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3.3. 연구 사업: 다음세대 패러다임 연구 및 확산

LAB2050
LAB2050
Published in
8 min readSep 2, 2020

* ‘LAB2050 IMPACT REPORT 2018~2020: 기본소득, 현재에서 미래로’의 온라인 버전입니다. 보고서는 블로그 또는 PDF(다운로드)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Summary

소득·노동·사회적 가치 등 한국 사회 주요 의제들에 대해 다음세대에 필요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연구하고 제안하는 사업을 진행함

Impact

문제의식 확산: 기존 한국 사회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개인의 불안정성과 종속성, 경제적 가치 중심의 의사결정, 과거 산업 사회에 기반한 일자리 인식과 정책 등을 제시

솔루션 제시: 기본소득에 기반한 미래 사회계약 전환을 위한 중심 패러다임으로 자유안정성, 사회적 가치,자유노동 등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실현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

사회 공론화 및 정책 의제화: 관련 개념에 대한 수용도와 확산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해 인식 조사 등을 수행하고, 이 결과가 정책 의사결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공론화 노력

Input: 사업 부문별 비용(단위: 원, 2018년 1월 ~ 2020년 6월)

*각 ‘코로나 0년, 초회복의 시작’ 선인세 4,000,000원, 청년재단 ‘랩 실험을 통한 청년 세대 일자리 지향 탐색 및 관련 지원 제도 연구’ 용역 수입 20,925,800원에 해당하며, 진행 중 사업으로 이 금액의 상당 부분은 현재 미집행 상태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 가치 대국민 인식조사’ 연구 용역 수입

1. 자유안정성(2018.08 ~ )

◆ 주요 내용

  1. 한국 사회는 개인들의 삶을 안정시켜 불안감을 줄이고, 그 안정성의 기반 위에서 선택의 자유를 누릴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행복과 혁신성, 실천력의 조화를 추구해야 함
  2. 새로운 사회계약의 기반 패러다임으로 자유안정성 개념을 제안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정책 10여 가지 제안(기본소득 등)
  3. 자유안정에 기반한 개인의 변화 가능성을 적극적 시민성 인식 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제시함
  4. 코로나에 따른 위기 극복과 자유안정성 구현을 위한 사회 영역별 초회복 전략 제시

◆ 핵심 성과

  1. 문제 인식: 기존의 불안정성과 종속성에 기반한 한국 사회의 한계 진단과 대안 모델인 자유안정성에대한 공감대 확인
  2. 솔루션 제시: 기본소득 등 자유안정성 구현 수단으로 10여 가지 정책을 제안했으며,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보다 구체적인 사회 영역별 초회복 전략 제시

◆ 세부 성과

  1. 보고서

2. 도서 출간: ‘코로나 0년: 초회복의 시작’(이원재, 최영준 외, 2020, 출간 예정)

3. 대화 모임: ‘자유롭고 안정적인 사회를 위한 제안’(2020.08.14)

4. 블로그 컨텐츠: 2개 (총 조회수: 3,466)

5. 언론 보도: 4건

□ 사업 비용: 37,937,698원
(‘코로나 0년: 초회복의 시작’ 선인세 4,000,000원 포함)

2. 사회적 가치(2018.09. ~ 2019.08.)

◆ 주요 내용

  1. 정부 운영의 기준으로 사회적 가치 부상. 사회적 가치는 경제 성장과 효율성, 소수의 이익만을 고려한과거 ‘개발국가’ 체제의 의사 결정 기준을 성찰하며 등장한 개념
  2. 정부 정책의 실행 기구인 공공기관의 실제적인 목표이자 운영 원리가 될 수 있도록 사회적 가치의 정의, 공공기관 사회적 가치와 관련된 그동안의 정책적 논의 및 실행 과정,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적용방안 제시
  3. 국민들이 체감하는 삶의 질의 수준과 정부가 추진하는 사회적 가치 및 사회적 가치 13대 유형에 대한인식과 체감 수준을 파악

◆ 핵심 성과

  1. 문제 인식: 사회적 가치에 대한 국민 및 전문가의 인식 수준 진단 및 개념적 정의를 바탕으로 문제의식 확산
  2. 솔루션 제시: ‘사회적 가치 실현 시스템’(Social Value Management System)과 ‘공공부문BSC’(Social BSC) 등 공공기관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
  3. 정책 의제화: 공공부문의 사회적 가치 추진 전략 및 관련 교육 자료에 사회적 가치 정의와 실현 방안,인식 조사 결과 등이 반영됨

◆ 세부 성과

  1. 보고서

2. 2019 공공기관 사회적 가치 포럼(2019.04.13)

  • 참석 인원: 140여 명 (사전 신청자: 185명)
  • 공동주최: LAB2050,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혁신기업 더함
  • 후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행복나래,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신용보증기금, 희망제작소, 환경운동연합, 전국 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 공공기관 사회적가치 협의체
  • 포럼 영상 (조회수: 3,563)

3. 언론 보도: 15건

4. 관련 자료

□ 사업 비용: 24,766,289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 가치 대국민 인식조사’ 연구 용역 수입 18,150,000원)

□ 주요 협력기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혁신기업 더함, 전국 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 등

3. 미래의 일(2018.09 ~ )

◆ 주요 내용

  1. 기술혁신 및 사회 변화에 따른 일과 일자리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에 따른 제도 변화 필요성 촉구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사회 공론화함
  2. 플랫폼 노동, 프리랜서, 포트폴리오 워크 등의 형태로 확산되는 자유노동에 대한 개념과 현황, 종사자대상 심층 인터뷰 연구 수행
  3. 정부 일자리 정책에 대한 인식 조사, 정규직 개념 및 일자리 지향에 대한 인식 조사 및 분석 연구를 수행

◆ 핵심 성과

  1. 자유노동 개념과 장단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제 의식과 공감대 확산
  2. 대중의 인식과 정책 간 정규직 개념의 혼동이 존재함을 규명해 사회 갈등 요인 분석에 기여함

◆ 세부 성과

1. 보고서

2. 블로그 컨텐츠: 4개 (총 조회수: 1,438)

3. 유튜브 채널 영상: 11개 (총 조회수: 4,442)

4. 언론 보도: 19개

□ 사업 비용: 12,117,249원
(청년재단 ‘랩 실험을 통한 청년 세대 일자리 지향 탐색 및 관련 지원 제도 연구’ 용역 수입 20,925,800원)

□ 주요 협력 기관: 청년재단, 공공의 창 등

다음 글 읽기: Part 4~5. 공론화 사업 & LAB2050 운영

전체 포스트

Introduction. 첫 30개월 동안의 항해기
Part 1~2. Main Impact: 기본소득, 미래에서 현재로 & 주요 연구 및 활동 내역
Part 3.1. 연구 사업: 기본소득제 연구 및 공론화
Part 3.2. 연구 사업: 지역전환 모델 연구 및 확산
Part 3.3. 연구 사업: 다음세대 패러다임 연구 및 확산
Part 4~5. 공론화 사업 & LAB2050 운영

보고서 다운로드 (PDF로 보기)

--

--

LAB2050
LAB2050

다음세대 정책실험실 Policy Lab for Next Generation