 30분이 지나면 해당 세션은 종료된다.
    ex) 11:30 페이지뷰 -> 11:40분 페이지뷰 -> 12:00~13:00 식사 -> 13:10분 페이지뷰일 경우 페이지는 닫지 않았지만 마지막 히트 기록 11:40분 후 30분 넘게 아무런 히트가 없었기 때문에 13:10은 새로운 세션의 히트가 된다.
    Total 사용자 1 / 세션 2
    *
    구글애널리틱스 세션설명

30분은 임의적, 통상 30분하는데 기본 셋을 더 길게 할 수도있음 ex)왓챠, 네플릭스 같은 경우는 그렇게 해야됨

  • 이탈: 첫 페이지뷰 후 아무런 히트 없이 세션(30분)이 넘어 종료된 경우
    해당 랜딩페이지가 얼마나 매력적인지 판단 할 수 있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