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및 주석

LAB2050 보고서 2050–05

LAB2050
LAB2050
16 min readFeb 28, 2020

--

LAB2050 ‘정책실험의 개념과 필요성: 청년 기본소득 지급 실험 모델 제안’ 보고서의 온라인 버전의 참고문헌, 주석 등을 정리한 포스트입니다. 보고서 전체 내용은 보고서 소개 및 목차 포스트 또는 PDF 버전(다운로드)을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주석

[2] 조선비즈(2019.10.14)
[3] 정책실험 방법의 분류에 대해서는 <박윤수 외 (2018)> 및 <박노욱 외 (2015)>을 참고했다.
[4] 특정 지역의 정책 대상자 모두에게 정책을 집행했을 때 (표본 추출 등을 통해)정책 대상자 중 일부에게만 정책을 집행했을 때는 관찰되지 않았던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소득을 지급받는 청년 A는 다른 지역의 청년 B가 기본소득을 지급받고 있을 때와, 인근에 거주하는 지인 청년 C가 기본소득을 지급받을 때 다른 행동 양상을 보일 것이다. 또한 청년 A와 청년 C가 공동의 활동(창업, 여가 등)을 수행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이러한 효과를 공동체 효과라고 한다.
[5] 이외에 정책실험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분야는 교육, 문화, 체육, 재정, 해외 원조 사업 등이며 건설 등 사회간접자본(SOC), 국방, 안전, 재해, 연구개발(R&D) 분야는 정책실험 적용이 어려운 분야로 꼽힌다(박노욱 외, 2015).
[6] 신현호(2019)
[7] 영국의 정책실험 도입 배경 및 현황, 사례 등은 <최현수 외(2018)>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한 것이다.
[8] 증거 기반 정책은 보건·의료 분야의 증거기반의료를 정책분야에 응용한 것으로 정책(예산)의 수립・집행 등을 그 정책의 효과를 추정할 수 있는 근거(evidence)에 기반하는 정책 결정 방법이다. 이념적 관점이나 편견, 증거의 선택적 사용, 검증되지 않은 견해 등에 의존하는 ‘의견 기반 정책’(Opnion-based Policy)과는 상반된 개념이다(이석민, 2012).
[9] The behavioural insights team(2014.12.14)
[10] The behavioural insights team(2014.12.22)
[11] 미국의 정책실험 도입 배경 및 현황, 사례 등은 <최현수 외(2018)>와 <박노욱 외(2015)의 내용을 종합해 정리한 것이다.
[12] 부시 정부가 추진한 사업평가측정기법(Program Assessment Rating Tool, PART)이 평가자의 주관적 인지가 반영되기 때문에 정확한 정책 효과 평가에 한계가 있다는 비판을 받자 오바마 정부가 이를 폐지하고 제시한 새로운 성과 관리 정책이다(박노욱 외, 2015).
[13] 효과 평가 대상 정책이 무작위로 특정 지역 또는 계층만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등의 경우가 발생했을 때 진실험 설계와 같은 분석틀을 적용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고 두 집단의 사전·사후 비교를 통해 정책 효과를 측정하는 방식이다(윤미례 외, 2017).
[14] 사회행동연구팀 홈페이지(sbst.gov/)
[15] 핀란드의 정책실험 도입 배경 및 현황, 사례 등은 <마쿠스 카네바(2018.5.15)>와 실험하는 핀란드(Experimental Finland) 홈페이지(kokeilevasuomi.fi/en)의 내용을 종합해 정리한 것이다.
[16] 2012부터 핀란드 의회에서 실험하는 문화를 확산해야 한다는 논의가 시작됐고, 2015년 독립 연구기관인 ‘데모스 헬싱키’(Demos Helsinki)에서 총리실 의뢰로 실험을 통한 정부 혁신 방안에 대한 연구 <Mikko Annala et al.(2015), ‘Design for Government: Human-centric governance through experiments’, Demos Helsinki>를 진행했다.
[17] 이 장의 내용 중 상당 부분은 <최영준(2019), ‘왜 기본소득인가?: 가부장적 사회에서 자유안정성 사회 로’, LAB2050 인사이트 2050–02>을 요약한 것이다.
[18] 멕시코 프로그레사의 배경 및 진행, 결과, 한계점 등은 <황세원 외(2019)>와 <Habiba Djebbari, 2008>의 내용을 종합해 정리했다.
[19] 통제집단에 해당하는 마을도 정책 시행이 예정돼 있었기 때문에 이 기대 효과가 정책 효과 평가에 영향을 미쳤 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Habiba Djebbari, 2008).
[20]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자녀를 둔 가구를 대상으로 했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급여액이 높아지고, 여학생인 경우 남학생 보다 지급액이 더 높았다(Habiba Djebbari, 2008).
[21] 말라위에서는 조건부 현금 지급 그룹과 조건 없는 현금 지급 그룹, 현금 지급 없는 그룹(통제집단) 세 개의 그룹을 대상으로 정책 실험이 실시됐는데, 조건부 현금 지급과 조건 없는 현금 지급 그룹 간에 정책 효과(집단 별 학교 중퇴율) 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건부 현금 급여 정책의 독립 변수가 강제성(조건부)이 아닌 경제적 지원 자체일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아비지트 배너지, 2012).
[22] 조선비즈(2019.3.14)
[23]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의 배경 및 진행, 결과, 한계점 등은 <구교준 외(2018)> 및 <황세원 외(2019)>의 내용을 종합해 정리했다.
[24] 2년의 정책 실험 기간 중 첫 1년 간의 결과에 대한 예비 보고서 <Olli Kangas et al.(2019)>에 따른 것이다. 2020년 중에 최종 보고서가 발간될 예정이다.
[25] 다만, 전반적 행복도측면을 평가한 설문조사는 정책실험 전후의 변화를 비교한 것이 아니라, 실험 종료 시점인 2018년 10월부터 12월에 진행된 설문조사만으로 분석된 것이며, 통제집단이 실험집단 보다 혼자 사는 비율이 높고, 연소득 수준도 낮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한 정책실험의 효과 비 교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26] 바르셀로나 비민컴의 배경 및 진행, 결과, 한계점 등은 <구교준 외(2018)> 및 <고동현(2018)>의 내용을 종합해 정리했다.
[27] 스페인의 사회보장 체계는 중앙 정부 차원에서 실직자 또는 복지급여 혜택이 없는 이들을 대상으로 지급되는 비기여적 실업부조와 지방정부 차원에서 최후 수단의 사회부조인 최소소득급여(Regional Renta Mínima Garantizada, RMI)가 있다. RMI는 통상 가구 당 월 426유로에서 708유로 정도로 제공되는데 구체적인 운영 방식은 지방 정부마다 다르다. 바르셀로나의 비민컴 프로젝트는 RMI를 개편하기 위한 정책실험으로 볼 수 있다(구교준 외, 2018).
[28] 2년의 정책실험 기간 중 첫 1년 간의 결과에 대한 예비보고서 <Lluís Torrens et al.(2019)>에 따른 것이다.
[29] 본 장의 주요 내용은 LAB2050과 서울연구원이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 <구교준 외(2018)> 및 LAB2050이 수행한 연구 <최영준 외(2019a)>에 기반했다. LAB2050과 서울연구원은 공동 연구에 기반해 서울시와 각 지방자치단체와 중앙 정부에 기본소득 형식의 정책실험인 ‘청년수당 2.0’을 제안(LAB2050, 2019.1.22)했으며, 이후 해당 내용은 주요 언론 매체에도 보도(KBS, 2019.2.19)된 바 있다.
[30] Goos et al.(2014)에 따르면 반복적 작업이 많은 중간소득 일자리가 사라질 가능성이 많으며, 중간층 일자리가 줄어들게 되면 노동시장이 이중적으로 구조화될 수 있다.
[31] 전 세계 60개국을 대상으로 진행된 창업 관련 비교 연구(Global Entrepreneurship Research Association, 2017)
[32] ‘전혀 동의하지 않음’(1점)~‘매우 동의함’(4점)의 리커트 척도 평균값.
[33] LAB2050의 ‘자유와 안정 서베이’에 따르면, 20대 남성 중 65%가 남성이 차별을 받고 있다고 답했으며, 여성이 차별받는다는 의견은 34%에 불과해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여성들은 90% 이상이 여성이 차별을 받고 있다고 답해, 남성이 차별을 받고 있다는 응답인 36% 보다 훨씬 높았다.
[34] 취업 여부에 대한 판정 기준은 통계청 기준(최근 1주일 동안 1시간 이상 근로)을 준용하도록 한다.
[35] 연구책임자가 연구기관 소속인 경우 해당 기관 내의 생명윤리위원회에 심의를 신청해 승인을 받아 정책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
[36] <각주 29>에서 언급한 연구 상의 정책실험 제안에서는 설문 조사를 위한 세부 지표별 항목을 구성했으나, 해당 내용은 이 연구의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해 포함하지 않았다.
[37] 다만 정책실험 효과 평가를 위한 데이터에서 주요 부분을 구성하는 행동 데이터(실험집단의 위치 정보) 수집이 어렵다면, 개인 계좌가 아닌 교통카드 기능이 탑재된 체크카드를 지급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38] 모바일 쿠폰(약 3만 원 상당) 형식이 일반적이다.
[39] 이런 현상을 소망성 편향(desirability bias)이라고 한다.
[40]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정책 및 제도를 도입하거나 변경하는 경우, 통계청이 정책의 집행·평가에 필요한 통계의 구비 및 개발 계획을 평가해 적합한 통계 지표를 정책에 활용하도록 하는 제도(통계청, 2020)

참고문헌

  • 구교준, 반가운, 정이윤, 최현수, 장한일, 최정호(2018) ‘기본소득으로서 청년수당 효과성 측정을 위한 정책실험 설계 연구’, 서울연구원·LAB2050 공동연구
  • 김문길, 김태완, 임완섭 외(2017), ‘청년빈곤의 다차원적 특성 분석과 정책대응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부열(2016), ‘국제개발협력 거대담론으로부터의 탈출: 효과성 평가 방법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국제문제연구소, 세계정치 Vol 24. 153–183., 사회평론아카데미
  • 김승연, 노승철, 이혜림(2019), ‘서울시 청년기본소득 지급 효과 검증 목표로 청년층 대상 증거기반 과학적 정책실험 설계’, 서울연구원
  • 노정호(2018) 핀란드와 네덜란드 기본소득 실험의 방법론적 의미와 한계, 그리고 시사점. 한국사회정책학회. 25. 71–96.
  • 다니엘 라벤토스(2016), ‘기본소득이란 무엇인가’, 이재명·이한주 옮김, <원제: Daniel Raventos(2007), ‘Basic Income: The Material Conditions of Freedom’>
  • 박노욱, 오영민, 강희우(2015), ‘재정사업 사전검증체계 강화를 위한 연구- RCT 도입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조세재정연구원
  • 박윤수, 강창희, 김부열, 오윤섭, 이아영(2018) ‘사회정책 효과성 평가를 위한 정책실험 도입방안 연구’, KDI, 정책연구시리즈 2018–01
  • 신현호(2019), ‘나는 감이 아니라 데이터로 말한다’, 한겨레출판
  • 아비지트 배너지,에스테르 뒤플로 (2012),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다’, 이순희 옮김, 생각연구소, <원제: Abhijit Banerjee, Esther Duflo(2011), ‘Poor Economics: A Radical Rethinking of the Way to Fight Global Poverty’>
  • 오세영, 윤건, 오균(2017), ‘증거 기반 정책을 위한 정부의 통계 구축 및 활용에 대한 현황 조사’, 한국행정연구원
  • 윤남희(2014), ‘가난한 사람들에게 돈을 제공하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하여:조건부 현금이전(CCT)’, Impact Business Review
  • 윤미례, 김태일(2017) ‘준실험설계에 의한 보육지원 정책의 고용효과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51권 제1호, 205–231.
  • 이승주(2019). ‘청년기본소득 도입의 효과 분석: 소득재분배 및 빈곤완화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25(1), pp.89~131.
  • 이석민(2012) ‘정책평가제도의 변화가 증거기반의 정책관리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문헌・내용분석 연구방법 접근’,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22권 제4호
  • 정이윤, 최현수, 반가운(2019). ‘청년 기본소득 실험 설계: 모형 및 방법론적 쟁점’. ‘정부학연구, 25(1), pp.43~88.
  • 정해일(2018), ‘외국의 증거 기반 정책 사례를 통해 본 발전방향’, 2018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문
  • 최영준(2019) ‘왜 기본소득인가?’, 인사이트2050–01, LAB2050
  • 최영준, 구교준, 정이윤, 배종훈, 이승주, 박일주, 윤성열, 최정호(2019a) ‘서울시 청년기본소득 정책실험 (안)’, LAB2050
  • 최영준, 윤성열(2019b). ‘자유안정성을 위한 기본소득 실험: 새로운 사회경제체제를 위한 도전’. ‘정부학연구’, 25(1), pp.5~41.
  • 최현수, 최혜진, 변금선(2018), ‘정책 혁신을 위한 새로운 전략: 폴리시랩과 정책 실험(미발간)’, LAB2050
  • 필리프 판 파레이스, 야니크 판데르보흐트(2018), ‘21세기 기본소득’, 홍기빈 옮김, 흐름출판, <원제: Philippe Van Parijs, Yannick Vanderborght(2017), ‘Basic Income’>
  • 통계청(2020) ‘2020년 통계기반정책평가지침’
  • 홍민기(2019), ‘2017년까지의 최상위 소득비중,’ 한국노동연구원, 월간 노동리뷰 2019년 2월호, 63–65.
  • 홍석표(2006), ‘APEC 역내 사회안전망 강화의 노점과 국가별 사례 연구보고서’, 정책보고서2006–37.
  • 황세원, 고동현, 구교준, 정해일(2019), ‘혁신 활동가 및 청년 소득 지원제도 수립 연구’, LAB2050, 경상남도
  • Bravo-Biosca, A., Criscuolo, C., & Menon, C.(2016). What drives the dynamics of business growth?. Economic Policy, 31(88), 703–742.
  • DeLong Hamilton, T., Buchan, V. V., & Hull, G. H. et al.(2011), ‘Responding to the 2008 EPAS: Baccalaureate education assessment direct and indirect measurement’, The Journal of Baccalaureate Social Work, 16, 17–31.
  • Goos, M., Manning, A., & Salomons, A.(2014), ‘Explaining job polarization: Routinebiased technological change and offshoring’, American Economic Review, 104(8), 2509–26.
  • Global Entrepreneurship Research Association(2017), ‘GEM 2016 / 2017 GLOBAL REPORT’
  • Standing, G. (2017), ‘Basic income: and how we can make it happen’, Penguin UK.
  • Habiba Djebbari, Jeffrey Smith(2008), ‘Heterogeneous impacts in PROGRESA’, Journal of Econometrics 145 (2008) 64–80.
  • Henrekson, M.(2005), ‘Entrepreneurship: a weak link in the welfare state?’,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14(3), 437–467.
  • Hollister, R.(2008), ‘The Role of Random Assignment in Social Policy Research’,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27(2). 402–409.
  • John, P.(2014). Policy entrepreneurship in UK central government: The behavioural insights team and the use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29(3), 257–267.
  • Kela(2016), ‘From idea to experiment. Report on universal basic income experiment in Finland’
  • King, Gary, Robert Keohane, & Sidney Verba.(1994), ‘Designing Social Inquiry’, Princeton, NJ: Princeton Univ. Press.
  • Lluís Torrens, Josep Villareal, Bru Laín et al.(2019), ‘Report on the preliminary results of the B-MINCOME project (2017–2018)’, Planning and Innovation Department
  • Area of Social Rights, Barcelona City Council
  • Olli Kangas, Signe Jauhiainen, Miska Simanainen, Minna Ylikännö (eds.)(2019), ‘The Basic Income Experiment 2017–2018 in Finland. Preliminary results’, Ministry of Social Affairs and Health
  • 고동현(2018), ‘바르셀로나의 시민소득 실험, B-MINCOME’, LAB2050
  • 마쿠스 카네바(2018.5.15), ‘왜 핀란드는 실험을 통해 정책을 설계하나’, LAB2050, 새로운상상 2018 발표자료
  • 한국기본소득네트워크(2019), ‘2019년 2월 8일 Kela & 보건사회부 보도자료’
  • LAB2050(2019.1.22), ‘[보도자료]LAB2050, ‘기본소득 방식의 청년수당 정책실험’ 제안’
  • The behavioural insights team(2014.12.22), ‘Results from BIT tax trial in Guatemala’
  • The behavioural insights team(2014.12.14), ‘New BIT trial results: helping people back into work’
  • 조선비즈(2016.4.25), ‘[경제학술 핫코너] 정책 효과의 증거를 찾아서(신현호)’
  • 조선비즈(2019.3.14), ‘정권을 넘어 이어지는 정책을 세우는 비결(김현철)’
  • 조선비즈(2019.10.14), ‘올해 노벨경제학상은 ‘무작위 통제 실험’ 기반 개발경제학에 돌아갔다’
  • 프레시안(2019.2.25),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 웰빙효과, 고용효과 나타났다’
  • 한겨레(2019.10.21), ‘이념에서 실험으로(김우재)’
  • KBS(2019.2.19), ‘왜 모든 청년에게 50만 원씩 지급?…실험 성공할까?’
  • 사회행동연구팀 홈페이지(sbst.gov/)
  • 실험하는 핀란드(Experimental Finland) 홈페이지(kokeilevasuomi.fi/en)
보고서 다운로드 (PDF로 보기)
Unlisted

--

--

LAB2050
LAB2050

다음세대 정책실험실 Policy Lab for Next Gen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