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듣는 용어이다. 당연히 그렇다. 백기선님이 만드신 용어니까..
참조한 글에 백기선님께서 토비님에게 배우신 방법이라고 한다.
Post-> Board 관계에서 Post를 저장할 때, 연관된 Board도 함께 저장하는 것이 보통 JPA와 하이버네이트를 사용할 때의 방법이다.
원문(https://medium.com/@diee.roman.22/jpa-entity-graphs-with-spring-boot-30cb110ba4f8) 블로거에게 허락을 받고 번역한 글입니다.
작년 12월 초부터 시작해서, 오늘까지 부득이한 상황을 제외하고 일일 커밋을 수행한지 125일째다.
많은 커뮤니티에 주기적으로 올라오는 주제가 있다. DTO를 써야하나요? DTO 어떻게 해야하죠? 등등의 DTO와 관련한 내용을 묻는 분들이 많다.
나도 DTO를 제대로 몰라서 이 참에 DTO를 정리하자는 마음으로 이 글을 쓴다.
이 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전 파트에서는 도커로 postgresSQL을 사용해서 로컬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의 테스트를 진행했었습니다.
많은 입문용 자바 서적에서 잘 다루지 않는 Reflection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스프링 부트에 AOP를 적용하는 방법을 아주 쉽고 빠르게 알아보겠습니다.
저자는 김영한 개발자(우아한 형제들)님이고, 에이콘 출판사에서 2015년 7월에 출간된 책이다.
이전 파트에선 h2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내 로컬 환경에서 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로컬 데이터베이스로 변경해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싶다면, 참고하자.
저번 파트에서 테스트 라이브러리를 살펴보고, 웹과 관련한 테스트를 진행해보았다. 이번 파트에서는 스프링 데이터 JPA를 사용해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테스트를 실행해서 성공하는 과정까지를 살펴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